고고심령학자
배명훈 지음 / 북하우스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고심령학자》

 


 

아니, 어떻게 이런 깜찍하고 놀라운 발상을 할 수가 있을까? 고고학 연구의 막힌 부분을 ‘심령’ 관찰을 통해 돌파한다니 참으로 대담한 발상이 아닌가. 이를 테면 몇 천 년 전의 언어를 재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그 때 죽은 혼령과 대화를 통해 답을 얻으려 한다는. 심령 현상 연구도 제대로 인정을 못 받을 판에 내처 한 걸음 더 나아가 학문적 성과를 얻으려 하는 학자들이 과연 이 관료적이고 딱딱한 학계에서 제대로 인정이나 받을 수 있을까? 아니, 일반인들 눈에도 이상하게 보이지 않을까?

 

이런 깜찍한 발상을 토대로 소설까지 한편 뚝딱 세상 밖으로 내보인 작가 ‘배명훈’이란 사람은 대체 어떤 사람일까. 나와는 동갑이라는데 어쩜 이런 자유로운 상상을 할 수가 있는지. 작가가 너무 부러웠고, 게다가 소설은 너무나 내 스타일인지라 오랜만에 뒷이야기가 너무 궁금해서 초조해지기까지 했더랬다. 작가는 이미 SF라는 틀로 자신만의 작품 세계를 만들어 오고 있었고 그저 나는 그의 세계에 이제 막 발을 디딘 것뿐이니, 앞으로의 여정을 즐길 일만 남았으리라.

 

‘의외로‘ 소설의 주인공은 여성들이다. 난 왜 주인공을 당연히 남성이라고 생각한 걸까. 상상력 빈곤에 성 역할의 편견까지 난 정말 구제불능인걸까. 하여간 여러 번의 ’의외의’ 충격으로 소설을 읽는 기쁨이 배가 되었다고 해두자. 하여간 의문의 죽음을 맞은 <고고심령학>의 대가 ‘문인지’ 박사의 제자 ‘조은수’와 그 친구 ‘김은경’은 박사의 친구 ‘한나 파키노티’ 와 서울에 나타난 의문의 '벽‘ 혹은 ’요새‘의 비밀을 밝히기 위해 ’이한철‘ 박사팀과 조사를 시작한다.

 

소설은 여러 가지 이야기를 담고 있다. <고고심령학>이라는 가상 학문의 너무나 현실적인 처지, 즉 하나의 학문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다른 연구 이를 테면 인류학, 고고학, 역사학 등과의 협업의 형태로 머무를 수밖에 없는 한계, 결국 ‘혼령’을 보고 그들과 소통을 해야 하는 일이라 하려는 사람도 제대로 하는 사람도 많지 않다는 어려움 등 이런 현실 앞에 서울에 나타난 ‘요새 빙의’ 현상은 이 학문을 독립적 학문으로 우뚝 세울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될 지도 모르니 학자들의 미묘한 대립이 이야기를 이끌어 가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그리고 문인지 박사의 연구실이 있었던 ‘천문대’의 지리적 특징, 그곳에 나타나 오랜 시간 도움을 받은 어린 ‘혼령’, 연구실에 쌓여있던 문 박사의 책 들을 제 구성하고 정리하며 여기서 얻은 단서로 ‘요새 빙의’ 현상을 풀어가는 과정, 주인공 ‘조은수’의 동료이자 친구인 ‘김은경’이 연구하던 ‘몬데그린’ 현상과 ‘한나 파키노티’가 대륙을 돌아다니며 연구하던 ‘차투랑가’ 와 도시와 성벽의 연구에 담긴 ‘비밀‘ 들이 하나의 이야기로 형태를 갖추어 가는 과정은 너무나 지적이며 즐거운 여행이었다. 게다가 곳곳에 숨어 있다 튀어나오는 유머코드는 소설을 경쾌하게 만들고 있다.

 

과연 ‘심장이 두 개’라는 서울 상공에 나타난 벽, ‘혼령’이 아니라 ‘빙의’ 현상인 이 사건이 가져올 결과는 어떤 것일까? 이 벽이 나타난 후 부쩍 늘어난 자살사건은 어떤 의미를 품고 있을까? 과연 주인공들은 과연 이 비밀을 풀고 어쩌면 재앙이 될 무언가를 막을 수 있을 것인가?

 

작가는 어떻게 이런 많은 이야기들을 하나의 줄기로 엮어낼 수 있었을까? 문인지 박사의 의식의 흐름을 정리하기 위해 조은수가 했던 책 정리 작업은 어쩌면 작가가 이 소설을 집필한 그 과정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정말 오랜만에 나의 호기심을 충족시키는 아주 재미있고 독특한 소설을 만났다. 작가의 다른 작품들도 하나씩 찾아 읽어볼 작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