립맨 미스터리, 더 Mystery The 13
시즈쿠이 슈스케 지음, 추지나 옮김 / 레드박스 / 2017년 8월
평점 :
절판


《립 맨》

 

 


일반인들은 범죄자들을 볼 때 ‘어떻게 저렇게까지 하지?’ 하는 의문을 갖곤 하지만 의외로 자신들은 논리적으로 무장이 되어있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물론 그 논리가 타당하다거나 납득할 만한 수준인가 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지만 말이다. 또 누구나 범죄자들은 못 배우거나 가난하거나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을 거라고 생각하지만 요즘에 벌어지는 범죄들은 의외로 ‘멀쩡한’ 사람이 벌이는 경우도 많다. 여기 이 소설을 보면 정말로 멀쩡한 사람이 범죄를 ‘계획’하고 그 계획에 또 멀쩡한 사람을 끌어들인다. 일명 ‘보이스 피싱’. 엄연히 범죄 조직이지만 자기들은 이를 ‘사업’ 이라 부르고 기획을 하고 사원을 모집한다.

 

그들은 양질의 개인정보 판매업자인 ‘쩐 주’로부터 개인정보를 산 후 영업소를 차린다. 쩐 주로 부터 받은 개인정보를 기초로 고객들의 면밀한 뒷조사 후 실질적 대상을 정하고 구체적 목표금액을 설정한다. 그리고 전화를 거는 영업소 직원, 돈을 인출하는 인출 책, 현금을 받는 수령 책의 실행 책들이 각자 일을 분담하여 실행한 후 수익금액을 나눠가진다. 현실 속에서 우리가 당하는 보이스 피싱은 우리말이 어눌한 사람들이 대부분이지만 소설 속 사기단은 수법이 너무나 구체적이고 실행 책들은 주위의 직장인들인 냥 너무나 평범한 사람들이다.

 

그 속에 알 수 없는 남자가 있다. 그는 이 사기단에서 실행 책의 연수 강사로 일하지만 다른 구성원들과 달리 사기단을 그저 재미로 하는 인물 같다. 결국 사기단은 ‘레스틴피스(R. I. P)’를 말하는 이 남자, 일명 ‘립 맨’ 의 신고로 검거되지만 뛰어난 직감으로 위기를 넘긴 ‘도모키’ 형제를 눈여겨 본 ‘립 맨’은 형제를 다른 사업에 끌어들인다. 일명 ‘유괴사업’이라는.

 

‘유괴’라는 게 보통 어린 자녀를 납치하여 가족들에게 돈을 요구하는 것으로, 결말은 대부분 비극적으로 끝나게 되는데 이 남자는 그 범죄를 ‘사업’으로 기획한다. 일단 쉬운 상대를 골라 돈만 제대로 주면 인질을 무사히 풀어준다는 ‘실적’을 쌓고 제대로 된 상대를 골라 많은 돈을 받아낸다는 것이 주된 얼개다. 첫 실적을 제대로 쌓으며 남자는 사기단을 ‘대 일본 유괴 단’ 이라 명명한다.

 

그리고 유명한 제과회사 ‘미나토당’의 사장과 그 아들 ‘유타’를 납치해 사장만 풀어주고 아들을 풀어주는 대가로 돈을 요구한 ‘립 맨’ 일당. 유괴 단을 일망타진 하려는 특별수사대. 사장은 과연 돈만 주면 아들을 풀어준다는 립 맨 일당의 편에 설 것인가 정의를 구현하려는 경찰의 편에 설 것인가? 만일 립 맨 일당이 이 사건이 성공한다면, 혹은 경찰이 실패한다면 ‘대 일본 유괴 단’은 당당히 다른 유괴 사업을 벌일 것이고 아들의 목숨과 정의란 가치 앞에 사장은 극심한 혼란에 빠진다.

 

‘립 맨’은 독특한 범죄 캐릭터다. 성격이나 인성이 비뚤어지지도 않았고 살인을 즐기거나 잔인하지도 않다. 그저 명석한 두뇌로 무덤덤하게 사업을 기획하며 사업을 성공시키기 위해 치밀하게 준비할 뿐이다. 그러면 이 ‘립 맨’ 일당을 저지하는 경찰은 어떨까? 50대 장발에 ‘영 맨’이란 애칭으로 불리는 ‘마키시마’는 유괴 사건을 맡은 ‘형사특별수사대’의 수장이다. 과거 사건을 멋지게 처리하며 매스컴에도 이름을 알린 치밀하지만 부드럽고 철두철미한 캐릭터.

 

드디어 한 번의 충돌! 돈은 건네지지 않았고 두 조직은 또 한 번의 대결 앞에 서있다. 특별 수사대는 유타를 구하고 유괴 단을 일망타진 할 수 있을까? ‘립 맨’과 ‘마키시마’의 대결에서 과연 누가 승자가 될 것인가? 소설은 립 맨 일당과 특별수사대의 구성 인물들과 분위기를 묘사하며 이 두 조직을 대비하여 보여주며 경쟁시킨다. 이상하게, 혹은 묘하게 립 맨 일당의 논리에 고개가 끄덕여 지기도 하고 경찰의 노력에 응원을 보내기도 하며 대결을 지켜보게 된다.

 

세상이 각박해 지니 별의 별 사람, 범죄들이 늘어가고 있는데 이런 범죄가 일어나지 말라는 법이 없다. 범죄조직과 그들의 논리는 현실 속에서 너무나 많이 듣고 보아온 것이라 전혀 위화감이 없었고 두 조직의 대결은 정말로 대단했다. 경찰 내부의 정치 게임도 하나의 축을 형성하고 있는 걸 보면 작가는 아마도 이 시리즈를 계속 쓸 예정인가 보다. 내가 좋아하는 마이클 코넬리의 ‘해리 보슈’ 시리즈처럼 꾸준히 사랑받는 시리즈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