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나리자 바이러스
티보어 로데 지음, 박여명 옮김 / 북펌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나리자 바이러스》




"댄 브라운의 귀환"이란 책 띠지의 강렬한 한 문장이 이 책을 읽게 만든 결정적인 계기였다. 처음엔 그의 신작 소식인 줄 알았는데 작가는 '티보어 로데'! -이런, 낚이고 말았어!- 댄 브라운의 소설을 너무 좋아하다보니 그의 작품은 다 읽었는데 그와 비교할 만한 작품이라니, 꼭 읽어봐야 하지 않겠는가?


이 소설은 인간이 느끼는 '아름다움'이란 것의 연원을 추적하는 소설이다. 인간이 공통적으로 아름다움을 느낀다는 그 '황금비율' 이란 것 말이다. 미인, 미남으로 느껴지는 얼굴에는 일정한 비율이 있고 예술작품이나 건축물에도 안정감과 아름다움을 느끼게 하는 비율이 있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인데, 인간은 언제부터 이 비율을 아름답다고 느끼기 시작했을까? 여기에 어떤 생물학적인 즉 '뇌' 특성이 있는지 소설은 여러 가지 소재들로 이를 표현하고 있으며, 이 현상에 반기를 든 사람을 등장시켜 긴장감을 유발한다.


미스 아메리카 후보들이 납치당하고 전 세계 벌들이 집단 폐사한다. 르네상스 시대 건축물이 폭파되고 세계 '이미지'와 '영상 데이터'를 괴상하게 변형시키는 일명 '모나리자 바이러스가' 급속도로 퍼진다. '황금비율'만 찾아 파괴하고 변형시키는 바이러스. 누가 이런 것을 만들고 왜 이런 일을 저지르는 것일까?


주인공인 '헬렌 모건'은 인간이 아름다움을 느끼는 뇌의 특성을 연구하는 신경미학자로 사라져버린 딸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는데 이 과정에서 범인의 지시를 따르며 범죄에 가담하게 된다. 또 한명의 주인공인 '그렉 밀너'는 FBI에서 큰 잘못을 저지르고 비공식적으로 사건을 수사하다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는 이상한 사건의 연결고리를 발견하게 되는데 놀랍게도 그 연결고리는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모나리자'로 연결 되어 있다. 그리고 그들은 르브루 박물관으로 모이게 되는데...범인이 계획한 가공할 만한 범죄는 무엇일까? 그는 왜 이런 일을 벌이는 것일까?


소설은 현재와 1500년경 피렌체의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모습을 번갈아 가며 보여준다. 피렌체의 모습은 다빈치가 모나리자를 그릴 때의 과정을 보여주는데 곰곰이 생각하면 꽤나 섬뜩하다. 현실은 외모지상주의에 경도된 인간들의 탐욕이 적나라하게 드러나 있다. 범인은 이런 현실에서 끔찍한 내, 외상을 입고 생각마저 비뚤어져 버린 사람이다. 그리고 '모나리자 바이러스'는 이런 인간들의 탐욕에서 급속도로 퍼져나간다.


솔직히 말하면 "댄 브라운의 귀환"이란 평가에 대한 내 감상은 글쎄? 정도. 댄 브라운 작품의 특징이라면 놀랄 만큼 빠른 전개, 크고 작은 반전, 지적 유희라고 볼 수 있는데 이 소설은 소재의 참신함이나 독창성은 좋았지만 나머지 부분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던 거 같다. 댄 브라운의 소설엔 예술 작품 속에 숨어있는 기호와 상징들이 아찔할 만큼 서술되고 이 모든 것들이 문제를 푸는 암호로 작용하지만 이 소설은 그렇지 않았던 것 같다. 모나리자에 쌍둥이가 존재한다는 것 정도 이 외엔.


여러 인물과 사건이 등장하지만 이들이 보여주는 행동엔 동기도 부족하고 개연성이 조금 떨어지지 않았나 하는 생각도 든다. '이걸 못 알아차린단 말야?' 생각이 드는 곳도 군데군데 있었고. 헬렌 모건의 공감각적 능력을 제대로 이용하지 못한 것도 조금 아쉬운 부분이었다. 소설 속 배경이 멕시코, 브라질, 폴란드 등 여러 곳인데 소설이라 이런 장치가 크게 돋보이지 않았던 것 같다. 만약 영화라면 장면 전환에서 많은 이득을 볼 수 있을지 모르겠다.


몇 주 간 댄 브라운 소설을 연달아 읽다가 이 소설을 읽어서 그런지 내게는 댄 브라운과 비교했던 것이 아쉬움의 원인이 아닌가 한다. 선입견 없이 읽었다면 이 소설에 대한 느낌이 많이 달라지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들고. 그런데 그 '미지의 인물' 말이다. 대체 이 쪽인지 저 쪽인지 알 수 없이 나타났다 사라진 그 인물. 이 소설에서 그 인물이 주인공에게 결정적인 도움을 주지만 그 인물이 소설을 좀 애매하게 만들지 않았는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