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전쟁
김진명 지음 / 새움 / 2015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글자전쟁》




김진명. 이름만으로도 이제 브랜드가 된 작가가 아닌가 한다. 작품이 나오면 꼭 읽어보는 작가 중 한명으로 늘 기대하는 작가이기도 하다. 그러나 어떤 사람들은 애국심 마케팅, 감상적 민족주의, 국수주의, 배타적 민족주의자라고 하기도 하는데 그의 작품들 대부분이 현 국제정세를 바탕으로 역사에서 해결책을 찾고 있으며 음모론을 파헤치는 방식으로 전개되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소설이란 것이 실제와 허구가 교묘히 섞이기 마련이지만 그의 소설은 늘 현재 민감한 사안들을 담고 있기 때문에 이런 논란을 비껴갈 수 없을 터이다.


이 소설은 연작하던 소설《고구려》를 잠시 미루고 나온 소설이다. 전작은 무려《싸드》였으니 그가 얼마나 시의적절한 작품을 내는지 알 수 있다. 《글자전쟁》은 ‘황병서 미스터리’라는 북한의 권력서열 문제를 우리나라의 방산비리와 연결시켜 전개하고 있는데 스탠퍼드 출신의 무기중개상 ‘이태민’이란 인물을 등장시켜 이 둘을 잇는다. 북한의 권력서열 미스터리를 멋지게 풀어 미국의 무기상의 신뢰를 얻게 된 이태민은 한국에 들어와 무기중개로 엄청난 돈을 벌어들이는데 한국에서 방산비리 문제가 불거지자 이를 피해 중국으로 도망가게 된다.


중국에서 북한과 한국의 동태를 살피며 재기를 노리던 이태민은 한 미스터리한 남자를 알게 되는데 그 사내는 자신이 쓰던 소설이 담긴usb를 넘겨주고 살해당하고 만다. 소설은 액자 식 구성으로 현재의 이태민의 상태와 죽은 사내의 소설 속 상황이 함께 그려진다. 소설 속 이야기는 ‘한자’에 대한 이야기로 고대 중국이 한자를 만들었다는 통설을 뒤집는 내용을 담고 있다. 분명 살해당한 것이 분명한 사내의 죽음을 축소 은폐하려는 중국 공안을 보며 이태민은 사내의 죽음에 음모가 있음을 알아차리고, 자신의 처지와 사건 앞에서 갈등한다, 그러던 그는 결국 그 음모 속으로 걸어 들어가게 되는데...


결론은 역시 그의 전작들이나 뭇 영화들처럼 해피엔딩을 맞음으로 조금 작위적인 느낌이 들지만 전체적인 이야기는 무척 ‘김진명’ 스럽다. 그리고 그럼으로써 논란이 될 수 있는 작품 하나가 또 세상에 나왔다. 일부 사람들은 그의 작품을 읽고 뭔가 가슴에 차오르는 감동을 느낀다고 하고 또 한편에선 그의 역사의식을 굉장히 우려스럽게 바라본다. 나 또한 애국이나 한민족의 우수성을 내세우기 위해 독재자를 미화하고 정설이나 통설과는 다른 역사를 이야기 할 땐 걱정스럽기도 하고 불쾌하기도 하다. 가끔 핵조차도 국익을 위해 필요하다는 생각은 불안하기까지 하다. 그러나 그의 작품은 ‘소설’이다. 약간의 진실에 더 많은 상상력이 그의 작품세계다. 어쩌면 굉장히 ‘영악한’ 작가인지도 모르고 어쩌면 일부의 시각처럼 ‘위험’할 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의 작품을 분석하며 욕하더라도 우리 역사와 현실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이 많아지기를 더 바란다, 일단 관심이 있어야 비판이나 욕도 할 수 있으니까. 차라리 반가울 만큼 우리가 처한 현실은 시궁창인 까닭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