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디톨로지 (반양장) - 창조는 편집이다
김정운 지음 / 21세기북스 / 2014년 10월
평점 :
품절
《에디톨로지》
세상이 너무나 빨리 변하다 보니 간혹 내가 지금 어디에 서있는지, 여기서 내가 무얼 하고 있는지 멍하거나 두려울 때가 있다. 기계처럼 주어진 일만 하는데도 제대로 못 따라가서 헐떡거리는데 남들은 그런 빠른 세상에 잘도 적응하고 잘 살아가는 것 같고. 세상은 늘 새로운 것을 원한다. 어제 중요했던 주장과 이론이 오늘은 잘못된 거라 하고, 또 새로운 것들을 유행시키고 거기에 익숙해 질만 하면 또 다른 것이 툭 튀어나와 소위 '멘붕'이 되게 만든다. 세상은 이제 내게 '창조'를 말하는데 그게 대체 무엇인가?
얼마 전에 진중권 교수의 <이미지 인문학>을 읽었는데 '디지털 시대의 인간이란 무엇인가'란 주제를 가진 책이었다. 세상이 달라지면 인문학의 내용도 바뀐다. 아니, 새로운 인문학이 필요하다. 이 책《에디톨로지》를 읽으며 이미지 인문학을 자연스레 떠올릴 수밖에 없었다. 진중권교수가 던진 그 질문에 대한 답을 바로 이 책에서 찾은 것 같았기 때문이다. 너무 어려워서 첫 장부터 이해가 되지 않았던, 띄엄띄엄 겨우 읽는 둥 마는 둥 했던 그 책의 잔상을 바로《에디톨로지》에서 지울 수 있었다. 인문학은 결과적으로 '인간'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던가. 그리고 세상을 보는 창이기도 하고.
저자 김정운 교수의 의지대로 이 책은 정말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게 써졌다. 문장은 저자가 직접 말하는 것과 싱크로률100%다. 군데군데 자기자랑을 떠벌리는 것도 갑자기 진지한 자기고백이 이어지다 결국 자기애로 끝나는 것도 말이다. 기존 그의 강연을 보았거나 전작들을 읽었다면 더 즐겁게 읽을 수 있을 것이다. 거의 대부분이 저자의 경험과 간접경험으로 이루어진 책은 어려운 관념만 늘어놓은 생명력 없는 글과도 차별성을 지닌다.
이 책은 '창조 방법론'이며, '창조는 곧 편집'이라는 주제를 갖고 있다. 저자가 명명한 에디톨로지(editology)는 끊임없이 구성되고, 해체되고, 재구성 되는 세상 모든 것들의 과정, 그 편집의 방법론이다. 그럼 요즘 또 유행하는 통섭이나 융합과는 어떻게 다른가? 이 두 가지는 서로 다른 분야의 것들을 융합하여 다른 무언가를 만들어 내는 것이라면, 자자의 에디톨로지는 인간의 구체적이며 주체적인 편집 행위를, 창조란 이미 존재하는 것들의 또 다른 편집을 말하는 것이다.
이 책은 총 3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1부 '지식과 문화의 에디톨로지'는 마우스의 발명과 하이퍼텍스트가 주제로 지식과 문화가 어떻게 편집되는지를 통해 지식권력의 이동을 알아본다. 2장은 '관점과 공간의 에디톨로지'로 원근법을 중심으로 인간 의식의 상관관계, 3장은 '마음과 심리학의 에디톨로지'로 심리학에 대한 설명, 인간의 심리가 어떻게 편집되어 왔는지를 알아본다. 각 장의 내용은 이렇게 정리하면 딱딱하지만 실제의 예를 들어 설명하기에 읽기 쉽고 아주 재미있다.
1장의 마우스의 발명이 우리에게 준 혁명적인 변화는 과거의 권력은 지식과 정보를 소유하는데 있었지만 클릭 한번으로 우리를 원하는 주제로 데려다 주는 마우스의 발명은 그 지식권력의 해체를 가져왔다고 한다 (미네르바 사건을 떠올려 보라). 2장의 원근법의 발견은 예술에서만 유요한 것이 아니었다. 권력은 원근법의 정점에 자신들이 있기를 바랐고 그에 따른 도시 구역이나 지위의 구분도 있어왔다. 그러나 우리나라나 일본의 원근법에 구애받지 않는 그림에서 나타난 다양한 시점은 현실 정치나 관계에서도 나타난다. 3장 심리학은 지금은 지탄 받는 심리학자 프로이트의 이야기에서 시작하여 시대에 따라 인간을 보는 심리학의 시각에 대해 알아본다. 인간의 심리를 사회적 맥락에서 보는가, 개인의 차원에서 보는 가에 따라 얼마나 많은 것이 바뀔 수 있는지 권력이나 정권이 어떻게 편집하느냐에 따라 정책이나 제도가 달라질 수도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외에도 유명인의 연설에서부터 미국 국가, 영화, 명화, 심리학자, 광고, 학자 등과 저자가 직접 경험한 에피소드까지 정말 다양한 이야기들과 재미난 이야기가 넘쳐난다.
이 책은 정말 추천하고 싶다. 인문학이 어렵다는 편견을 깨 준 고마운 책이고 창조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내려준 고마운 책이다. 오랜만에 한 장 한 장 아까워하며 읽은 책이기도 하다. 이 지면에 적은 내용은 정말 일부이고 내 리뷰가 혹시 안 좋은 선입견을 심어줄지 걱정이 될 정도의 책이다. 교양서로도 좋고 흥미로 읽어도 좋을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