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한국현대사 - 1959-2014, 55년의 기록
유시민 지음 / 돌베개 / 201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나의 한국 현대사》




역사는 참으로 신기한 무엇이다. 어떤 사람, 어떤 시대의 눈으로 보는 가에 따라 같은 사건을 두고도 완전히 다른 이야기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교학사 역사 교과서 문제가 터졌을 때 나는 경악을 금치 못한 쪽에 서 있었다. 어떻게 그런 식으로 왜곡을 할 수 있는지 정말 끔찍하기만 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 의견에 동조하는 사람이 많다는 사실은 그 역사 서술인식보다 더 놀라운 사실이었다. 게다가 더욱 끔찍한 것은 사회가 너무나 극명하게 갈라져있다는 사실이다. 예전에 지역감정 있다고 해도 이렇게 피부에 와 닿을 정도는 아니었고, 정치적 의견이 다르다 해도 정말 '다르다'는 정도였지 지금처럼 도저히 같은 시대를 살아가기 힘들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심각하지는 않을 정도였다. 무엇이 문제일까. 우린 분명 같은 하늘아래 같은 시대를 거쳐 살아왔는데 왜 같은 나이, 같은 또래임에도 이렇게 다른 생각으로 살아갈 수 있는 걸까.


이 책《나의 한국 현대사》의 출간 소식을 접했을 때 정말 반갑기도 했지만 또 한편으로 막상 이 책을 읽기가 두렵기도 했다. 이 책에서 저자 유시민도 언급했듯이 저 먼 과거 조선, 고려의 역사가 아닌 지금 함께 이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사람의 입에서 자신이 살고 겪어온 이야기를 한다는 것이, 어쩌면 논란의 불씨를 품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또한 자신이 살아온 시간이니 만큼 자신의 처한 입장, 자신들의 편 즉<프티부르주아 리버럴>의 입장에서만 역사를 본 것이니, 거기다 저자 또한 늘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인물이니 혹시 이 책을 읽으며 뭔가 내가 보기에 가슴 아픈 내용이 있는 것은 아닐까, 심리적 부담이 되지는 않을까 무척 걱정을 하였던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을 앞에 두고 정작 펼치는 것은 며칠 시간이 흐른 뒤였다.


이른바 소시민의 입장에서 그가 겪었던 시대는 어떠했을까? 그가 '번민하는 당사자'로서 적어 내려간 역사는 어떠했을까? 일단 그는 박근혜 대통령이 탄생한 선거에서부터 이야기를 시작한다. 그는 2012의 선거가 '역사 전쟁'이었다고 말한다. 이른바 산업화 세력과 민주화 세력의 충돌. 일단은 산업화 세력이 이긴 것으로 보이지만 저자는 국민들은 이 모두를 긍정했다고 말한다. 기성세대의 선택은 자신들이 치열하게 살아온 인생에 대한 인정을 받고 싶은 마음에서 일 가능성이 컸다고. 저자는 또한 59년생 돼지띠들의 치열하지만 모순 적이기도 한 삶을 인정하고 긍정한다. 전체적으로 봤을 때 모순투성이에다 뒤틀리고 부조리에 가 득 찬 시대라고 하더라도 분명 과거보다는 현재는 나아졌으며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가지고 있음을 이야기 한다. 그 부정적인 모습은 단 기간에 발전을 했기 때문에 나타날 수밖에 없는 부분이라고도 이야기한다.


저자는 자신이 태어나고 자란 유년시절부터 현재에 이르는 시간을 자기 나름의 논리로 충분히 객관적 시각으로 서술하고 있다. 이미 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적 사실들을 담담한 어조로 서술하고 있으며 그에 대한 평가 또한 비교적 중심을 지키고 서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니까 어떤 정치적인 틀로 보는 것이 아닌 <프티부르주아 리버럴>의 틀을 지키고 있는 것이다. 저자는 서문에서 이 책을 쓴 이유가 <과연 대한민국은 어떤 점이 55년 전보다 훌륭한지, 무엇이 그 변화를 만들었는지, 어떤 면이 아직도 부끄럽고 추악하며 앞으로 우리는 어떤 변화를 더 이룰 수 있을지>를 이야기 하고 싶어서이며 <자신의 시대를 힘껏 달려온 동시대 모든 사람에게 작은 위로가 되기를, 청년들에게는 의미 있는 조언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 책은 정말 이 서문에 꼭 맞는 책이다. 평가나 비판, 주장보다는 돌아보며, 들여다보며, 서술하며, 살펴보는 것에 무게 중심이 있다. 그리고 자신이 살아온 시대를 긍정한다. 그리고 미래를 이야기 한다.


어떤 것을 기대하고 이 책을 읽는가에 따라 읽는 이의 평가도 많이 달라질 수가 있겠다. 아마도 이 책은 나와는 다른 정치적 견해를 가진 사람들이라면 아예 읽지도 않겠지만 그 사람들이 읽어도 꽤 괜찮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어떻게 살아왔든 지금 우리가 어떤 모습이고 어느 쪽에 서있든 간에 우리는 동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만일 나이가 들어 내가 소위 말하는 기성세대가 된다 하더라도 내가 살아온 시대를 인정하고 긍정하고 싶을 것이다. 이러저러한 모순과 실수와 부조리함을 갖고 있다 하더라도, 그것을 인정하고서라도 말이다. 저자의 서문처럼 이 책은 59년 돼지띠들을 위시한 기성세대들에게는 위로가, 청년들에게는 조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역사, 게다가 위험한 현대사이기에 이 책을 읽은 나의 진정한 마음, 평가와 책 속의 자세한 내용과 감상을 지면에 밝히기보다, 이 책을 읽어보라고 말하고 싶다. 그리고 그런 사람과는 함께 이야기해 보고 싶다. 그리고 이왕이면 그것이 우리 부모님이면 더 좋겠다.


[한우리 북카페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