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트] 관상 1~2 세트 - 전2권 - 관상의 神 역학 시리즈
백금남 지음 / 도서출판 책방 / 201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관상 1,2

 

 

늘 상상하는 것 중의 하나이다. 보자마자 어떤 사람인지 알아맞히고 그 사람의 미래를 읽어낼 수 있는 일. 관상 뿐만은 아니다. 사주팔자, 자연의 변화, 별자리, 꿈, 예언, 풍수지리 등 그 무엇이라도 읽고 사람과 미래를 알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관상은 그 중의 하나였다. 그래서 어떤 거부감이나 망설임 없이 읽게 되었다. 이 소설은 관상에 관한 소설이고 이미 알고 있는 역사, 수양대군의 계유정난에 관한 이야기이다. 그러나 인물에 관해서는 수양이 아닌 김종서에게 초점이 맞춰져 있다.

 

문종과 단종에 대한 충정, 수양의 정적. 6진을 설치하고 여진족을 토벌한 위대한 장수. 그러나 이 소설 속의 김종서는 그런 표면적인 모습이 아닌 좀 더 내밀한, 자신의 입신양명과 가문의 영달과 대대손손 이어질 자신의 핏줄을 위해서 치졸하고 음흉한 일도 저지를 수 있는 일개 사대부인 김종서의 모습을 담고 있다.

 

이 책의 주인공은 김내경이다. 그의 아버지가 김종서로 인해 역적의 누명을 쓰고 가문이 멸문지화를 당하고, 김종서에게 자신의 아버지를 잃은, 김종서에 대한 복수의 칼을 숨긴 비운의 관상쟁이. 그리고 드러나지 않은 그의 정적 한명회.

 

1권은 김내경의 아버지와 스승에 대한 이야기이다. 내경의 탄생, 아버지의 죽음, 가문의 멸망, 그리고 김내경이 관상을 공부할 수밖에 없었고 어떻게 가슴에 칼을 품게 되었는지, 어떻게 대단한 관상쟁이가 되었는지에 대한 과정이 나타나 있다. 그리고 그 과정 속에 아내 아연을 만나 아들 진형을 얻은 사연, 아내 집안의 몰락, 아내와 어머니의 죽음 등의 이야기들이 다소 환상적이고 재미있는 관상이야기와 함께 엮여있다.

 

 

 

본격적인 이야기는 2권부터 이어지는데, 김내경, 신을 받은 기생 연홍, 처남 팽헌이 김종서와 수양대군, 단종과 얽히고, 섥히며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 빠지게 된다. 또한 이야기 전개와 함께 관상자체의 요소도 흥미롭게 전개된다. 아마도 작가는 아주 오랜 시간 관상에 대해 공부를 한 것이리라. 내경은 스승에게 혹독한 방법으로 관상에 대해 배우고 스스로 황금비율을 찾기도 하며, 먼 중원 땅까지 찾아가 달마대사로부터 내려온 관상 법까지 배운다.

 

나는 이미 알고 있는 역사적 사실 속에 어떻게 내경이 관여하게 되며, 과연 김내경이 원하는 대로 복수를 하게 되는지, 그 과정은 어떠할 지 또한 한명회의 역할은 어떻게 그려질 지 매우 궁금했다.

소설 속의 수양대군은 이리의 상을 김종서는 호랑이상을 갖고 있다. 이는 물형법인데, 관상을 보는 한 방법으로 자연의 모습을 사람의 얼굴에 대비시켜 그 상을 읽어내는 방법이다. 소설 속에는 이 뿐만 아니라 관상을 보는 여러 방법들을 소개하고 있고, 그 관상들이 어떻게 사람의 운명을 만들어 가게 되는지, 이러한 방법으로 살인을 저지른 범인을 잡아내기도 하고 죽을 날을 알아맞히기도 하면서 소설의 한 축으로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리와 호랑이는 끊임없이 서로를 경계하며 으르렁거린다. 자신의 영역을 넓히고 자신의 사람을 만들어가면서 조선은 이미 일촉즉발의 상황이 되었다. 내경은 그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수양을 도와 문종의 명을 앞당기기도 하고, 김종서의 편에서 수양을 견제하기도 하며, 그러다가도 수양을 돕기도 하는 등 추측과는 다른 행보를 이어간다.

 

김내경은 내가 예상했던 것과는 전혀 다른 처신을 한다. 그는 어느 순간 복수보다는 스스로 역사를 바꾸려 한다. 그러나 그는 자신을 노린 사람은 보지 못했고, 자신의 아들도 지키지 못했다. 그는 어느 순간 마음의 평정을 잃어버리고 스스로 운명을 거스르고 그 운명을 자신의 뜻대로 움직이고자 했다. 그러나 그리 행했던 모든 일들은 결국 그 타고난 운명을 움직이는 촉매제 역할을 했을 뿐이었다.

 

모두 아는 대로 김종서는 죽음을 맞지만 이는 김내경의 복수가 아니었으며, 수양을 제거하고자 그의 얼굴에 점을 세기는 위험천만한 일을 저질렀지만 이는 그가 왕이 되는 운명을 더 앞당겼을 뿐이다. 그는 자신의 아들조차 지키지 못하고 눈이 멀게 만들었으며 자신이 지키고자한 어린 임금 또한 지켜내지 못한다. 결국 모든 것은 순리대로, 그리 되어야 했던 길을 따라 흘러갔고 역사의 수레바퀴도 어김없이 굴러갔다.

 

 

 

저자가 의도한 것은 무엇이었을까. 나는 이 소설에서 무엇을 보았을까. 누구나 타고난 관상은 있다고 한다. 그것은 타고난 운명이 있다는 것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 운명을 개척하는 것도 사람이라 한다. 어떻게 사느냐에 따라 그 사람의 운명도 바뀔 수 있다고.

 

소설 속 김내경, 그의 어머니, 그의 아내, 아들까지도 그것을 원했다. 어리석고 힘든 백성이 자신의 삶을 좀 더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방법을, 그 길을 열수 있기를. 그러나 김내경은 아마도 자신의 상에 갖혀 스스로 보고자 한 것만 보고 만 것인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소설의 마지막이 조금 허무했는지도.

 

세상에 자신의 운명을 바꿀 수 있는 방법이 어디 있으랴. 있다 해도 그것은 자기 자신만이 만들어 갈 수 있는, 스스로의 몫이리라. 영화에서는 어떨지 궁금하다. 아마도 2권부터가 중점적으로 다뤄질 것 같고 소설 보다 한명회의 역할이 좀 더 크지 않을까. 그리고 극적인 효과가 있으니 관상, 특히 국부 관상에 대한 부분은 좀 더 재미있게 그려지지 않을 까 상상해 본다. 김종서와 수양대군의 모습도 어떨지 궁금하다. 색 기 넘치는 연홍과 내경과의 사이도 좀 에로틱하게 그려지려는지.

 

여전히 나의 호기심과 미래를 보고 싶다는 욕망이 사라진 것은 아니다. 그러나 최소한 내 얼굴만은 책임지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내가 하고 있는 일이 사람들의 사랑을 먹고 사는 일이라 내가 과연 남들이 말하는 성공을 할 수 있을지, 어쩌면 지금처럼 살다가 끝나 버릴 지도 모르지만 타고난 내 얼굴보다 더 못난 삶을 살고 싶지는 않다.

 

중요한 것은 타고난 운명이 아니라 '어떻게 살아가는 가' 바로 이것이 아닐런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