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망의 곤충학 - 자원 곤충, 인간의 물질문명을 진화시키다
길버트 월드바우어 지음, 김소정 옮김 / 한울림어린이(한울림) / 2013년 9월
평점 :
절판


욕망의 곤충학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곤충은 어떠한 존재일까? 요즘 TV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오지를 탐험하는 예능프로를 보면 우리는 먹지 않는 동물이나 곤충을 먹는 장면을 자주 접할 수 있다. 다른 여러 나라들은 전갈이나 쥐, 뱀, 애벌레들을 재료로 하는 요리도 있는데 우리는 메뚜기를 먹는 것 이외 다른 종류의 곤충을 먹는 경우는 거의 없는 것 같다. 아무래도 곤충은 먹기에는 좀 징그러운 존재, 혹은 해충의 다른 이름이 아닌가 한다. 그런데 이 책에서는 그런 곤충들을 소개한다. 그중 특별히 인류에게 도움을 준 곤충들과 그들이 우리에게 준 선물을 소개한다.

 

우리에게 도움을 주는 곤충은 일단 벌을 들 수가 있을 것이다. 그들은 우리에게 달콤한 꿀을 주고 그들이 만든 6각형 집은 사람들에게 건축의 아이디어와 건강에 좋은 성분을 준다. 또한 꽃들을 수분시켜 우리에게 열매를 주기도 한다. 어떤 학자는 꿀벌이 사라지면 몇 년 안에 인류도 멸망할 것이라는 무시무시한 경고를 하기도 했는데 충분히 일리 있는 말일 것이다. 지금도 알 수 없는 이유로 매년 몇 퍼센트씩 꿀벌이 없어지고 있다고 하는데 아마 환경이 오염되는 이유가 가장 크다고 말할 수가 있으니 그건 인류에게도 좋은 징조가 아니다.

 

또한 우리에게 옷감을 주는 누에나방, 염료를 주는 깍지벌레, 말리거나 살아있는 그대로 악세서리로 쓰는 화려한 딱지벌레, 비단벌레류, 잉크를 주는 혹벌레의 혹등,도 있고, 다친 부위를 소독해 주는 구더기에 벌어진 피부를 집어서 붙여주는 병정개미까지, 이렇게 우리 생활 깊숙히 들어와 있다는 것은 생각지도 못했던 일이다. 또한 저자는 동양의 상형문자인 한자에 곤충을 뜻하는 글씨가 있다는 것을 신기하게 생각한다. 우리에겐 별것 아니지만 문화가 다른 곳에선 그런 글자가 있다는 것이 신기해 보이는 모양이다.

 

책을 읽기 전에도 그랬지만 지금도 그들이 애써 만든 것들을 우리가 빼앗아 가는 것이 아닌가, 곤충이라고 해서 너무 쉽게 생각하는 것은 아닌가 고민은 계속되고 그에 덧붙여 우리에게 참으로 많은 것을 주는 곤충들을 벌레라하여 너무 징그럽게 여기거나 함께 살아가는 것을 혐오스럽게 생각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반성을 하게 한다. 어느 학자는 미래의 떠오르는 식량자원으로 곤충을 얘기했다고 하는데 그 말도 일리가 있는 듯 느껴진다.

 

책은 아주 흥미롭고 재미있었다. 책 읽은 전후를 비교해 보면 곤충에 보는 느낌이 달라진 같은데, 예전에는 무작정 징그럽기만 했다면 지금은 모르는 곤충을 만나면 어떤 곤충인지 궁금증이 먼저 일어나는 것으로 바뀐 것이다.

 

그러나 책을 읽으며 조금 아쉬운 부분이 있었다. 이 책에는 삽화가 들어가 있는데 좀 더 많은 삽화나 실제 사진이 첨부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떤 벌레들이나 벌레들이 만든 고치, 그들을 이용해 만드는 물건들이 글의 묘사만으로는 이해하기가 어려운 부분이 있었고 인터넷 검색만으로는 아쉬운 부분이 있었기 때문이다.

 

곤충. 이 세상을 살아가는 모든 생물 무생물이 의미 없는 존재가 없지만 특히 곤충은 우리에게 참으로 많은 것들을 주고 희생을 하면서도 그 진가는 알려지지 않은 것 같다. 그들은 우리에게 많은 것을 주지만 반대로 우리는 그들에게 어떠한 존재인지 생각해 보지 않을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