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장군 흑치상지
신규식 지음 / 산마루 / 2012년 10월
평점 :
대장군 흑치상지
신라나 고구려에 비해 상대적으로 별 관심이 없었던 백제에 대해 관심이 생긴 것은 김운회 저 ‘대쥬신을 찾아서’를 읽은 후부터였다. 백제를 그냥 백제로만 알고 있었고, 상대적으로 신라나 고구려에 비해 약한 나라로만 알고 있었던 내게 김운회 저자는 새로운 시각으로 백제를 보게 해 주었다. 백제는 그냥 백제가 아니라 바로 ‘부여’의 한 줄기라는 것, 그리고 백제뿐만 아니라 ‘왜’ 도 부여의 한 줄기라는 것, 백제 황실의 성이 ‘부여’ 라는 것, 부여는 망한 것이 아니라 축소되긴 했으나 그 줄기를 이어왔던 것 등등 내게 새로운 시각을 일깨워 주었다.
이 소설 속에도 바로 이와 같은 내용이 나온다. 백제가 신라와 당에 의해 패망하자 왜가 도움을 주기 위해 수도까지 옮겨가며 병력을 지원한다. 그러나 백제는 결국 망해버렸고, 한반도에서 부여의 정통성을 가진 줄기는 끝이 나 버린 것이다.
대장군 흑치상지는 백제라는 존재가 그렇듯 내게 중요한 인물이 아니었다. 좀더 솔직히 말하면 소설 삼국지에 나오는 그런 장수들 보다 우리 조상들 중 이순신을 제외한 어떤 장수가 큰 조명을 받고 있을까 생각하면 내가 흑치상지를 모르는 것 보다 더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가 없다. 남의 나라 장수들 이름이나 그들이 전투에서 썼던 병법, 그들의 말과 일화들이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늘 회자되고 응용되고 있는 것에 비하면 우리의 장수들은 그 존재가 참으로 미미하다고 말 할 수밖에 없다.
그런 와중에 패망한 나라 백제의 장수라니. 저자는 아마도 나와 비슷한 마음으로 흑치상지라는 장수를 생각했는지도 모르겠다. 어찌하여 부여의 후손인 찬란한 제국 백제가 패망하게 되었는지, 백제의 장수가 자신을 망하게 한 나라의 장수로 싸우게 되었는지, 그 위대한 싸울아비들이 어찌 우리의 기억 속에서 잊혀지게 되었는지 안타깝고 안타깝다.
저자는 이 장수를 통해 올바른 리더쉽과, 인재등용의 중요성 그리고 요즘 특히 더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보안’ 에 대해 말하고 싶었다고 한다. 백제는 당과 신라에 의해 패망한 것이 아니다. 바로 인재를 제대로 쓰지 못한 리더에게 문제가 있어, 자신들 스스로, 안에서부터 먼저 무너져 내렸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일은 시대를 달리해 오며 늘 되풀이 되어온 역사다. 바로 근대 조선이 그랬다. 을사오적들이 일본에게 나라를 통으로 갖다 바친 것, 그리고 그들의 후손은 여전히 자신들이 국민들을 배신하고 국민들에게 빼앗은 자신들의 재산을 돌려달라고 아우성 치고 있다. 그들에게 나라도 국민도 중요하지 않다. 바로 백제 귀족들이 백제든 신라든 당이든 자신들의 지위와 권력, 재산만 유지 할 수 있다면 어떤 나라이든 상관없어 세작 노릇을 했던 것처럼 ‘친일파’ 라고 일컬어지는 이들도 마찬가지 인 것이다.
그것뿐인가? 보안 문제를 보자면 현 MB정부는 그들이 주장하듯 ‘천안함’ 이 북한에 의해 ‘폭파’ 되도록 그 사실을 알지도 못했으며, 일이 일어나자 마자 지하벙커로 들어가 그들만의 은밀한 회의만 가질 뿐이었다. 다른 나라들이 다 아는 정보조차 우리 정부는 알지 못한다. 이런 여러 일들을 보면 백제나 지금의 한국이나 다를 바가 없다는 생각이 든다.
흔히들 보안 이라 말하면 아직도 ‘빨갱이’를 떠올리며, 북한을 떠올린다. 이 글로벌한 세계에서 우리가 경계 해야 할 존재는 오로지 ‘북한’뿐인 것처럼 더 중요한 것들은 알지 못하고 관심도 가지지 않도록 많은 정치적 장치들로 결계를 처 놓은 듯 하다.
실은 읽으며 별로 재미가 없었다. 흥미 있는 전투씬도 없었고, 흑치상지가 백제를 놓아버리게 된 계기도, 당나라 사람의 양자가 되는 것도, 당의 장수로 살아가게 되는 것도 그런 당위성을 느낄 수도 없었고 읽는 내내 참으로 힘이 빠졌다. 패망한 나라의 장수여서 일지도 모르겠다. 흑치상지는 백제의 위대한 싸울아비로써 제대로 싸워보지도 못한 채 나라는 망했고, 겨우 목숨을 부지해 성 안에서 버티기만 하다 결국 당으로 가게 되 버리니까.
이 지독한 패배감은 현실에서 바로 내가 느끼는 그런 감정이 아닌가 한다. 얼마 전에 있었던 상식 밖의 투표 방식은 정말로 이런 나라에 내가 국민으로 살아가고 있다는 것이 안타까울 만큼 한심스럽고 어이없음이고, 아직도 해결되지 못한 친일의 청산, 대통령 인수위 임명에서 보는 대통령 당선자의 리더쉽은 어떤지, 그들이 내세우는 리더와 그 리더를 보좌하는 사람들의 모습은 참으로 한심스럽기 그지 없다.
흑치상지는 너무나 아픈 존재이다. 백제가 사라지고 유일한 부여의 후손 일본은 지금 우리와 어떤 관계인가? 훌륭한 인재들은 지금 어떤 모습으로 살고 있나? 여러 가지를 생각하게 하지만 참으로 씁쓸하기 그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