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 한비자 법法 술術로 세상을 논하다 만화로 재미있게 읽는 고전 지혜 시리즈 1
조득필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2년 5월
평점 :
품절


(만화) 한비자 -법法 술術 로 세상을 논하다

 

 

 

 

한비<韓非>는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고대 법가(法家) 사상의 집대성자로 인간은 욕망의 충족을 목표로 투쟁하는 이기적인 존재라 규정하고, 그로부터 절대전제군주의 법에 의한 지배가 사회의 질서를 가져온다는 지배계급의 사상을 설파한 정치가이며, 형법의 여러 이론들을 설명하고 풀이한《한비자(韓非子)》란 유명한 저서를 남겼다.

 

네이버 지식사전 발췌-

 

요즘 들어 춘추전국시대 제자백가의 노자, 장자, 한비자 등의 책들이 많이 눈에 띈다. 4월에 있었던 총선과 올해 말에 있을 대선의 영향이 적지 않았을 것이다.

또한 출판되는 책들이나 TV에서 방송되는 사극의 주인공들을 보면 현재의 정치, 사회적 상황을 어떤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지를 잘 알 수 있다. 정권이 바뀔 때는 여러 견해와 주장들이 내세워지기 마련이다.

 

한비자는 일명 제왕학의 성전이라 할 만큼 통치나 리더쉽에 관련되어 읽혀지는 책이기도 한데, 그 시대가 혼란의 시대였고 많은 나라로 나뉘어 패권을 가지기 위해 전쟁을 하던 시대였기 때문에, 그에 따라 많은 정치가와 철학자들이 제각각의 입신양명과 처세술, 통치학 등의 이론과 철학을 설파하며 각 나라에 중히 쓰이기를 경쟁하였다.

 

그 중 한비의 법가사상은 인간을 욕망을 추구하는 이기적인 존재인 성악설에 기반을 두고 법의 제정과 엄격한 시행을 강조한 학파인데, 한비의 저서 한비자는 군주의 권력, 통치기술, 상과 벌, , 제도, 부국강병의 방법 등을 다루고 있다.

 

이 책 만화 한비자는 어려운 한비자를 만화로 만들어, 관심이 있어도 어려울 듯하여 쉽게 접하기 힘든 일반인들과 학생들이 읽기에 아주 쉽게 되어있다.

 

 

아주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구전 이야기를 예로 들어 인생의 철학과 교훈 지혜 등을 가르치고 있는 원전을 만화로 표현하고 있고, 고사성어 풀이를 따로 하고 있어 이해하기가 쉽다. 게다가 설명된 이야기와 비슷한 우리의 역사를 소개하고 있어 중국 역사의 흐름을 모르면 이해하기 애매한 장면들도 우리 역사에 비추어 돌아볼 수 있어 생각할 것들도 던져 준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역시 만화라는 한계로 인해 법가의 사상을 제대로 깊이 있게 이해하기는 어려울 듯하단 것이다. 그러나 공부하는 청소년, 한비나 법가의 사상을 처음 접하는 사람, 혹은 정치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들에겐 아주 유용한 독서가 될 듯하다.

 

인간을 어떤 식으로 보는가, 국가와 국민, 정치와 제도, 역사를 어떻게 보는지에 따라 많은 이론들이나 철학이 만들어 진다. 통치나, , 체계등의 다소 수직적이고 강압적인 느낌의 사상이 부담이 된다면 노자나 장자의 책들을 권하는 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