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피림
황선혁 지음 / 북랩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네피림》

 


 

예전에 ‘다카노 가즈아키’의 《제노사이드》를 읽으면서 신인류의 모습은 어떨지 궁금했던 적이 있다. 어떻게, 어떤 식으로 나타나게 될지, 나타난다면 그들 종족이 현재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와 이 지구에서 함께 살아갈지 아님 대 학살을 벌이게 될지 여러 궁금증이 생겼었다. 이 소설의 놀라운 점은 새로운 인류의 출연과 이에 맞서 는 현생 인류의 대응을 보여주는 것 만 아니라 먹이 사슬의 맨 꼭대기에서 지구의 주인으로 군림하던 인류의 처지가 역전 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데 있었다.

 

소설《네피림》에선 또 다른 인류의 출연을 보여준다. ‘네피림’은 성경에 나오는 종족으로 하나님의 아들들이 인간 여성과 사랑해 낳은 자손들이라고 하는데, 하나님이 이 이종교배를 보고 세상이 죄악으로 물들었노라 판단하여 ‘노아의 홍수’를 일으켰다고 한다. 소설은 이 구절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작가의 말-

 

소설 속 ‘네피림’은 과학자의 열정에서 창조되었다. ‘창조 되었다’ 기 보단 ‘계량 되었다’ 고 해야 할까? 선천적으로 장애가 있어 아버지에게 버림받은 일본의 ‘아이코’는 다른 동물에게서 유전자를 따와 발달된 기관만을 가져와서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인류, 초 인류를 만들고자 한다. 그러나 윤리적이지 못하다는 이유로 학회와 대학에서도 쫓겨나게 되자 은밀한 제안을 받고 모든 윤리에서 자유로운 북한으로 넘어간다.

 

그리고 생명과학자 ‘지섭’은 세 번의 유산 끝에 자살해버린 아내를 되살리기 위해 ‘인간복제’와 이를 위한 ‘인공자궁’ 연구에 몰두한다. 그러나 역시 생명윤리단체와 기독교 단체의 반대에 부딪혀 거의 완성단계에 있던 연구가 중단된다. 그리고 은밀한 제안으로 그 또한 북한으로 가게 된다.

 

소설 속에서 북한은 모든 윤리와 규제에서 자유롭게 그려진다. 그 곳에서 북한 당국의 은밀하고 전폭적인 지원 아래 아이코가 온갖 생물로부터 특화된 유전자를 모두 배합한 인간의 배아를 지섭의 ‘인공자궁’에서 배양시켜 성체로 만드는데 성공한다. 그리고 북한은 이 즈음에 그들을 북한으로 데려온 진짜 목적을 밝힌다. 이름 하여 ‘네피림’ 프로젝트! 북한은 1,000개가 넘는 인공자궁을 이용해 유전자를 조작한 신인류 ‘네피림’을 대거 양산하여 혁명을 일으키고자 했던 것이다.

 

그들이 말하는 ‘혁명’이란 과연 무엇일까? 신인류의 보호아래 모두가 평등해 질 수 있는 세상을 만들고자 하지만 이를 위해서 세계 전쟁은 불가피해 보인다. 원하는 걸 얻기 위해 희생이 필요하다고 하지만 그 희생을 딛고 새로운 세상을 만들 수 있었던가. 주인공들이 만들어 낸 새로운 생명, 중국과 미국이 개발한 인공지능 등은 소설을 조금 풍성하게 만들어 주며 결말을 유도한다.

 

소설은 SF 소설이긴 하지만 전문적이지 않고 성경에서 따온 소재는 독특하지만 존재에 대한 깊은 고민은 잘 드러나지 않아 아쉬움이 남는다. 작가의 첫 소설이라 그런지 배경지식이 부족하여 보이고 사전에 철저한 준비가 없었다는 것이 소설에 고스란히 드러나 또 아쉬움이 남는다. 또한 북한을 스테레오 타입으로 그린 것도 아쉬움의 한 부분이다. 다만 소재나 아이디어가 좋았다는 것은 장점으로 이런 반짝이는 아이디어를 잘 살릴 수 있도록 많은 공부와 경험, 철학적인 성찰과 노력을 해 나가 훗날 멋진 작품을 만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