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베트의 만찬 일러스트와 함께 읽는 세계명작
이자크 디네센 지음, 추미옥 옮김, 노에미 비야무사 그림 / 문학동네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고 나서 이 소설이 오래전에 영화로 만들어졌다길래 영화를 찾아 보았다. 단편을 긴 영화로 만들다보니 원작에 굉장히 충실했는데 1870년대의 프랑스 요리다보니 실제 재료들을 공수해오는 장면이나 재료 손질을 하는 장면에서 약간 혐오스러웠다. 요즘은 귀여운 메추라기를 보면서 맛있겠다고 생각하기 어렵고 실제로 메추리 털을 하나 하나 뽑아 손질해서 조리하지도 않기 때문이다.
그 당시 사람들에겐 그런 요리는 특별한 날에나 먹는 만찬이었지만 요즘은 매일 고기가 흔하게 식탁에 오르내리니 공장식 축산이 성행하고 `동물`과 `고기`를 최대한 분리해서 생각하는게 자연스럽다.
우린 날마다 `고기`를 먹지만 `소`를 먹는다 생각하진 않는 습관이 들여졌으니 바베트가 요리하는 장면에 소머리가 떡하니 올려져 있고, 커다란 바다거북이 요리되길 기다리며 꿈틀거리고, 닭장 속에 메추라기들이 털이 뽑혀 빵속에 영계 모양으로 장식되고, 화룡점정으로 메추리 머리가 떡하니 올라갈 때 기겁을 할 수 밖에.
항상 검소하고 청렴한 생활이 미덕인 청교도 들에게 프랑스 요리사가 내놓은 만찬은 힐링이 되어 북유럽 찬 겨울 사람들의 마음을 나도 모르게 녹아내리게 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모든것이 과잉인 지금, 너무 잘 차려진 식사로 욕망을 채우는 것보다는 소박하고 정갈한 식사로 내 혀의 자극을 다스리는 것이 더 필요한 일이 아닐까. 이 책을 보면서, 영화를 보면서 금욕적이고 단정한 두 자매와 마을의 분위기에 더 끌린 것은 바로 그 때문인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