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면, 인문학 공부를 하는 핵심이 바로 '주체'에 대한 고민때문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나라는 주체는 항상 실제의 내 자신과 일치하지 못해서 힘들었던 것 같아요. 어쩌면 내게도 권력욕이 숨어있었겠지요. 그저 단순히 한 객체이기보다는 주체로서 거듭나고 싶었다고 해야하나... 

그렇게 기대했던 '주체'의 첫강의 날, 미리 확인도 하지않고 당연히 책의 순서상 '권력' 강의라고 생각을 한 것이죠. 전철타는 시간만 무려 1시간 30분이나 되는 거리를 달려가는지라 충분히 전철안에서 책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란 생각을 했답니다. 두둥~  

이정우 선생님의 첫강의는, 채운 선생님 시간처럼 활발한 느낌은 없었지만 저는 나름 만족스러운 시간이었답니다. 의외로 이정우 선생님께서 쉽게 설명을 해주셨기 때문이겠죠. 차분하고 가라앉은 분위기 였지만 오히려 골똘히 생각할 수 있는 여유는 더 있었다고 할까요... 실제의 나와 보여지는 내가 일치하지 않아서 했던 고민들의 무게가 조금은 빠지는 느낌이였으니까요. 두시간을 걸려 집에 돌아와 '주체란 무엇인가'를 펼쳤습니다. 늦은 시간이기도 했지만, 책은 의외로 어렵더군요. 아마도 강의를 먼저 듣지 못했다면 한페이지 넘기기가 수월치 않았을거예요. 

그리고, 주체에 대한 두번째 시간... 허둥지둥 달려간 탓도 있지만, 요즘 몸이 조금 안좋아서 컨디션이 영 말이 아니거든요. 강의 시작하고 얼마간 집중이 안되더라구요. 첫시간보다 강의도 어려웠고 머릿속이 마구 꼬이는 느낌도 들고... 급기야 도망가버릴까 하는 생각이 들지 뭡니까. ㅡ.ㅡ;  대충 뭉개며 시간을 보낼것이냐 도망할 것이냐의 기로에서 결정적으로 혼미한 나의 정신을 깨워 준 것은 헤겔의 '인간은 타인의 욕망을 욕망한다'였습니다. 하! 하! 하!  나는 나이고 싶기에 여기 앉아 있다는 걸 급 깨닫은거죠. 역시 공부는 시킨다고 하는것이 아니죠. ㅋㅋㅋ  

베야민의 역사관이 가장 크게 다가왔습니다. 역사가 그랬기 때문에 지금 이러한 것이 아니라 지금 돌아보니 역사가 그랬더라는 미묘한 차이. 그것은 채운 선생님의 2강때 프로이트 이야기와 같은 맥락이라고 생각해요. 어린시절의 어떠한 일이 지금의 나를 괴롭히는 것이 아니라, 지금 이러한 때 돌아보니 어린날 그런일이 있어더라는.... '지금 어떻게 하느냐'가 역사의 의미를 다르게 할 것이라는 선생님의 말씀이 제게는 가장 크게 남았어요. 

제게도 지난 2009는 엄청 큰 의미가 있는 해였습니다. 내가 살고 있는 이 땅, 내 아이가 살아갈 이 땅에 대한 두려움, 서글픔... 문득 어느때는 그냥 떠나버릴까 하는 생각을 하기도 하죠. 이런 이야기를 하면 친구들이 말합니다. 왜 대학때 고민을 지금하느냐고. 그래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이냐고. 그건 그저 이상일뿐 현실은 이러한거라고...  이정우 선생님 1강때 하신말씀이 떠오르네요. 사람이 변해도 큰 줄거리는 있어야 한다고 하셨죠. 그것이 바로 주체 아닐까 합니다. 휩쓸리고 흔들려도 내가 나로 존재할 수 있는것요.  

집이 멀어 질문 시간에 먼저 자리를 떠 이정우 선생님께 감사의 박수 쳐드리지 못한게 못내 아쉽네요.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10-02-06 11: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젠 저도 그랬는데...새벽 한시에 깨서 계속 잠을 못 자고 있었거든요..(나이탓인가...그러고 있답니다..ㅋㅋ) 덕분에 첫강의 끝날무렵(쉬는시간전)에 너무 너무 피곤하고 졸려서...아~~시계만 들여다 보느라 정말 민망했습니다. 그렇다고 강의중에 조는건 학교다닐때도 안해본 거라....(아~정말 모범생 신드럼이다..ㅎㅎ) 어찌어지해서 무사히 들은 강의....하여간..이정우교수님의 차분한 강의가 돋보인 날이었습니다...마지막 질문인...우주,우주인..등등.....음~~나름 재미난 질문이었습니다..저도 평소에 많이 생각해보고 있는 거거든요..시간이 너무 촉박해서..(이미 시간은 10시가까이 되고있었고....해서요)아쉽게 마친 강의였답니다...멀리서 오시는 군요...힘내십시오..그리고 나중에 2009년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싶군요..그게 혹시 작년에 있었던 일련의 사건들(촛불,용산,노대통령서거 등등) 때문에 그런건가요??? .........얼마전에 씨랜드사태로 우리나라를 떠났던 몇분이 귀국 했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전 씨랜드 사건이후에 우리 아이들은 절대로 캠프를 보내지 않습니다. 학교에서 가는것도 교회에서 가는것도....다요..(유별나다는 이야기 많이 듣습니다..아이들도 불만이 많구요) 제가 너무 사회에 대한, 사람에 대한 믿음이 없는건지 모르겠지만...제가 같이 가는 캠프만 참석을 시킵니다..그런데 아이들이 커가니까..그것도 마음대로 못하겠더군요...하여간 어렵답니다.....힘내시라는(정확한 상황을 몰라서 뭐라 말씀은 못 드리겠습니다) 말밖에 이야기를 못하겠네요...

blue0729 2010-02-06 15: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정우 선생님이 요즘 인문학 공부의 장이 많이 생긴거 같은데.. 매우 바람직한 현상인 것 같아요- 라고 말씀하시는 것을 보며 참 뿌듯했었는데. 이렇게 자기 자신으로부터 깨어나는 대한민국 국민이 점차점차 많아지면 조만간 살기좋은 나라가 되지 않을까요?^^ 저도 이번 수업은 어려워서 많이 힘들어했답니다ㅎㅎ 정말 수고하셨어요!!

윤재홍 2010-02-14 00: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이야기를 하면 친구들이 말합니다. 왜 대학때 고민을 지금하느냐고. 그래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이냐고. 그건 그저 이상일뿐 현실은 이러한거라고... 이정우 선생님 1강때 하신말씀이 떠오르네요. 사람이 변해도 큰 줄거리는 있어야 한다고 하셨죠. 그것이 바로 주체 아닐까 합니다. 휩쓸리고 흔들려도 내가 나로 존재할 수 있는것요.

이 말씀에 공감합니다.

흘러가는 인생이 될 수도 해쳐나가는 인생이 될 수도 .. 그것은 우리의 몫일 것이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