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꽃밥 - 제133회 나오키상 수상작
슈카와 미나토 지음, 김난주 옮김 / 민음사 / 2006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소설 원작으로 동명의 영화가 2025년 제작 개봉되었다.
그래서 리뷰를 남겨 본다...
유아어(幼兒語)라고도 한다.
유아가 말을 배우기 시작하였을 때 사용하는 유아 특유의 언어로 어른이 유아를 대할 때에 사용하는 말이다.
물론 그 아기들 역시 귀엽게 유아어를 이해하게 되고 사용한다.
아기에게 엄마가 "맘마(또는 만마)먹자..." 라고 하면 어느 순간 아기는 "맘마.. 맘마.."하고 식사라는 것을 알아차리지 않나...
어부바, 지지, 떼찌, 쉬~~, 응가... 등도 마찬가지 맥락이다.
이 영화의 제목은 '꽃밥 ; 꽃 맘마'(일본어로는 花하나 まんま만마)로
2005년 (133회) 나오키상 수상작(直木三十五賞)인 슈카와 미나토의 단편 모음집 **'꽃밥'을 원작으로 하는 영화이다.
다만 차이가 존재하는데 시대 배경(내 나이는 기억하지만 90년대 말까지만 해도 백화점에 엘리베이터 걸이 있었다)이 더 뒤로 가 있으며 원작에 전후의 에피소드가 새롭게 추가되고 각색되어 살짝 오싹한 원작의 느낌을 상당히 다른 방식으로 희석시키고 있었다. 이에 따른 호불호는 각자 개인의 취향으로 뒤바뀌지 않을까.. 또는 원작을 모르고 본다면 더 좋지 않을까 생각해보았다. (스포일러이기에 원작과 달리 후미코가 시게타 가족과 계속 만남을 가져왔는지 결혼식에 그 가족을 초대하는지에 대해선 pass...)
**소설은 어린 시절(6개의 단편 소설 속 주인공들은 모두 초등학생 때의 기억을 소재로 하고 있다) 오사카의 서민적인 공간을 무대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70~80년대 생들은 공감할 수 있는 그런 시대적 배경을 체험할 수 있다^^ 그리고 '맘마'라는 제목이 어린 시절을 환기시켜주는, 기억을 가로지르게 하는 준비 역할을 하는 게 아닐까...
슈카와 미나토의 작품 중에서 같이 수록되어 있는 '얼음 나비' 더불어 이상하리 만큼 기억에 남는 단편으로 내용을 아직도 기억하고 있다.
(알라딘의 구매자 평을 보니 2011년도에 처음 읽었던 것 같다. 벌써 14년도 더 지난 오래된 세월이구나^^)
이 소설... 역시 나오키상 받을 만 했다고 인정했다.
특히 역전 되는 말(그리고 제목)의 의미...
말소리와 문자로써 유아적 발화 '맘마'(일본어 표기まんま ; 만마) + 꽃이라는 시각적 이미지가 어떻게 소설 제목으로 탁월했는지 그리고 기능하는지 아주 감탄하고 말았던....
"그 할아버지는 불쌍한 사람이야" 답답함을 무마하려는 듯 아줌마는 가까이 있는 빗자루를 들고 가게 앞을 쓸면서 말했다.
"벌써 십 년이 다 돼가지 아마. 그 할아버지에게는 나와 나이가 똑같은 딸이 있었단다. 몸매도 날씬하고 예쁜 애였는데, 불행한 사고를 당해 죽고 말았지." ..." 그 당시 할아버지는 회사에 다니고 있었는데, 딸이 사고를 당한 그때 볼일이 있어서 밖에 나갔다가 점심을 먹고 있었어. 그야 물론, 그런 일이 생겼다는 것을 알 리가 없으니 당연한 일이지.. 할아버지는 그런 자신을 용서할 수가 없었어. 딸이 고통스러워하며 죽어갈 때, 태평하게 튀김을 먹고 있었던 자신이 원망스러워 견딜 수가 없었던 거지. 그래서.. 그 후로 할어버지는 통 음식에 입을 안 대. .. 오늘이 이번 달의 기일이란다."
...
"이거, 꽃밥이에요. 기요미가 어렸을 때, 곧잘 만들었잖아요. 틀림없어요. 빨간 철쭉꽃을 매실 장아찌처럼 밥 한 가운데 콕 박는 거, 기요미의 특기였잖아요. 벚나무 잎을 잘게 뜯어서 멸치볶음처럼 만드는 것도 그 아이가 고안한 것이고."
문득 쳐다보니, 그 야윌 대로 야윈 노인이 두 손으로 도시락을 들고 우뚝 서 있었다. 그 손이 부들부들 떨리고 있었다.
"정말, 이것 좀 보거라. 수저통에 나뭇가지 두 개가 나란히 들어 있는 것도 그렇고, 쥐는 부분의 껍질을 군데군데 벗겨내서 무늬처럼 만든 것도, 기요미가 늘 이렇게 했잖느냐."
노인은 나뭇가지로 하얀 철쭉꽃을 집어 입에 넣는 시늉을 했다.
그러고 보니 후미코는 어렸을 때부터 꽃이나 잎사귀로 음식 만들기를 좋아했다. 시게타 기요미가 어렸을 때도 그랬으리라.
"냠냠, 냠냠,아 맛있구나."
노인은 턱을 움직이며 밥을 씹는 시늉을 하고는 더욱 큰 몸짓으로 꿀꺽 삼키는 시늉을 했다. 그 연기가 너무도 실감나서 정말 먹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소설 '꽃밥' 중에서
매실장아찌 도시락은 철쭉 꽃밥으로, 실제 젓가락은 나뭇가지 젓가락으로, 먹는 음식은 먹을 수 없는 모조품으로, 살아 있는 자는 죽은 자로....
꽃밥은 단순한 ‘음식’이 아니라 의례적이며 환상적(죽은 자와의 매개)으로 뒤바뀌며 사건과 순간 그리고 꽃밥은 기요미=후미코 동일시의 장치, 멈춰있는 시간의 감각으로 작동하고 있었다.
재미난 점은 빨간 철쭉꽃을 매실 장아찌처럼 밥 한 가운데 콕 박는 거, 기요미의 특기였잖아요. 벚나무 잎을 잘게 뜯어서 멸치볶음처럼 만드는 것도 그 아이가 고안한 것이고......수저통에 나뭇가지 두 개가 나란히 들어 있는 것도 그렇고, 쥐는 부분의 껍질을 군데군데 벗겨내서 무늬처럼 만든 것도, 기요미가 늘 이렇게 했잖느냐. 꽃밥의 현실적인 묘사가 전체적인 분위기의 환상 또는 기묘함을 넘어서서 오컬트하거나 기이함 없이도 나를 설득시켜 목이 메이게 하는 감정을 유도하던 장면들은 가슴이 꽉찰만큼 저릿했었다.
그렇다. 꽃밥은 실제 음식이 아니다. 그것은 10여년 전 죽은 기요미의 흔적이며, 기억으로 죽은 자의 극적인 존재 증명이었다.
그리고 그 가족에겐 애도의 증표이자 추억이었다. 꽃밥이라는 의미가 예상과는 달리 기억을 불러내는 조용한 의례로써, 시간을 가로지르는 사슬로써 너무나 낯설게 바뀔 때의 차이에서 무지막지하게 흔들리던 감정의 체험이 내게는 너무나 인상적이었다.
기요미는 불행한 죽음으로 사라졌고 그 남은 가족은 상실의 아픔으로 힘들게 살아가게 되는데 환상이 개입된다.
살아 있는 후미코의 기억과 흔적으로 기요미의 그 리듬이 다시 살아 움직여 애도로써 현재와 화해시키던 서정적 순간들이 원작 소설의 진한 감동이었다.
인간에게 환상만큼 중요한 것이 또 있을까.
추억의 은밀한 작동이자, 애도의 장치로써 그것을 문학... 소설과 영화가 해내고 있었다.
그것은 사라진 자를 되살리려는 노력이 아니라, 기억으로, 추억으로 상실을 몸에 새기며 살아가는 방식을...
죽음이 완전한 단절이 아니라 어떻게 현재에 스며드는지 또다르게 보여주는 과정이었다.
슈카와 미나토 단편 소설들 속에서 간간이 만날 수 있었던 이런 류의 환상을 과거 나는 무척 좋아했었다.
ほんまに関係なくない. 私の中には, いつも清美さんがおった. ニーヤンはお父ちゃんと一緒に大阪城登ったとか, 三好でお好み食べたとか,いっぱいいろんな記憶あるやろ. バンザイも一緒にしたやろ. でも私にはなんもない.
그래도 관련 없는 거 아니야. 진짜 관련 없다고 할 수 없어. 내 안에는 항상 키요미 씨가 있었어.
오빠는 아빠랑 같이 오사카성에도 올라가고 미요시에서 오코노미야키를 먹었다거나 온갖 추억이 많잖아. 만세도 같이 했다면서. 그런데 나는 아무 기억이 없어.
けど, 清美さんが私の中にいるおかげで, 私は父親というものがどういうもんか分かった.
どれだけ清美さんが, 重田のお父さんのこと好きやったか. どれだけ清美さんのことを, 重田のお父さんが愛してたか. それが分かんねん.
그래도 내 안에 키요미 씨가 있었기 때문에 나는 아버지가 어떤 존재인지 알게 되었어.
기요미 씨가 얼마나 시게타 아빠를 좋아했는지, 시게타 아빠가 얼마나 기요미를 사랑했는지 그걸 알게 됐어.
★★★★★
https://blog.naver.com/mix1110/223981568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