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긴 상처가 아니라면, 왜 쓰겠는가? 상처가 없으면 쓸 일도 없다. 작가는(학자도 마찬가지다) 죽을 때까지 ‘팔아먹을 수 있는‘ 덮어도 덮어도 솟아오르는 상처 wound 가 있어야 한다. 자기 이야기를 쓴다는 것은 경험을 쓰는 것이 아니다. 경험에 대한 해석, 생각, 고통에 대한 사유를 멈추지 않는 것이다. 그 자체로 쉽지 않은 삶이고, 그것을 표현한다는 것은 또 다른 형태의 산을 넘는 일이다. - 정희진의 추천사 중에서
비 오는 토요일... 종일 집에서 자다 깨다했다.겨우 점심 한끼 찌개를 끓이고 반찬을 하나만들고 생선을 굽고 김을 썰어 밥을 지어 먹었다. <파인 다이닝>은 아니었지만, 일주일 중 세 식구 같이 먹은 첫 집밥 밥상이니 그야말로 ‘파인 땡큐‘였다는!
나는 출판과정에서 제일 마지막에 있는 독자이다. 출판하는 마음은 아니고, 출판받는(!) 마음을 느끼는 사람이라고 할까^^ 그냥 평범한 독자이지만 오래 독자노릇을 하다보니, 신기하게도 알게된 출판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출판사 대표님부터 작가, 편집자, 마케터, 서점을 운영하시는 분들까지 친구가 엄청 많아졌다. 페친이기만 한 분도 계시지만, 실제로 뵙고 밥도 먹고 술도 마시는 친구들도 있다. 그래서인지 출판업계에 대한 무한한 애정에 더해, 출판종사자마냥 걱정까지 함께하게 된다. 이 인터뷰집을 통해 출판의 각 과정에 종사하시는 분들의 마음에 대한 이해를 더할 수 있었고, 내 손에 쥐는 책에 대해 더 감사하는 마음을 갖게 되었다는~ 그런 의미에서 은유 님께 감사^^* 이 책에 쓰인 활자의 크기가 노안이 오기 시작한 나같은 독자의 마음을 헤아려준 것 같아서 딱 마음에 든다!ㅎㅎ
최초의 SF소설인 이 작품이 19세기 초인 1818년, 10대 후반에 유부남과 사랑의 도주를 해서 아이를 낳은 여성인 메리 셸리가 쓴 소설이라는 것은 모르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물론 나도 몰랐다.ㅎㅎ 심지어 서문은 남편인 퍼시 비시 셸리가 썼다.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불행한 기록으로만 점철된 인생이었던 메리가 남긴 이 소설의 주인공은, 영화, 뮤지컬로 계속 만들어질만큼 세계에서 제일 유명한 괴물의 이름이 되었다.번역도 잘되어서 문체가 유려하다. 멋지다. 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