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방 스케치 모음 에세이이다. 내가 알거나 가 본 책방이 나오면 무척 반갑다. 역시 자기 경험이 겹칠 때 특별해지는 것 같다. 책이 있는 공간은 그 곳이 어디이든 왠지 위로를 준다. 읽지 않아도 책의 물성만으로도 그런 느낌을 준다. 그래도 우리들의 도시가 #책있는도시 에서 #책읽는도시 가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
강정아 작가의 장편소설 데뷔작이다. 이렇게 잘 읽히는 소설 뭐지 싶더니 이 분, 91학번이시다. 어쩐지 모든 배경과 스토리가 다 철썩같이 척척 붙더라니.나는 91년 우리 학교의 김귀정 열사 죽음으로 백골단이 뭔지, 노제가 뭔지 경험했고, 이후 같은 세대 친구들이 어떻게 소시민과 기득권이 되어가는지도 몸으로 체득했다. 후일담 문학 매우 혐오하면서 다 읽었고 국내 문단의 흐름을 평생 함께 했다. 특히 소설. 이 소설은 뒤늦은 후일담 문학인 듯한 스토리이나 한 소녀의 성장소설이고 가족소설이다. 가족의 굴레에서 벗어나고 싶었으나 내 쉴 곳은 가족 뿐이라는 그 흔하디 흔한 결론을 내리는 어찌보면 상투적인 내용이다.그...런...데. 읽어보면 한 문단 한 문단이 주옥같다. 거침없이 전개되는 이야기 속에 심금을 파고드는 문장이 가득하다. 살아있다는 것, 살아낸다는 것의 어려움과 그 환희가 무엇인지 생각해보게 한다. 극찬이 필요한데 나의 글솜씨와 시간이 부족한게 한이다. 잘읽었다. 정아야!!#책방나라사랑#강정아#무슨책읽어#2쇄엔표지좀멋지게갈면안될까ㅎㅎ
내가 나이들긴 들었나보다. 김애란 소설이 애들이나 읽어야겠다 싶은 거 보면.지우, 소리, 채운이 18세 아이들이고, 다들 엄마가 죽거나 교도소에 있는 결핍의 가정이고, 그래서인지 어려운 삶을 극복하려 힘쓴다. 세 명의 환경이 비슷해서(엄마의 부재) 도입부가 좀 헤깔린다.소설이 청소년 드라마같다. <그해 우리는> 같은 청년들의 드라마 매우 좋아하지만, 소설이란 장르로는 별로다. 이번 소설은 설정이 좀 작위적으로 느껴진다. 성장소설을 써야지 결심한 티가 너무 난다. 김애란인데... 기대했는데...ㅋ#다좋다는소설도내싫으면그만#나많이컸다아니늙었다ㅎㅎ
#박완서 님의 장편소설 #미망 세 권을 2주쯤 걸려 완독했다. 시작이 어렵지, 시작만 하면 뒷 이야기가 궁금하여 밤새 눈이 빨개지도록 읽게 되고, 어서 일끝나고 책 볼 수 있는 시간이 왔으면 하고 기다리게 된다. 대사속에 있는 개성사투리의 입말도 정겹고, 일반 문맥의 묘사도 막힘없이 술술 읽어진다. 막히는 문장이 하나도 없어서 속독이 가능하다. 남도지방엔 #박경리 님의 #토지 가 있었다면, 개성지방엔 #박완서 님의 #미망 이 있다. 선생님이 더 오래 사셨다면 강화도에 온 경국을 통해 개성의 고려인삼이 어떻게 자라나고, 서울에 자리잡은 경우네, 여란이네가 어떤 우여곡절을 겪게 되는지 4,5,6권이 나오지 않았을까... 너무나 아쉽다. 재출간을 통해 오랫만에 이런 장편소설을 만나 소설 읽는 재미에 푹 빠질수 있게 해준 #민음사 에도 감사하다. #무슨책읽어#미망#박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