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토너
존 윌리엄스 지음, 김승욱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5년 1월
평점 :
어제 책을 읽기 시작했을 때는 여유롭게, 시간을 두면서 천천히 읽자고 생각했다. 책을 읽기 시작하고 한 시간 뒤, 그 생각이 얼마나 바보 같은 것이었는지 깨달았다. 책을 도저히 손에서 놓을 수가 없었다. 이렇게 책에 미친 듯이 몰입해서 끝을 볼 때까지 쭉 읽은 것도 정말 오랜만인 것 같다. 엄청난 기대를 하고 보지 않았던 이 책은, 책읽기의 즐거움을 찾고 싶은 사람에게 내가 추천해주고 싶은 책이 되었다.
이 소설의 줄거리를 다소 거칠게 요약하자면 '모든 일에 실패한 삶을 살아간 윌리엄 스토너의 이야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말하면 정말 재미없는 소설처럼 보인다. 자극적인 반전도 없고, 대단한 전환점도 없는 스토너의 삶이 출생부터 쭉 나열되고 있으니까. 소설가 김중혁은 책을 완독하지 않았을 때 다른 소설리스트 멤버들에게 이렇게 물어봤다고 한다. "지금도 재미있게 읽고 있긴 한데 대체 언제부터 재미있어지는 거에요?"
그러나 이 소설의 재미는 바로 스토너의 평범한, 지극히 평범했던 그 일생에 있다. 매사에 수동적이었고, 일, 사랑 그 무엇에서도 실패를 거듭했던 스토너의 삶을 다 읽었을 때, 소설의 감동이 마음을 울린다. 어쩌면 스토너의 삶에서 나 자신의 모습을 언뜻 보았기 때문일까.
1. 이디스, 그레이스
스토너는 평생 살면서 어떤 행동(action)을 직접 행하지 않는다. 그가 보여주는 모든 행동은 그에게 가해진 어떤 행동의 반작용(reaction)일 따름이다. 그리고 그의 반응 중 대부분은, 그의 아내였던 이디스의 행동에서 비롯된다.
이디스는 전형적인 교육을 받던 여성이다. 그녀가 보여주는 행동은 히스테릭하고 때로는 무언가에 사로잡힌 듯한 모습을 자주 보여 정신 불안을 겪는 게 아닌가 싶을 정도다. 가끔씩 그가 스토너에게 가하는 행동들은 상식을 벗어나서, 너무 심한 거 아니냐는 생각까지 드는데, 중요한 것은 그럼에도 그녀가 악역으로 보이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그녀가 자라온 환경, 그리고 과묵하고 학문에만 열중할 뿐인 스토너를 보고 있으면, 그녀가 이렇게까지 정신적인 불안을 겪으며 행동하는 모습이 미워지지 않고 오히려 연민마저 느껴지게 된다. 그녀의 제정신이 아닌 행동은, 제정신을 차리기 위한 행동이었을 것이라는 생각도 든다.
그레이스는 어린 시절부터 아버지의 손에서 자랐기에, 아버지를 많이 따르기도 하고, 부녀 사이에는 어떤 정서적 교감이 느껴지기도 한다. 부녀가 서재에서 서로 눈을 마주치는 장면은, 내가 이 소설에서 가장 좋아하는 장면이다. 하지만 이디스는 자신에게 없는 감정의 소통이 둘을 이어주고 있다는 사실을 견딜 수 없었고, 스토너에게서 그레이스를 빼앗아 자기 식으로 기르기 시작한다.(스토너는 여기서도 아무런 제재도 가하지 않는다. 이 부분이 제일 답답...) 정서불안에 시달리고 있는 그녀의 손에서 자란 그레이스는 부모가 알지 못하는 방황을 겪고, 감옥과 같은 집에서 벗어나기 위해 사랑하지도 않는 남자의 아기를 갖는다. 이후 남편을 잃고 알콜 중독에까지 이르며 파멸의 길을 걷는데, 한때 그녀를 진심으로 아끼고 사랑했던 스토너는, 여기서도 아무것도 하지 못한다. 슬픔으로 가득 찬 얼굴로 바라볼 뿐. "그레이스가 술을 마실 수 있다는 사실이 고마웠다."니. 아...
그레이스와 이디스는 많은 면에서 닮았다. 이는 그레이스가 어린 시절을 제외하면 이디스의 손에서 길러졌다는 것도 한몫을 한다. 둘 모두 자신을 옥죄는 삶에서 벗어나기 위해 결혼을 선택하지만, 그 선택은 불행했다. 그 안에는 지(知)에 대한 사랑도, 상대를 향한 사랑도 부재했기에.
2. 스토너, 책을 사랑한 인간의 자세
스토너의 일생에서 떼 놓을 수 없는 것은 책이다. 그는 평생 동안 영문학을 공부하고, 영문학을 사랑했다. 특히 그가 관심을 쏟은 것이 문법이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문법이라는 것은, 단순한 단어들의 배열 규칙 같은 것이 아니라, 영문학을 이루는 모든 것이자 그 근간이었기 때문이다. 그가 문법에 관심을 쏟았다는 사실은, 그는 영문학 자체를 무목적적으로 사랑했음을 의미한다. 그가 처음으로 문학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가 되었던 사건이, 일정한 리듬과 운율을 요구하는 정형시 소네트였다는 것 역시 이와 같은 맥락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초반에 아처 슬론이 읊어주는 소네트 역시 감탄할 만한 장치인데, 내용이 스토너의 인생을 암시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그가 캐서린 드리스콜과 사랑에 빠진 것은, 그녀가 학문을 사랑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젊은 시절 동물적인 열정에 사로잡혀 결혼까지 했던 이디스와의 생활은, 학문에 대한 사랑을 공유할 수 없었기에 불행했다. 그러나 캐서린은, 그녀뿐만 아니라 그녀의 학문에 대한 사랑까지 있었기에 사랑하면서 잠시나마 행복을 누릴 수 있었던 것이다.
어렸을 때 두 사람은 마음과 몸이 별개의 것이며 서로 적대적인 관계라고 배우며 자랐다. 그래서 별로 깊이 생각해보지도 않고, 둘 중 하나를 선택하려면 나머지 하나를 희생하는 수밖에 없다고 당연한 듯이 믿고 있었다. 둘 중 하나가 다른 하나를 강화해줄 수도 있다는 생각은 한 번도 해본 적이 없었다. 그런데 두 사람이 진실을 깨닫기도 전에 체험이 먼저 찾아왔으므로, 이 새로운 발견이 오로지 두 사람만의 것처럼 보였다. (279쪽)
그러나 마음과 몸이 별개의 것이라고 우기는 세계의 개입으로 이들의 사랑은 끝났다. 스토너는 다시 자신이 사랑했던 단 하나, 책에 빠져 남은 생을 보낸다. 그의 삶을 지켜보며 내가 느꼈던 것 중의 하나는, 바로 책을 대하는, 학문을 대하는 그의 자세에 대한 것이었다. 책을 사랑한다는 것, 책을 읽는다는 것은 이런 것이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어쩌면 실패뿐이었던 그의 인생은, 실패라고 단정지을 수 없는 것인지도 모른다. 자신이 사랑했던 것을 끝까지 추구하는 삶을 살았기에.
3. 약간의 아쉬움, 로맥스와 워커
동료 교수인 로맥스와 그의 제자 워커는 이 작품에서 유난히 돋보이는 전형적인 악당 캐릭터다. 이들은 스토너를 방해하며 소설의 전개를 추동하는 엔진과 같은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 둘이 모두 장애가 있다고 설정한 것이 조금은 불편한 감이 있었다. 마치 장애라는 환경적 조건이 그들을 비뚤어지게 만들었다는 일반화가 성립된 것 같아서. 악당이 가진 불구적인 요소가 그 요소마저 악하게 만들어 버리는 전형적인 사고가 눈에 띄었다고 해야 하나... 그래도 이들이 있었기에 한번도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던 스토너가 자신의 목소리를 강하게 내는 장면을 보여줬다는 점은 인정해야 할 것 같다. 평생 가정에서도 자신의 목소리를 강하게 낸 적이 없던 스토너는, 교육자로서의 윤리를 지키기 위해 이들과 적극적으로 맞섰으니까.
4. 너무나 평범했던 한 남자
작품을 읽으면서 이 인물은 왜 이렇게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할까, 그랬다면 좀더 나아졌을지도 모르는데... 하는 생각을 종종 했다. 그렇게 자신이 사랑했던 학문을 제외하면 한번도 적극적으로 행동하지 않았던 스토너는 쓸쓸하게 생을 마쳤고, 뚜렷한 족적을 남기지 못한 그는 세상에서 잊혀졌다. 책을 다 읽고 다시 첫 장으로 돌아와 첫 문단을 읽었을 때 느껴졌던 아련함과 울림이란... 슬픔과 고독 속에서 책을 향해, 문학을 향해 걸어갔던 그의 삶은 화려하지 않았지만, 화려하지 않아서 아름답게 느껴졌다. 이 책이 많은 사랑을 받게 된 것도, 스토너의 삶의 어느 지점에서 자신의 모습을 보았기 때문이 아닐까.
한평생 책을 사랑했던 그의 마지막은, 슬픔과 고독의 연속이었지만 책을 만나서 다행이었노라고 말하는 것 같았다.
그는 책을 펼쳤다. 그와 동시에 그 책은 그의 것이 아니게 되었다. 그는 손가락으로 책장을 펄럭펄럭 넘기며 짜릿함을 느꼈다. 마치 책장이 살아 있는 것 같았다. 짜릿한 느낌은 손가락을 타고 알라와 그의 살과 뼈를 훑었다. 그는 그것을 어렴풋이 의식했다. 그러면서 그것이 그를 가둬주기를, 공포와 비슷한 그 옛날의 설렘이 그를 지금 이 자리에 고정시켜주기를 기다렸다. 창밖을 지나가는 햇빛이 책장을 비췄기 때문에 그는 그곳에 쓰인 글자들을 볼 수 없었다. 손가락에서 힘이 빠지자 책이 고요히 정지한 그의 몸 위를 천천히, 그러다가 점점 빨리 움직여서 방의 침묵 속으로 떨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