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칼럼니스트 조희봉님의 '인터넷에서 좋은 책 싸게 사는 비법'
'헌책사랑'( http://www.usedbooklove.com )
다소 거창하게 표현하면 책들의 '소리바다'와 같은 사이트다.
이 사이트는 단일한 헌책방이 아니라 각각의 개인을 시스템상 서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할뿐 실제는 수많은 개인 책방의 집합체다. 이미 50여개의 개인 책방이 들어서서 자유롭게 자신의 책을을 원하는 가격에 내 놓고, 사람들은 각각의 책방을 둘러보고 자신이 필요로 하는 책들을 주문해 직거래를 통해 주고받는다. MP3 파일을 서로 공유하고 다운로드 받듯이 서로 책들을 주고받는 일종의 P2P 방식이다.
각각의 책방에는 다양하고 놀라운 책의 목록이 매일 경쟁적으로 등재된다. 이런 개인 직거래 방식은 이미 대형 서점에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방식이 조금 다르지만
'모닝365'( http://www.morning365.com )의 '장터365'나
'반디앤루니스'( http://www.bandibook.com )의 'Usedbook'
코너는 비슷한 성격의 직거래 책방이다.
'북017'( http://www.book017.co.kr )
놀라운 인터넷 헌책방 사이트다.
엉성하고 허술한 외형의 이 사이트에는 매일 아침부터 저녁까지 최신간부터 절판 희귀본까지
놀라운 신규 목록들이 줄줄이 올라온다. 그 목록에서 책들이 품절되는 속도 또한 놀라워서
예고도 없이 등장하는 책들을 놓치지 않기 위해서는 하루 종일 컴퓨터 앞을 떠나지 않을 각오를
해야 한다. 장바구니에 넣고 결제를 진행하는 동안 찜해 놓은 책들이 사라지는 경우도 있다.
가끔 들어오는 사람은 늘 품절된 책들의 목록만 보는 셈이지만, 책을 둘러싸고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경쟁은 그야말로 경매 시장을 방불케 한다. 거의 비슷한 디자인이지만 엄연히 다른 자매 사이트
'북011'(http://www.book011.co.kr) 또한 만만치 않다.
이 밖에
오북( http://www.obookstore.co.kr ),
매니아북( http://www.maniabook.co.kr ),
바이북( http://www.bybook.co.kr ),
하이셀러( http://www.hiseller.com ),
아이앤지북( http://www.ingbook.co.kr ),
가자헌책방( http://www.gajagajabook.co.kr ),
고래서점( http://www.gorebook.co.kr )
등도 매일 다양한 책들이 꾸준히 업데이트된다.
어떻게 이런 책들이 벌써 나왔나 싶은 감탄이 절로 나오는 신간들이 수두룩하다.
일반 서점들처럼 인터넷 헌책방도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하기도 한다.
앞에서 열거한 서점들이 순수하게 주로 인터넷으로만 운영된다면 오프라인 매장을 기반으로 한 경우도 있다.
목동의 열린책방( http://www.openbookstore.co.kr ),
대방동의 대방헌책방( http://www.oldbook8949.co.kr ),
인천 부개동의 책사랑방( http://www.booksarang.co.kr ),
수원 팔달구의 남문서점( http://www.ibuybook.co.kr ),
성산동의 모아북( http://www.moabook.co.kr ),
홍제동의 대양서점( http://www.daeyangbook.hihome.com ),
화곡동의 책의 향기( http://www.bookperfume.co.kr )
등은 인터넷으로 꾸준히 업데이트되는 목록들도 믿음직하지만 실제 매장을 한 번 찾는
것이 재미를 더할 것이다.
경제가 어려울 때면 서민 경제와 중소기업이 가장 먼저 피해를 보듯이 도서 시장이 어려울 때는
변두리 중소서점이나 헌책방이 가장 먼저 어려움을 겪는다. 예전 같으면 나오자마자 없어졌을 책들이 그대로 헌책방에 재고로 남아 있는 걸 바라보는 마음이 그저 좋지만은 않은 까닭은 그만큼 좋은 책을 찾는 미지의 독자가 줄어들고 있다는 반증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무슨 대단한 비법이라도 소개할 듯이 시작했지만 사실 중요한 건 책을 싸게 사는 비법이 아니다.
그저 머리 속에 자기가 필요로 하는 거대한 책들의 지도를 그려 놓고 끊임없이 책들을 찾고, 하나씩 읽어나가야만 조금씩 앞으로 나갈 수 있을 뿐이다. 그런 각오가 되어 있지 않다면 그저 말랑말랑한 베스트셀러나 출세에 도움이 될 실용서적들을 대형서점에서 한두권씩 사서 근근히 읽어나가면 될 일이다.
그래도 아직은 어딘가에 먹을 돈, 입을 돈 아껴가면서 눈에 불을 켜고 좋은 책 한권을 찾아내 마치
보물처럼 가슴에 품고서 마냥 기뻐하는 '책 폐인'들이 많이 있으리라고 간절히 믿어 본다.
결국 죽어가는 책을 살릴 마법은 그들에게서나 나올 테니 말이다. 여기는 책을 살릴 마법을 지닌
해리포터를 간절히 기다리는 비상구, 킹스 크로스 역이다.
============================================================
아이러니하게도 나는 아직
단 한 번도 중고서점에 가본적이 없다.
리스트만 열심히 모아놓을뿐.....
언제 한 번 편안 반바지에 운동화신고 주머니 든든하게 헌책방의 오래된 냄새를 즐기러 가고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