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과 다의 환상 - 상
온다 리쿠 지음, 권영주 옮김 / 북폴리오 / 2006년 12월
평점 :
절판


거기에 숲이 있다.

리에코의 숲은 거창한 정글과도 같이 울창하여 본인조차 다 알지 못하고 두렵기조차 한 숲... 마키오의 언뜻보면 잘 정비되어 있지만 그 한가운데 그 끝을 알수 없는 늪이 숨겨진 숲이.

그렇다면..... 나의 숲은 어떤 모습일까?

다들 잘 알다시피 '흑과 다의 환상'은.... 전작인 <<삼월은 붉은 구렁을>> 속에 나오는 신비의 책의 한 장을 장식한 소설이기도 하며 또한 전혀 다른 이야기이도 하다.

온다리쿠라는 작가는 이러한 책의 구성을 통해 자신만의 단단한 '성'을 구축해가고 있다는 느낌마저 든다.

모든 책은 단 한권으로 설명이 될 수도 있지만 또한 그의 다른 작품과 어떤 식으로든 연결이 가능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사실 '흑과 다의 환상'이 끌렸던 개인적인 이유는 앞서 읽은 <<삼월은~>>에서 전달받은 강렬한 이미지에 낚였기 때문일 것이다. 활자 중독자라면.... 이력서 취미란에 한번쯤은 '독서'를 적어넣었을 사람들을 낚아올릴 그 책. 그 책의 한 부분을 읽고 싶다는 강렬한 충동.....

'흑과 다의 환상'은.... 확실히 강렬하다.

책을 읽으며 이렇게 고통스러웠던 적이 있었는지 모르겠다.

이 소설석의 네 명의 모습은 그들 각자의 모습이기도 하며 또한 나의 한 부분이기도 했다.

그들이 가진 숲이 전혀 낯설지가 않았던 것이다.

사람은 분명코 단면적이지 않다. 내가 만나는 수 많은 사람들에게 늘 한결되게 좋은 모습만 내가 보여주고 싶은 모습만 보이며 살 수는 없다.

그럼으로 내 숲은 소설속 그들보다 분명 복합적이고 더 음침하고 어쩌면 더 늪과 같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 모습을 누군가에게 그렇다고 인정하기도 알리기도 원치 않았기에 온다리쿠가 슬며시 '너 사실은 이런 숲을 가지고 있지 않아?'라고 건네는 말이 무섭기조차 했을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나는 인정해야겠다. 나는 어쩌면 내내 누군가 내 숲의 정체를, 내 숲의 입구를 찾아내 주기를 원하고 있었는지도 모르겠다고 말이다. 그 누군가가 온다리쿠여서 다행이다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