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이쿠와 우키요에, 그리고 에도 시절 - Art 020
마쓰오 바쇼 외 지음, 가츠시카 호쿠사이 외 그림, 김향 옮기고 엮음 / 다빈치 / 2006년 3월
평점 :
절판
하이쿠
하이쿠는 5.7.5 음수율을 지닌 17자로 된 일본의 짧은 정형시를 일컫는다.
하이쿠라는 말은 원래 있던 말이 아닌 렌가나 하이카이의 첫구 홋쿠만을 모은 홋쿠집 등의 형태로 이어지다가 근세에 마사오카 시키가 5.7.5로 독립된 한 구를 하이쿠라고 부르기 시작, 그 후 5.7.5로 독립된 한 작품을 일컫는 용어로 정착했다.
*렌가- 5.7.5와 7.7의 운율을 여러사람이 번갈아 읊는 것.
*하이카이- 렌가와 비슷하되 해학적인 내용
*홋쿠- 5.7.5로 반드시 계절을 상징하는 언어와 노래가 지어진 배경이 있어야 하며 한 수로 독립 된 완결성이 있어야 한다.
우키요케
우키요케는 목판화 뿐만 아니라 붓으로 그린 그림들도 모두 해당되며 이것의 제작은 매우 분업화 된 공동 작업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제작의 출발은 역시 고객의 주문이었다.
우키요케가 유행하게 된 배경에는 하이쿠 동호회가 있었는데 그들이 신년 축하 선물로 그림 달력을 주문하며 다색 판화로서 우키요케가 문화 속에 들어갔다.
에도시대
에도시대는 일본 역사상 유례없는 평화를 구가한 시대로 안정 된 내치 속에서 상업과 서민문화가 일본의 독자적인 문화로 발전했으며 미술 분야에서도 여러 가지 재미있는 양상들이 전개 되었다.
예전 영시 수업시간에 잠시 하이쿠에 대해 언급한 적이 있었다.
아마도 Ezra Pound의 <In A Station Of The Metro>라는 짧은 시를 공부하면서 였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한시정도라고 생각할 수 있는 하이쿠였지만, 17자로 된 짧은 정형시 속에 함축되어 있는 계절과 그 계절 속에서 느끼는 감정들이 너무 신선했었다.
그 당시에는 짧게 집고가는 정도였기 때문에 하이쿠를 심도있게 다루지도 못했고 제대로 감상해보지도 못했지만 한 번쯤 하이쿠를 제대로 알아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며 잊게 되었던 그 생각을 이모 책장에 꽂혀있는 이 책과 만나며 다시 떠올렸다.
그리고 살며시 책을 꺼내, 한 장 넘기자 우리나라와 비슷하지만 뭔가 일본 고유의 냄새가 물씬 풍기는 그림들이 눈에 들어왔다.
하이쿠 하나에 어울리는 그림들이 몇 장 첨부되어 있는 책이 너무나 예쁘게 눈에 닿는다.
위에서도 알 수 있듯, 하이쿠에는 계어라는 계절을 나타내는 단어가 들어가야 하고, 그 짧은 하이쿠내에서도 한 번쯤 숨 쉴 여지를 만들어주는 잘라주는 역할을 하는 기레지라는 것이 필요한 데, 이 기레지라는 것은 우리나라 말로 해석해 본다면 -이여, -로다, -구나 정도가 될 수 있다.
그렇게 기레지의 효과를 이해하고 기레지를 중심으로 하이쿠를 두 부분으로 나누어 그 부분들 사이의 연관성과 그 연관성과 작가의 심정을 결부시켜 보면 하이쿠를 쉽게 감상할 수 있게 된다.
일본어도 전혀 못하고, 일본문화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해 처음 이 책을 만났을 때, 단지 예쁘다는 이유로 책을 넘기지는 않을까,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뭐야? 하고 책을 덮게되지는 않을까라는 걱정이 들었다.
하지만 책 처음에 친절히 하이쿠를 감상하기 위한 준비과정으로 해설이 첨부되어 있고 하이쿠 하나에 첨부 된 비슷한 느낌을 주는 우키요케들이 그 걱정을 덜어준다.
계절을 나타내는 단어가 반드시 들어가는 하이쿠 특성 상, 이 책에선 봄, 여름, 가을, 겨울로 하이쿠를 분류해 놓았는데 우리와 비슷한 그들의 자연이 뿜어내는 정취가 독특하면서도 정겨울 수 있었다.
하지만, 안타까웠던 것은 역시 일본어와 일본문화를 모르는 사람들에겐 어느정도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이었다.
친절하게도 일본어로 쓰인 하이쿠 옆에 한국어로 그 발음이 표기되어 있고, 한국어로 번역도 다 되어있지만 한국어로 쓰여진 시를 영어로 번역해 놓았을 때 그 참맛을 느끼기 어렵듯, 일본어로 쓰여진 시를 한국어로 번역해 놓았을 때 그 참맛을 느끼기 어려운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내가 영시 수업을 잘 따라가지 못했다.)
어쩌면 우리가 읽고 느끼고 있는 외국문학은 사실 작가의 힘과 번역의 힘이 교묘하게 어우러진 원톱 체제가 아닌 투톱 체제로 이루어진 작품일 것이다.
하지만 시를 그런 투톱체제로 만드는 것은 손에 손잡고 벽을 넘었을 때 발이 벽에 걸려 뭔가 꺼림직한 기분이 남는 그런 느낌이다.
참 예쁜 책이었고, 하이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 수 있게 해주었지만 한계가 아쉬울 수 밖에 없다.
하지만, 그렇게라도 만난 하이쿠는 참 매력적인 장르이고 (판화 작품을 좋아하진 않지만)우리나라에서 발달하지 못한 그 시대의 다색판화 역시 하이쿠와 절묘하게 어우러져 에도시대의 문화까지 잠시 엿볼 수 있으니, 책 한권으로 세 가지의 맛을 본 기분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