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머니 집에서 보림어린이문고
이영득 지음, 김동수 그림 / 보림 / 200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어린 아이들은 시골은 똥 냄새가 나고, 컴퓨터가 없고, 오락기가 없고, 하루종일 만화가 나오지 않는 따분한 곳이라고 생각한다.
 시골을 알아서 그런 생각을 하는 것이 아니라, 시골을 알지 못해서 그런 생각을 한다.
 갖지 못한 것에 대한 샘을 내는 것 처럼, 시골의 공기를 가져보지 못한 아이들은 그렇게 시골에 대해서는 투덜거린다.
  그런 아이들에게, 아이들의 시선에 맞는 예쁜 그림과 글씨로 시골에 대해 알려주는 예쁜 책이다.
 어른인 나도 책이 너무 예뻐 눈을 떼지 못했다.
 동생이나 친구의 그림일기를 훔쳐볼 때의 두근두근함으로 책은 술술 넘어간다.
 
 1. 내 감자가 생겼어요.
 솔이는 자주색 꽃을 보고 고구마가 열리는 줄 알았다. 아빠와 할머니는 그런 내 이야기에 깔깔깔 거리셨지만, 도시에서 자란 엄마는 웃는 이유를 모르나보다.
 이 꽃 밑에서 열리는 감자는 내 감자라고 했다. 솔이 감자.
 솔이는 할머니는 좋지만, 시골은 싫었다. 하지만 솔이 감자가 생긴 후 솔이 감자를 캐러 빨리 시골로 가고 싶을 뿐이다.
 하지만 감자 밭을 뒤져도 솔이 감자를 찾기가 힘이 든다. 할머니는 캐 보면 알 거라 하셨는데, 다 캐보아도 내 감자가 보이지 않는다. 갑자기 화가 나서 감자를 휙 던졌다.
  할머니가 그 것을 보고 뭐라고 하신다. 할머니 혼자 키운 감자가 아니라고...
 할머니 혼자 키운 감자가 아니라고? 할머니는 혼자 사시는데 그럼 할머니는 누구와 감자를 키웠을까? 그리고 솔이는 솔이의 자주색 감자를 찾았을까?
 한 장 한 장 솔이와 함께 호흡하며, 시골의 냄새가 나는 것만 같다. 더 이상 똥 냄새가 나고 컴퓨터가 없고 오락기가 없고 만화도 안나오는 지루한 곳이 아닌 자주빛 감자도 있고 두더지도 볼 수 있는 시골은 신나는 곳이다.
 
 2. 또글또글 망개 목걸이
 시골이 싫은 이유 중 하나는 심심하기 때문이다. 할머니네 옆집에 사는 상구는 이상하게 솔이만 보면 숨기에 바쁘다. 솔이는 상구랑 놀고싶은데...
 상구가 망개를 주고 맛있다고 먹어보라 했는데 솔이 입엔 영 떫기만 하다.
 상구에게 촌뜨기라고 놀리자 상구의 얼굴이 시뻘개졌다.
 그런데 촌뜨기 상구가 그 떫은 망개로 목걸이를 만들어 준다.
 상구의 손재주가 솔이는 마냥 신기하고 부럽기만 하다. 상구에게 망개 목걸이를 만드는 법을 가르켜 달라고 했다. 상구는 반듯반듯 여러 알을 꿰었지만 솔이는 삐뚤삐뚤 쉽게 꿰어지지 않는다.
 상구가 이번엔 망개 팔찌를 만들어 주었다.
 소나기라는 책을 보면, 소년은 소녀와 친해지고 싶어 알밤을 만지작 거린다.
 그렇게 만지작거리고 있었을 상구의 망개가 귀엽기만 하다. 솔이는 상구와 친해질 수 있었겠지?
 
 3. 말 잘 듣는 호박
 솔이는 동생이 갖고싶다. 호박같은 동생이라도 동생이 하나 있었으면 좋겠다.
 엄마아빠가 새참보다 맛나다는 낮잠을 자는 사이, 할머니가 긴 줄을 들고 호박 밭으로 가서 호박을 때리는 시늉을 하신다.  빨리 호박을 영글어내지 않으면 줄기를 뽑아버리겠다고...
 그 것을 본 솔이도 콩, 참깨, 옥수수에게 가서 소리를 지른다. 알 꽉 차야해!
 자고있는 엄마아빠에게로 돌아오니 괜히 엄마에게 부아가 치민다.
 호박같은 엄마, 호박같은 동생이나 낳아주지...
 호박 꽃엔 과연 호박이 영글었을까? 호박이 할머니 말을 알아 들은 것일까? 그리고 솔이는 호박같은 동생을 가질 수 있을까?
 
 4. 꼬꼬꼬, 닭이 아파요.
 상구가 울상이다. 엄마아빠가 잘 키우면 빨리 돌아올거라고 사주고 간 닭이 아프다.
 병아리 때 부터 상구가 키워서 이젠 알도 낳는데, 이질에 걸려 설사도 하고 낳는 알도 물렁물렁 하다. 잘 나는 비행기, 모래바람을 잘 피우는 모래바람, 청개구리를 꿀꺽한 꿀꺽이.
 너무 예쁜 이름의 닭들이 아파서 솔이도 덩달아 속이 상하다.
 닭들이 좋아하는 메뚜기도 잡고 지렁이도 잡아줬지만, 닭은 자꾸자꾸 아파만 간다.
 할머니에게 투정을 댔더니, 할머니께서 이질풀을 썰어넣어주면 낳는다고 하신다.
 상구 닭은 이질이 나았을까? 상구는 이번엔 솔이에게 무엇을 선물로 주었을까?
 
 도시 생활에 익숙한 아이들이 쉽게 접할 수 없는 자연을 친구처럼 이야기 해 준다. 나도 자주 감자를 심고 싶고, 망개 목걸이를 만들고 싶고, 호박에게 가서 소리를 지르고 싶다. 막 낳은 따끈따끈한 달걀을 품어도 보고싶다.
 아이들에게 자연에 대한 호기심을 갖게 하기엔 충분하다. 또 상구같은 친구도 하나쯤 있었으면 좋겠다. 심심할 것 같은 시골에 가도 함께 놀아주고 따뜻한 마음을 전달해 줄 순수한 상구같은 친구가 있다면 심심하지 않을 것 같다.
 엄마한테 괜히 물어본다. "엄마, 우린 시골 언제 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