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사랑은 그 집에서 죽었다 - 개정판
김형경 지음 / 사람풍경 / 2012년 7월
평점 :
절판


첫사랑의 이미지는 모든 사람을 감동시킨다. 왜나하면 모든 계층, 모든 나라, 모든 성격을 통해 거의 유사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가장 정열적인 것은 아니다.

스탕달은 『연애론』에서 이렇게 말을 했다. 수많은 사람들은 그 수 만큼이나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되는데 첫사랑의 이미지는 거의 유사하다는 말, 그 이유를 생각했었다. 그건 아마도 우리가 첫사랑에 갖게 되는 환상 탓일 것이다. 시간이 흐른 뒤 생각해보면 좋은 시간도, 힘든 시간도 아련함으로만 남게 되고 기억이 희미해져갈 수록 우리는 그것에 의미를 부여하고 또 다른 바람을 불어넣고, 그렇게 치장한 이미지를 다시 기억하게 되는 것일테다. 그러므로 첫사랑의 이미지가 유사한 이유는, 우리가 교육받은 첫사랑이라는 것의 모습이 획일 되어 있다는 것과 누구나 그 획일 된 이미지를 환상화 시켜 실제의 과거 안에 집어 넣기 때문일 수도 있다,고 나는 생각했다.

이 세상에는 섣불리 맞딱드려서는 안 된다고 알려진 크고 작은 금기들이 존재하는데 그중에는 요리사의 손톱, 작가의 민얼굴, 옛사랑의 현재 모습 같은 것이 있다.

이렇게 시작 되는 이 소설은 스탕달이 말한 첫사랑의 이미지를 떠오르게 한다. 비록 세중이 연희의 첫사랑은 아니었다 할지라도 그들의 욕망, 열정은 첫사랑을 능가했기에 그것은 첫사랑이 아니되 첫사랑이 될 수 있었다. 그리고 그들은 섣불리 맞딱드려서는 안 된다는 그 금기를 뛰어넘어 긴 시간이 흐르고 누군가의 배우자와 부모가 된 상황에서 마주하게 된다. 그렇게 환상은 깨어지고, 숨겨왔던 옛 이야기들은 꺼내어졌다.

이 소설을 극대화 시키는 것은 이야기를 전개시키는 다양한 시점이다. 세중과 연희를 그리는 제 3자의 시점, 그들이 발견한 노트 속의 인물이자 시체 중 한 구의 인물의 시점, 그리고 참나무, 박새, 청설모, 바람 등의 자연이 관찰한 인간의 시점은 과거와 현재를 넘나들며 하나의 이야기를 완성해 간다. 그 이야기의 흐름 속에서 우리는 과거와 현실과의 단절과 그것을 잇는 환상이라는 실체를 마주한다. 그 환상이라는 것은 결국 민얼굴을 드러냈을 때 상상 속에서 존재할 때만큼의 아름다움은 없는 것이고 현실을 더욱 극적으로 만들어 주지만 중요한 것은 그것이 누군가를 살게 한다는 점이다. 연희도, 세중도, 그리고 노트 속 인물도 그렇게 살아냈고, 그 환상이 우리에겐 미래를 꿈꾸게 하는 유토피아가 되기도 했다.

세중과 연희가 눈 속에 고립 되어 시체들과 마주하고 자신들의 근원에 있었을 온갖 욕망을 표출하게 되는 장면은 압권이다. 하지만 이것은 그것 역시 시간이 뭉개놓은 희미함 속에 덧칠해 진 환상의 옷을 입고 있다는 것을 짐작하게 되는 마지막 부분에 와서는 서늘해 질 수 밖에 없다. 우리가 기억하는 과거, 그것으로 인해 꿈꾸게 되는 미래는 과연 어디까지가 진실일 수 있는 것일까.

김형경 작가를 처음 알게 된 것은 소설이 아니라 『사람풍경』이라는 심리 에세이를 통해서 였다. 그 책을 통해서 나는 나에 대해 조금 솔직해졌고 지난 시간과 인사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었다. 그래서일까, 그 전에 씌여진 이 소설 속에서도 나는 그런 치유의 메시지를 발견한다. 살면서 분명 우리는 환상의 진짜 모습과 마주하게 될 것이고 그것에 아플 수도 있다. 하지만 결국은 그게 우리를 살게 하는 힘이었고, 시간이 흐른 뒤엔 그 마주함 조차 또 하나의 환상으로 아름다워 질 수 있을 것이다. 결국 과거는 되돌아갈 수 없다는 점에서, 그 끔찍한 시체를 발견했던 장소조차 찾아갈 수 없고 단지 아련한 기억으로 자리잡는 법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