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개를 산책시키는 남자 - 2012년 제8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전민식 지음 / 은행나무 / 2012년 3월
평점 :
계절 탓인가보다. 소설을 읽으며 소모되는 감정의 질량이 너무 커져버렸다. 그만큼 힘이 든다. 얼마 전에는 마약을 하면 이런 기분일까, 싶을 정도의 몽환적인 하루가 찾아왔었다. 공기는 무거웠고 마음은 어딘가를 부유했다. 그리고 이 소설을 읽으며 또 하루가 우울하게 지나갔다. 마치 콘크리트 바닥을 300m쯤 파고 들어가는 느낌이었다. 내 의지와는 상관없이 나는 그렇게 깊은 땅 속에 묻혀졌고 내 위로 시멘트가 쏟아졌다. 그 무게에 내 몸은 짓눌렸고 숨은 가빠왔다. 하지만 현실의 나는 여전히 살아있다.
삼재(三災)라는 것이 있다. 세가지 재앙이 삼년동안 찾아온다는 것인데, 그런 것이 정말로 있다면 난 아마 지난 삼년이 그런 시기였을 것이다. 하는 일마다 벽에 부딪혔고 한계를 실감했고 이렇게 살다가 어느 날 나도 모르게 내 목을 조를 것 같다는 불안감에 시달렸다. 누군가를 만나 수다를 떨고 술을 마시면 조금 즐거워졌으나 그건 한 순간이었다. 그 뒤로 더한 상실감이 왔고 그 상실감은 누군가를 만나기 이 전보다 더 지독했다. 그래서 억지로라도 누군가를 만나야함을 알면서도 만날 수 없었다. 돌아보면 그 시기는 내 인생의 아주 짧은 동안이었지만, 나는 그 때 하루가 일년같고 내 평생일 것만 같았다. 그리고 여기, 또 하나의 힘든 시기를 보낸 청년이 있다. 그 남자, 도랑은 그 이름처럼 나를 도랑으로 끌어내리는 것 같았다. 삶이 주는 갑작스런 시련을 알기에, 그 고단함이 어떤 것임을 알기에 나는 더 바싹 말라갔다. 모든 것을 내 주어도 아깝지 않을 것 같은 사랑에 홀려 직업을 잃었고 형의 자살은 그의 모든 것을 앗아갔다. 잘 나가는 컨설턴트에서 한 순간 노숙자로 전락한 그는 자신의 삶이 한 번도 녹록한 적이 없었음을 깨닫고 그 생활에서 빛을 찾으려고 하지만 문득문득 그 화려했던 시절의 자신이 떠오른다. 하지만 그도, 그리고 나도 알고 있었다. 지독한 현실 구석구석에는 아주 작은 빛이 숨어 있어서 그것을 잘 찾는다면 다시 희망은 찾아오리라는 것을. 그는 그에게 내밀어지는 작은 기회들을 잡았고 나 역시 어떻게든 살아남았다. 하지만 그 기회의 끝엔 또 다른 어둠이 기다리고 있는 법이다. 삶은 늘 풍족하기만 한 것이, 늘 즐겁기만 한 것이 결코 행복은 아니라는 것을 가르쳐주듯 우리를 방심하게 놓지 않으니까. 그리고 그 남자처럼, 그 남자 주위의 많은 사람들은 극단적인 선택을 하거나, 삶의 가장 밑바닥으로 내쳐진다. 마치 모든 것을 잃은 삼손이 모든 차원은 연결되어 있어서 죽은 사람도 만날 수 있을지 모른다는 사차원 적인 생각을 하는 것처럼 도랑과 도랑의 주변 사람들은 사악한 기운으로 엮여져 있는 것만 같은 생각이 드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그리고 바로 이런 점들이 이 소설을 돋보이게 한다. 웰메이드 소설, 양감이 있는 소설이라는 심사위원들의 말이 과찬이 아니게도 소설의 중간중간 많은 실마리들은 소설을 엮어간다. 복선이라기보다 세상에 우연인 것은 없다는 것을 증명시키는 것과도 같은 평범한 사람들이 어떻게든 삶을 이끌어가려는 몸부림이다. 그것이 나를 그토록 마르게했고 바닥 깊은 곳으로 파묻히게도 했다.
하지만 어떻게든, 결국, 끝내, 도랑도 나도 살아남았고 오늘도 살아간다. 이 소설이 더욱 현실적이었던 것은 희망이 찾아왔을 때 그것을 의심하지 않고 마치 나는 그것을 누릴 유일한 자격이 있는 사람인냥 하는 모습 탓이었다. 그런 우리의 뒷통수를 치며 희망이 저만큼 멀어져갈 때, 또 다른 희망을 기대할 수 있는 자만이 살아남고 그래서 나에게도, 그리고 도랑에게도 이 현실이 아직은 살만하고 살만 할 것이다. 그렇게 나도 함께 끝과 시작 사이에서 휘청거렸다. 아마 며칠은 이 소설이 남긴 잔상들에서 힘들긴 할 테지만, 이미 희망을 기다리는 법 따위엔 익숙하지 않은가. 나는 그렇게 또 다른 소설을 읽어나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