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로 산다는 것 - 우리 시대 작가 17인이 말하는 나의 삶 나의 글
김훈 외 지음 / 문학사상사 / 201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가로 산다는 것이 어떤 기분일지 나는 알지 못한다. 나는 그저 그들의 삶이 만들어 낸 하나의 창작물을 보고 공감하고 시기한다. 하지만 늘 그들의 기분이 궁금하다. 하나의 세계를 창조해 내는 사람들은 어떤 시선으로 삶을 보고, 어떤 마음으로 삶을 관통하는지, 마치 그것은 며느리에게도 가르쳐주지 않는 양념의 비법 같을 것 같다. 그래서 살짝 들여다본다. 그들이 하는 소설 창작에 대한 이야기 속에 그 비법이 감춰져 있기를 기대한다. 그래서 나도 그 비법으로 하나의 세계를 창조하는 꿈도 꾼다.

     아, 그런데 맙소사. 맛집마다 다 그 비법이 다르다는 생각을 하지 못했다. 결국 맛집의 비법을 알았다한들 그 다음 맛을 만드는 것은 오롯이 내 몫이 되는 것이다. 즉, 그들의 이야기를 다 듣는다 한들 나는 그들의 소설을 흉내내지 못한다. 그것은 경험의 차이 탓이기도 하다. 이 책 속 모든 소설가가 그 누구 하나 뺄 수 없게 수려한 글을 쓰고 있지만, 그들의 창작 방법은 다 다르다. 그들이 어떤 환경에서 어떻게 자라왔느냐가 그들의 소설이고 그들이 만드는 세계이다. 그러므로 그 비법을 배운다고 한들 나는 그들의 맛을 낼 수 없는 것이다. 하지만 그들이 하는 이야기 하나하나를 듣고 있자면 세상을 보는 조금 다른 시선은 배울 수가 있다. 우리가 흔히 지나치게 되는 것들에서 작가들은 하나의 이야기를 뽑아낸다. 왜? 만약? 사물에 대한 이런 물음들은 하나의 이야기로 시작되고 그들의 손을 통해 활자화 된다. 정말 멋진 일이다.

    나는 이렇게 멋진 일을 할 수 있는 그들이 오롯이 자신들의 일만을 했으면 좋겠다. 김연수 작가에게 닉네임처럼 붙은 '프로소설가' 라는 말이 그의 전업작가 생활 때문이라면, 모두에게 그런 기회가 생겼으면 좋겠다. 예술가라면 흔히 치뤄야 한다는 선입견이 있는 삶의 고단함에서 벗어나 조금 여유롭고 호기로운 환경 속에서 마음 놓고 글을 쓰기를 바란다. 그들이 그럴 수 있다면 이렇게 수려한 우리 문학들이 세상 속에서 빛을 발하지 않을 수는 없다. 세계가 힘들어질 수록 사람들은 스토리를 원하고 허구의 스토리 속에서 대리만족과 위안을 경험한다. 그리고 내 경험상, 이 작가들이 주는 위로는 내가 읽고 느낀 그 어떤 이야기의 그것보다 컸으니 나는 그들의 힘을 믿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그들의 글이 나오는 이야기를 듣고 있자니 그 확신은 더욱 더 커진다. 혹자는 문학시장이 어렵다고 하고, 혹자는 우리문학은 재미가 없다고 한다. 전자는 후자 탓이고, 후자는 그들이 고교시절 필수로 배우던 교과과목의 지루함에서 벗어나지 않고 소설을 읽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며 나는 그들의 무지함을 탓한다. 내 교만이라고 해도 어쩔 수 없다. 아는 것이 힘이다, 아는 만큼 보인다,라는 말은 여기서 시작된다. 자, 다시 한 번 우리의 소설을 읽자. 우리의 젊은 작가들을 만나고 그들의 작품이 어떻다는 것은 그 다음에 판단하자. 장담하건데 한 번 그 맛을 보게 되면 멈출 수가 없을 것이다. 그리고 다시 우리의 문학은 풍성해 질 것이고 활발해 질 것이고 그들은 마음껏 더 좋은 글을 쓰게 될 것이다. 그럴 그들에게 무한한 응원과 존경을 보낸다.

 

* 책 속 한 구절

믿고 싶다가 어느 순간 완전히 믿어버리지 않으면, 혹은 믿어버린 척 굴지 않으면, 글은 시작되지 않는다. 시침조차 떼지 않고, 정직한 얼굴 그대로, 나는 나 자신에게 '여보세요'라고 말을 건넬 용기가 아직도 나지 않는다. (p.63_ 김인숙)

형, 소설은요 인생을 별로 겪지 않은 자가 쓰는 거에요. 인생을 다체롭게 경험한 자들은 인생을 다체롭게 경험하는데 썼다는 바로 그 사실 때문에, 자신의 체험을 문장으로 보고하거나 기록할 능력이 없지요. 문장은 치열한 연마의 소산이기 때문이에요. (p.78_ 김종광)

언어는 이 세계의 불완전성의 소산일 뿐이다. 그래서 모든 언어는 다른 언어에 의해 부정당해 마땅한 것이고 부정당하기를 거부하는 언어는 이미 언어가 아닐 것이다. 언어에게 소통 기능이라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모두 부장당하는 운명을 수락하는 그 불완전성 안에 있는 것이 아닐까. 듣는 작가 없는 시대의 말하기란 말이 아니라 재앙이다. (p.86_ 김훈)

삶은 늘 느낌의 절박함으로 나에게 다가온다. 그 절박함은 몸과 마음의 절박함인데, 그것을 글로 들이밀자면 말의 모호성에 부딪힌다. 그래서 내 글쓰기란 그 절박함과 모호성 사이에서 좌충우돌하는 파행인 것이다. 나는 글 전제에 어떤 지향성을 설정하는 일을 감당해내지 못한다. (p.88_ 김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