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근두근 내 인생
김애란 지음 / 창비 / 201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김애란이 그녀의 첫 단편을 세상에 내 놓앗을 때부터 그녀가 싫었다. 세상에 쿨한 사람이 어디있다고 모두다 쿨 병에 걸려 버린 거냐고 비난했다. 하지만 그 비난의 근원은 내가 그 때의 그녀의 나이가 되어도 그녀만큼 삶에 대해 깊이를 갖고 그만큼 담담해 질 수 없을 것임을 알았기 때문이고 그녀의 글 같은 것을 결코 쓰지 못할 것임을 깨달았던 데에 있었다. 세상은 그것을 '자격지심'이라고 불렀다. 그래서 난 그녀가 싫다고 하면서도 그녀의 단편집을 모조리 구매해 읽었고 그녀의 장편을 손 꼽아 기다렸다. 단편에 강한 작가치고, 장편까지 훌륭한 경우는 드문데 어디 한 번 두고보자는 그런 억지도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이 책을 편 순간 이 작가에게 내가 된통 당하고 말겠다는 예감이 들었다. 예감은 현실이 되었다.

     책을 편 이후, 책을 손에서 놓을 수가 없었다. 첫 문장부터 너무 예쁜 말들을 뱉는 작가의 모습은 생경했지만 그 말들의 아롱거림은 나를 두근거리게 했다. 바람이 불면, 내 속 낱말카드가 조그맣게 회오리친다니... 희귀병으로 학교를 다니지 못했고 대신 책을 읽었고 책 속 글들이 쌓여 이젠 내가 무언가 쓰고 싶어졌다는 표현을 어찌 더 예쁘게 할 수가 있을까. 단어 하나하나의 아름다움이 이야기로 이어졌다. 너무 빨리 부모가 되어버린 이들과 너무 빨리 늙은 자식이 되어버린 이의 이야기는 통속적일 수 있었으나 통속적이지 않았고 어두울 수 있었으나 어둡지 않았다. 오히려 신선하고 밝아 반짝거렸다. 그러면서도 인간의 보편적인 감성을 자극하는 것을 잃지 않았다. 이런 완벽한 조합에 다시 또 한번 두근거렸다. 쿨해서 싫다고 하던 내 주장은 뒤집어졌다. 더 이상 따뜻할 순 없었고 더 이상 착할 수는 없었다. 지나치게 쿨하던가, 지나치게 착하던가, 왜 이리 극단적이야? 중간은 없어? 라고 말할 수도 있었다. 그렇게 이번에도 싫다고 고개 돌려 버릴 수 있었으나 그러지 못했다. 결국은 울고 말았으니까.

     너무 빨리 어른이 되어 버린 아이는 예전 김애란이 등단이라는 것을 했을 당시 그랬듯 그 나이에 맞지 않는 세상에 대한 덤덤함을 보여준다. 하지만 그 아이는 결코 어린아이가 아니라 말 그대로 어른아이이기에 그 덤덤함이 차갑지 않다. 그 아이의 시각에서 재해석 된 지나간 역사는 또 하나의 이야기가 되어 청춘과 세월의 소리를 들려준다. 모두가 그렇게 어른이 되어가고 모두가 그렇게 사랑을 배운다고, 너도 누군가의 슬픔이었고 기쁨이었으니 다시 한 번 두근두근 살아보라고 이야기는 종용한다. 독자를 사근사근 보채는 그 느낌이 결코 싫지 않다. 엉망진창이라고 생각하던 내 인생이 조금은 두근두근 해 진 것도 사실이니까. 결국 난 김애란을 싫어할 수 없게 되었다. 이제 누가 뭐라고 해도 그녀를 싫어하지 않은 채 다음 이야기를 기다릴 것임은 분명하다. 신형철이 몰락의 에티카에서 했던 그 말처럼 어떻게 그녀를 좋아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터무니 없다는 걸 알면서도, 또 번번이 저항하면서도, 우리는 이해라는 단어의 모서리에 가까스로 매달려 살 수 밖에 없는 존재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어쩌자고 인간은 이렇게 이해를 바라는 존재로 태어나버리게 된 걸까? 그리고 왜 그토록 자기가 느낀 무언가를 전하려고 애쓰는 걸까? (p.182)

 

    어른이 되는 시간이란 게

    결국 실망에 익숙해지는 과정을 말하는 것이겠지만

    글이란 게 그걸 꼭 안아주는 것은 아닐지라도

    보다 '잘' 실망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무엇인지도 모르겠어. (p.20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