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레터
틸만 람슈테트 지음, 박경희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글을 쓰기 위해서는 철저하게 공부를 해야 한다고 했다. 작은 세부사항마저 다 확인하고 또 확인하고 써야 한다고 했다. 자신이 살고 있는 곳이 배경이 아닐 때는 그 곳에 직접 가서 그 곳을 느껴봐야 한다고 했다. 그 얘기를 들은 독일의 작가 틸만 람슈테드는 말한다. "뭐... 그럴 수도 있고."

     웃어야 할지 울어야 할지 다소 난감한 책인 <베이징 레터>는 그래서 미워할 수가 없다. 중국에는 한 번도 가보지 못한 작가가 단지 론리 플래닛 한 권을 들고 써 내려간 글에서 작가의 모습은 왠지 소설 속 할아버지의 모습과도 겹쳐진다. 끊임없이 자식들의 속을 썩이면서도 그 엉뚱함이 결코 밉지 많은 않은 할아버지는 기행을 일삼을 것 같은 작가의 모습을 반영하는 듯 하다. 그런 할아버지가 중국행을 선언했고 다시 한 번 자식들은 기가 막힐 뿐이고 중국 관련 서적을 두 권 사 놓고 한 권은 글이 많아서 던져놓고 단 한 권을 참고 해 이 책을 썼다고 할 때 독자는 기가 막힐 뿐이다. 그런 작가의 행동처럼 소설 속 주인공들은 미워할 수 없게 매력을 발산한다. 중국에 간 줄 알았던 할아버지에게서 중국이 아닌 다른 곳으로부터 중국인 체 하며 편지가 오지만 그것들은 헛점 투성이다. 그리고 갑자기, 할아버지 일대 최고의 서프라이즈 소식이 들려온다. 불과 몇 키로 떨어지지 않은 곳에서 할아버지의 사망 소식이 날아온 것이다. 이 때부터 그의 할아버지 만큼이나 이해할 수 없는 주인공의 행동이 시작된다. 자신이 저지른 일은 둘째치고, 가족들에게 용서를 구하고 할아버지의 장례를 치루는 것이 인지상정이라고 생각하겠지만 그는 가족들에게 중국에서 보낸 것 같은 편지를 쓰기 시작한다. 그리고 그 편지 안에서 가족들의 천덕꾸러기였던 할아버지는 신비롭고 추억을 가진 진정한 기인으로 거듭난다. 그가 쓰는 편지 속에서 할아버지의 모습은 <허풍선이 남작의 모험> 속 남작의 허풍과도 닮아있다. 하지만 중국인 것이다. 그렇게 할아버지가 가고 싶어하던 그 곳엔 분명히 이유가 있을테고 주인공은 자신만의 방식으로 그 이유를 만들어 나간다. 그것이 할아버지를 향한 자신의 최대 사랑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어떤 방식으로든 타인의 삶을 판단해서는 안 된다. 그들의 삶을 우리가 온전히 살아보지 않는 이상 누군가를 절대적인 기준(이라는 것이 있다면)으로 판단하는 것은 오만이며 자만이다. 그렇기에 그가 받아들이는 할아버지의 죽음은 다소 이상하지만 이해하지 못할 것도 없다. 평생을 자유롭고 즐겁게 살아 온 할아버지가 자신의 죽음인들 가족들이 슬퍼하는 가운데 치루고 싶어하지 않을 것이라는 그의 주관은 아주 설득력이 없지는 않기 때문이다. 모두가 죽음을 맞는다. 우리는 스스로의 죽음은 보지 못하지만, 살아 가며 수 많은 죽음을 마주한다. 우리가 하나하나를 개인으로서 사랑하고 아꼈다면 그 죽음조차 그들의 방식으로 만들어 주는 것도 나쁘진 않을 터, 책을 넘기며 주인공의 상황을 이해하고 웃으면서도 짠하게 여기게 된다.

     그런 책들이 있다. 마지막 장이 덮어지고 고개가 갸웃거려지면서도 뭔가 색다른 별미를 맛본 듯한 기분을 주는 책. 이 책이 그랬다. 마치 유럽의 습관에 길들여있던 내가 중국이라는 문명을 발견하고 그들의 베이징 덕을 처음 전병에 싸서 파와 소스와 함께 찍어먹어 본 느낌이랄까? 단 한 권의 중국 여행서로 이런 독특한 맛을 낸 작가, 이 작가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