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경꾼들
윤성희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10월
평점 :
책을 덮고 왜 제목이 구경꾼들일까에 대해서 생각했다. 0.00000001%의 확률도 되지 않을 것 같은 특이한 죽음이 한 가족 안에서 이어지고, 평범해 보이지만 결코 평범하지 않은 이들의 이야기가 모여 가족이라는 것이 된 내용의 이 책에 왜 하필 그런 제목이 붙은 것일까. 그러다 문득, 가까운 이의 죽음을 대하는 그들의 태도와 그 안에 농축되어 있던 삶의 여정들이 이어졌다. 아, 하는 깨달음이 왔다. 결국 우리도 모두 구경꾼에 지나지 않았다. 작가는 글을 쓰는 자신을 포함한 이 책 속 모두, 그리고 독자까지 이 제목 네글자 안에 끌어안았다.
사연을 갖고 있지 않은 가족은 없다. 세대가 거슬러 올라가고, 또 거슬러 올라가면 어디엔가는 가족의 구성원인 자신조차 믿겨지지 않을 이야기들은 있었기 마련이다. 털어서 먼지나지 않는 사람 없다고 했던 말을 살짝 바꾸어본다. 털어서 잔사고 없었던 집안 없다. 그런 사고와 사건들이 모여 하나의 이야기가 되고 그것은 역사가 된다. 그리고 그것들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그것을 직접 경험한 사람 조차도 관객으로 만들어 버린다. 이미 지나간 시간 속 사건들은 다시 되풀이 되지 않기에 그것을 바라보는 수 밖에 우리는 할 도리가 없기 때문이다. 때로 그 사건은 떠올리기만 해도 가슴 아픈 상처로 남는다. 할머니가 큰삼촌과 할아버지의 밥그릇을 여전히 올려놓는 것도 상처의 표면이다. 그 시간으로 되돌아간다면 우리는 다른 선택을 할 수도 있겠지만, 연극무대에서 관객이 무대 위의 배우들의 이야기를 바꾸어놓을 수 없듯 우리도 이미 일어난 일을 어찌할 수는 없다. 그저 기억하고 남은 이야기를 꾸려가는 것이 우리의 몫일 뿐이다.
그러고보면, 이 책 속 모두의 죽음은 무언가가 떨어짐으로서 만들어진다. 자살하는 사람 밑에 깔려 죽은 큰 삼촌, 돌로 만든 집을 구경하다가 집이 무너지는 바람에 죽은 부모님, 위에서 누군가 내려친 각목에 의해 죽은 할아버지. 하지만 부모님이 여행을 통해 만났던 사람들처럼 그런 경우에도 어떤 사람은 죽지 않고 살아난다. 사람들은 그것을 기적이라 불렀지만 난 우연이라 부르고 싶다. 누군가는 하늘에서 뚝 떨어진 우연에 죽음을 맞이하고, 누군가는 하늘에서 뚝 떨어진 우연에도 멀쩡할 수 있는 것이다. 전자는 사고가 되고 후자는 사건이 된다. 그리고 그 둘을 보고 듣고 겪은 사람들은 그 속에서 살아있는 자신을 독려하며 다시 살아간다. 그래야 이야기는 계속 진행되는 법이다.
평범하지만 결코 평범하지 않은 이 이야기들 속에서 작가는 평범하지만 결코 평범하지 않은 텍스트를 만들어 낸다. 소소한 감동이 주는 큰 울림은 그녀의 단편에서만큼 강렬하다. 장편이되, 하나하나가 단편으로 봐도 좋을만큼 탄탄한 구성을 가지고 있는 이 책을 통해 왜 그간의 윤성희의 단편에 환호했는지 다시한 번 느끼게 된다. 그들의 삶을 지켜보는 구경꾼으로서, 또 이제 내 이야기를 꾸려나가야 하는 한 명의 주인공으로서 내 삶은 이 글로 인해 단단해진다. 좋은 작가의 멋진 작품을 만나는 것은, 이렇게나 멋진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