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비들
김중혁 지음 / 창비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난 김중혁 작가가 인터넷을 검색해서 자신의 소설에 대한 독자평을 읽지 않는 사람이길 진심으로 바란다. 만약 작가가 어쩔 수 없는 호기심에 독자평을 읽는다면 내 것은 읽을 일이 결코 없길 바란다. 그리고 정말 우연히 내 것을 읽었다면 문학에 문자도 모르는 것이 까분다고 생각해 주길 바란다. (의외로 작가들이 블로그에서 자신의 책에 대한 평을 읽는 일은 꽤 흔하다.) 왜냐하면 김중혁 작가의 책을 엄청 기다린 내가 이 책에 대해선 결코 좋은 말을, 그동안 외쳤던 '심봤다'를 외칠 수 없기 때문이다. 내 기대가 컸기 때문일까? 아니면 내가 문학에 문자도 모르기 때문일까? 난 그 두가지 이유 때문이길 바란다.

 

     <펭귄뉴스>와 <악기들의 도서관>, 김연수 작가와 함께 한 <대책없이 해피엔딩> 및 그가 쓴 그 외 몇 단편들, 그리고 칼럼들까지 모두가 즐거웠다. 이 사람 머리 속에 한 번 들어가보고 싶었고 술자리를 한 번 가질 수 있다면 좋겠다고 생각했고 말빨로 사람 후려칠 재주를 가지고 있다고 느꼈다. 김연수 작가의 북콘서트에 갔다가 작가를 보고는 간지남이라고까지 생각했다. 글재주에 간지까지 나다니, 멋지다며 흠모하기까지 했다. 아, 그런데 ...

     사실 난 스릴러는 별로고 좀비가 나온 영화 한 편 본 적이 없다. 그래, 어쩌면 취향 차이일지도 모른다. 내가 이런 장르에 잼병이라는 이유일지도 모른다. 그래서 난 이 다음에 나올 김중혁 작가의 책도 기대할 것이고, 또 그 책 역시 잽싸게 사서 읽어버릴 것이다. 어쩜 다음 책은 내 취향에 딱! 일지도 모르니까.

 

     작가가 말했다. 이 책을 잃어버린 기억에 대한 이야기다, 라고. 그래. 그 부분을 집고 넘어가게 되면 이 책이 가진 가능성은 보인다. 그게 나와 맞지 않는다는 게 문제. 책 속의 좀비는 스릴러물에서 무섭게 묘사된다고 들었던(한 번도 실제로 본 적은 없으니까) 그런 존재가 아니다. 인간의 욕심과 잔혹에 의해 철저히 희생 된 사람들이다. 그러나 바꿔 생각해보면 그들도 죽기 전엔 누군가를 희생시켰던 사람들이었다. 즉, 가해자였던 사람들이 사후에 또 다른 인간의 잔혹성에 의해 피해자로 변모 된 셈인데 난 여기서부터 복잡해졌다. 여기서 우리가 가져야 할 진정한 기억이란 무엇인가.

     자, 여기서 난 결정을 해야 한다. 다시 한 번 이 책을 읽어보고 다시 한 번 이 의미에 대해 생각 해 보아야 하는 것인가 아니면 그냥 잠자코 다음의 김중혁 작가의 책을 목 빼고 기다려야 하는 것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