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꾿빠이, 이상
김연수 지음 / 문학동네 / 200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스무살>. 그 책을 만나며 김연수란 작가를 알게 되었다. 작가의 그 치열하고 치밀한 세계에 책을 읽는 내내 감탄에 감탄만을 더한 진귀한 경험이었다. 그 책에서 작가는 책에는 그 원전이 있고, 그 원전 역시 또 다른 원전을 갖고 있다는 믿음으로 자신의 책 속에 다른 원전들을 담아내고 있었다. 그 치열함을 잊기가 힘들었다. 나도 모르게 멍하게 앉아 <스무살>을 생각하고 있기도 했다. 다른 책들의 서평을 적을 때도 나 역시 또 다른 원전을 찾아내고 싶었다. 그런 기억으로 다시 김연수의 책을 만났다. <
A빠이, 이상>. 솔직히 <스무살>도 그렇고 이 책 역시 이해하기 쉬운 책은 아니었다. 작가의 치밀한 상상력은 감탄을 하면서도 갸웃하게 되는 부분이 있었다. 거기다 '이상'이라니. 그 작품 모두가 난해하다.라는 말이 늘 따라다니는 그 이상. 혹여나 다른 이상을 생각할까봐 책 표지엔 작가 이상의 한문이 정확히 쓰여있었다. 그가 맞다. 李箱
본명 김해경. 그 사람을 만나게 된 것은 중학교 때 일이었다. 우연히 '날개'란 그의 소설을 읽고 입을 다물지 못했던 내게 그의 작품을 소재로 한 영화가 다가왔다. '건축무한육면각체의 비밀'. 아무리 생각해도 이상은 신비로운 사람이었다. 천재. 그 수식어도 맞게 느껴지지만 신비로운 사람. 내겐 그 수식어가 왠지 더 좋았다. 이상이 남긴 그의 작품, 그 텍스트를 제대로 이해하지도 못하면서 그를 천재냐 아니냐로 나누는 것은 부질없게 느껴졌기 때문이었다. 물론 자신의 작품을 작가가 해석하는 방식이 아니고서야 독자의 입장에선 그 의중을 백프로 이해하기란 불가능한 일이지만 이상은 그 불가능을 넘어선 불가능이라 아직도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그를 천재라 평가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고 생각했다. 그 때도, 지금도.
한 작가의 존재감에 압도 돼 평생 그 작가가 되는 것을 꿈꾸며 살아왔다. 그 작가의 작품을 그대로 베껴쓰는 것 뿐만 아니라 그의 삶까지 따라한다. 단어 하나하나는 모조품에 불과해 아무런 생명이 없었으며 삶은 누군가 한번 살았던 삶이다. 푸른 나무 그림에 회색을 덧칠한 꼴이었다. 이상을 통해 한 번 생명을 얻었던 언어와 삶이 그에게 와서 죽은 갑각류의 껍질처럼 한낱 껍데기에 불과했다. 타인의 목소리를 흉내낸 듯 자신감이 없었고 글에 가면이 쓰여 있었다.(p.74)
이 책은 세개의 이야기로 나누어져 있지만 하나의 이야기를 하고 있다. <오감도 시 제16호 실화>를 중심으로 한 인물들의 이야기를 세개의 이야기로 담고 있는 것이다. 책에는 원전이 있다는 작가의 믿음이 이 책에선 온전히 들어나는 것이다. 이 책의 원전은 이상의 작품들, 그리고 그 작품들에 있는 또 다른 원전들을 작가는 속속 이야기 하고 있으니 작가의 그 치열한 주제의식이 빛을 발할 수 밖에. 더군다나 이 책은 이상 평전이라고 해도 좋을만큼 이상에 대한 작가의 엄청난 연구와 조사가 돋보인다. 책에서 작가는 전기란 1천개의 조각이 필요한 퍼즐에서 1백여개의 조각만 늘어놓은 셈이다라고 말한다. 자신의 상상력을 동원해 그 빈 조각을 읽을 때, 모든 사람은 각자 하나씩의 이야기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은 이상에 대한 많은 자료들을 조각낸 후 그 조각들을 맞춘 후 그 빈조각을 채우는 또 하나의 이야기가 된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어쩌면 작가는 이상이라는 사람의 존재감에 압도 돼 그와 같은 작가가 되기를 원했고 이 책을 그의 데드마스크처럼 만들고 싶었던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한다.
이 책을 구성하는 데드마스크, 잃어버린 꽃, 새, 이 이야기들은 결국 이상이란 사람이 가진 비밀을 풀려고 하는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그리고 이상의 비밀을 풀며 자신의 정체도 찾아가는 것이다. 이상은 사람이 비밀이 없다는 것은 재산 없는 것처럼 가난하고 허전한 일이다. 라고 했다. 그래서인지 그는 가난하게 말년을 보내야 했지만 아직도 비밀로 둘러쌓인 작가이다. 김해경의 삶을 포기하고 이상으로서의 삶을 완성하기 위해 그는 어쩌면 자신의 소설처럼 비밀에 가득한 한 작가를 만들어 냈는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그 비밀 때문에 그는 아직도 많은 사람들의 열정과 신념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이다. 첫번째 이야기 <데드마스크>는 유실된 이상의 데드마스크를 둘러싼 진위 논란을 이야기 하고 있다. 이상의 데드마스크를 들고 와 진짜라 이야기하며 형의 유작을 사람들에게 넘기는 서혁수. 그 형의 유작이 쓰여진 것이 두번째 이야기 <잃어버린 꽃>이 된다. 형 서혁민은 이상을 찾아서라는 수기를 통해 이상을 쫓는 그의 삶을 밝히며 오감도 시 제 16호 실화에 대해 이야기 한다. 그리고 마지막의 <새>는 오감도 시 제 16호 실화를 둘러싼 진위여부 논쟁을 다루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이 책은 이상을 둘러싼 데드마스크의 진위 이야기를 하며 데드마스크를 둘러싼 서혁민의 수기 이상을 찾아서를 이야기하며 데드마스크와 이상을 찾아서를 둘러싼 오감도 시 제 16호를 모두 말하고 있는 것이다.
어쩌면 책의 한 구절처럼 작가에게도 이상은 실존했던 인물이 아니라 문학적 기호인 것인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이상한 이상을 이해하기 위해 이 책으로 자신 역시 궤도를 이탈하는 작가가 되려고 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이 책을 만나기 전 만났던 작가의 다른 작품으로 인한 기대가 더 많이 충족되는 기분이었다. 자신의 책에 수많은 원전이 있음을 믿는 작가가 또 다른 원전이 될지도 모르는 하나의 책을 만들기 위해 뿌린 노력의 씨앗들이 이상이란 작가를 만들기 위해 뿌린 김해경의 삶처럼 빛나는 것 같았다. 어디 하나 작은 구멍조차도 찾기 힘든 책의 치밀함도 감탄거리지만, 자신의 신념을 지키고자 하는 치열한 작가정신에도 박수를 보내는 바이다.
+ 이상을 어렵게만 생각해 그의 작품을 읽어보길 겁냈다면 이 책을 읽어보면 좋겠다. 아마 이상을 읽어보고 싶다는 욕구가 들테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