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라노 게이치로와의 만남 행사 후기

 
 그가 왔다. 처음 <일식>으로 만났을 때 대학교 4학년이던 그가, 10년의 세월을 지나 이제 유부남이 되어서 돌아왔다.
 사실, 히라노의 강연회는 이것으로 두번째이다. 첫번째는 2005년, 일본문화교류재단에서 주최한 강연회였다.(그때의 강연록은 이쪽) 그때로부터 벌써 3년이 지났다. 그러니 당연히 이 성실하고 성실한 작가에게도 변화가 있으리라고 기대했다.

 그의 변화는 이미 그의 소설에서도 감지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에 2005년 번역된 <장송>(일본에서는 2002년에 나온 것으로 안다.)으로 이른바 '전환기 3부작'을 완성한 작가는 그렇다면 그러한 역사의 '변화와 전환'을 통해 완성된 현대사회란 무엇인가에 대한 뚜렷한 자각을 가지고 그 사회를 그려내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 이전의 소설에서도 보여지듯, 이 작가는 내용과 형식이 일치하는 글이 좋은 글이라는 것을 알기에, 현대를 그리는 소설에 그에 걸맞는 형식을 찾아내기 시작했다. 그렇게해서 세상에 나온 것이 <센티멘털>(원제 다카세가와高瀨川), <방울져 떨어지는 시계들의 파문>, <얼굴 없는 나체들>(아직 한국에서는 번역되지 않았다) 그리고 이번에 번역이 된 <당신이, 없었다, 당신>이다.

 그리고 다양한 형식적 실험은 이것으로 어느 정도 일단락된 모양이다. 작가는 다시 <결괴>(아직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일본에서도 얼마 전에 단행본이 나왔다. 이와 관련한 작가의 인터뷰가 보고 싶으면 이쪽)라는 장편소설로 돌아왔다. 나도 아직 이 책을 읽지는 못했지만 주변에서 들려오는 이야기, 그리고 작가 본인의 이야기를 들으니 단편만큼 실험적인 형식미를 추구하지는 않는 모양이다. 그러나 그것은 작가가 형식에 대한 실험정신을 포기했다기보다는 드디어 자신이 쓰고 싶은 내용에 걸맞는 형식을 찾아냈다고 하는 편이 나을 것이다.

 이번 강연회는, 그러니까 이런 맥락에서 작가의 생각을 본인의 입으로 들을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히라노의 강연은 역시 '현대'라는 것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했다. 현대가 시작되었고, 9.11이 일어났으며, 사람들은 공동체적인 삶에서 벗어났으며, 그리고 인터넷이라는 매체가 등장했다. 그런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어떤 존재인가? 우리에게 무엇이 필요한가? 그는 이런 세상에서 어떤 문학을 써야 하는가? 작가는 우리가 지금에서야 받아 본 <당신이, 없었다 당신>보다는 얼마 전 그가 출간한 신작 <결괴>의 이야기를 주로 하여 자신의 생각을 풀어냈다. 그는 무엇보다도 우리의 협력을 위해 공통의 '적'을 만들어 내는 것을 경계하고 있었다. 예를 들면 국가가 자신의 정체성의 혼란을 겪자 그 극복책으로 '적'을 설정하고 그것에 대항함으로써 국민의 단결을 이끌고 이미 존재하는 부조리들을 덮는다거나, 인터넷에 악성댓글을 달아서 '우리는 하나다'라는 식의 분위기를 조성한다는 식이다. 그러나 그것은 틀린 방법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것의 반대편에는, 텔레비전과 같은 기존의 일방적인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부정하는 '인터넷'이라는 미디어가 있다고 보았다. 선택할 수 있는 정보와 그로 인해 분열되는 작은 세계. 그리고 그 작은 세계가 서로 간섭하면서 다양해지는 인간세계의 모습들에 대한 기대감이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했다. 작가는 세계가 점차 각각의 새로운 틀로 변화하고 있다고 진단하고 그를 위해 다양한 실험적 형식을 시도했음을 고백했다.

 또한 당시 그가 동아시아 문학 포럼에 참가하고 있었기에 그러한 활동을 통해 다양한 채널을 통한 한중일 교류를 늘리는 것이 좋지 않겠느냐는 말도 잊지 않았다.(그거야말로 내가 바라는 바요!)

 질의문답 시간에 특별히 기억에 남는 것은 '어려운 소설'에 대한 생각이었다. 2005년에만 해도 그는 작가가 독자들의 수준을 멋대로 설정하고 일부러 쉬운 소설을 쓰는 것은 독자에 대한 모독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번에 <결괴>에서는 그런 생각이 바뀌어 글을 어렵게 느끼는 것은 '인터페이스'의 문제가 아닌가, 그렇기 때문에 흥미를 끌 수 있는, 마치 할리우드 영화와 같은 요소들을 도입했다는 말이었다. 그 외에 지난 10년간 소설을 쓰면서 생각한 점이라든지, 미(美)에 대한 생각도 말해주었다. 그는 소설가로서 10년간 독자들과 소통하며 좀 더 나은 소설을 쓸 수 있도록 성장했다고 말했으며, 자신은 여전히 아름다움을 최고로 생각하지만 그것이 이 세상의 어떤 가치보다 예술을 우선시 한다는 것은 아니라는 대답을 했다. 역시, 진지하면서도 멋진 대답이었다.

 히라노 게이치로는 젊다. 그것은 그가 단순히 나이가 젊기 때문이 아니다. 그것은 그가 이 시대를 진지하고 냉정한 눈으로 진단하고 있으며 그것을 문학에 끊임없이 반영하려 하기 때문이다. 처음 그가 '예술지상주의자'라고 말했던 것처럼 그는 소설을 쓴지 10년이 되는 지금도 여전히 소설에 모든 것을 바칠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다. 하나의 일에 전부를 걸 수 있는 남자라면 나이가 몇이든간에 젊다고밖에 말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런 작가와 동시대를 살아갈 수 있어서 기쁘고 행복하다고 생각하며, 강연회를 마친 후 발걸음을 집으로 옮겼다. 따뜻하게만 느껴지는 밤이었다.





댓글(1) 먼댓글(1)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히라노 게이치로의 간단한 강연록
    from 아비시엔 2008-10-07 20:35 
    10월 2일에 있던 강연의 간단한 정리본이다.통채로 녹화한 파일이 있긴 한데, 생각보다 음질이 좋지 않아서 그걸 블로그에 올리기에는 조금 무리일 듯.혹시 개인적으로 원하는 분이 있으면 조용히 문의해 주세요(笑) 일본은 저작권에 민감하니까 이런 것도 원래 공유하면 안 되는 건데, 그러니까, 더욱 조용히 문의해 주세요(......)
 
 
천재 2008-10-08 14: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조용한 문의^^ 히라노 게이치로가 만든 온화한 분위기에 매료되어 상당부분 그의 발언들이 생각나지 않은 1人입니다-_-;; 녹화한 파일 보고싶은데 보내주실 수 있는지...? genius50@hanmail.net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