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아직 익명의 존재이고 싶다.
원칙적으로 알라딘은 내가 누구인지 공개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공개와 비공개의 차이는 극명하다. 만약 내가 누구인지를 공개하며 그에 맞는 글과 품행이 뒤따라야 한다. 장점처럼 보이나 글쓴이들에게는 단점이 더 많다. 때론 '홍길동'이란 이름이 들어가면 그에 맞는 페르소나의 가식이 뒤따라야 하기 때문이다. 더 강하고 쓴 글을 쓰고 싶을 때 '홍길동'에게 누가 되지 않도록 조심하고 숨기게 된다. 이런 이유 때문에 알라딘에서 나의 실명과 존재를 드러내지 않는다. 알라딘 서재에서는 보다 강하고 원색적인 글을 쓰고싶은 탓이다. 이원석과의 만남도 그렇다.
내가 그를 처음 만난 건(인터넷상에서) 2년 쯤 되었을 것이다. 그는 이미 많은 책을 저술한 작가이며 서평가로 활동하고 있다. 단오하고, 명징한 그의 논리는 모호한 생각을 부수는 힘이 있다. 그 날카로움이 부담스럽기는 하지만 달게 듣는다면 약이 되는 말들이다. 나이도 나와 비슷한 데다가 여러 방면에서 활동하고 있어서 부러운 존재이기도 하다. 오늘 북펀딩에 들어가니 '이원선'의 이름이 턱하니 걸려 있다. 내가 좋아하는 '유유출판사'에서 서평에 관련된 책을 펀딩했다. 아쉽게도 이미 종료된 것이라 참여할 수 없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421/pimg_7733471131191637.jpg)
이원석씨는 자기계발에 관련된 서적들을 상당히 비판적으로 평가한다. 아직 그의 책은 한 번도 읽어 보지 않아서 어떤 근거를 가지고 있는지는 알지 못한다. 그의 인터뷰기사로 그를 평가하기에 역부족이다. 근래에 들어와 그가 펴낸 책들을 찾아보니 꽤 된다. 그 중에 자기계발을 비판한 <거대한 사기극>이 있고, 공부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시한 <공부란 무엇인가?>가 있다. 올 들어 또 한 권의 책을 펴냈는데 <인문학 페티시즘>이다. 세 권 모두 상당히 호기심을 자아낸다. 기회가 된다면 세 권 모두 읽을 것이다.
타자의 입장에서 그를 보고 싶다. 아직까지 그를 잘 모른다. 앞으로 나올 그의 책들을 유심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앞으로 그는 어떤 식으로 자신의 주장을 이끌어 나갈지 자못 궁금하다. 그러하기에 난 아직 익명의 존재로 남아 있어야 한다. 아직까지는...
![](http://image.aladin.co.kr/product/3747/73/cover150/1185494170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5420/5/cover150/6000817493_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