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독한 하루 - <만약은 없다> 두번째 이야기
남궁인 지음 / 문학동네 / 2017년 7월
평점 :
어두운 밤 불을 밝히고 누군가 오기를 기다리는 일은 어떨까. 길을 떠난 사람이 갈 곳이 없어 잠시 쉬어 갈 곳을 찾다 불 켜진 곳을 보면 마음이 따듯할 것 같다. 그게 편의점 불빛이라 해도 말이다. 누군가 찾아와 쉬었다 가기를 바라고 불을 밝힌 곳도 있지만, 밤에 갑자기 아파서 찾아오는 사람을 기다리는 곳도 있다. 그곳은 바로 응급실이다. 응급실에서는 밤에 사람이 적게 오는 걸 더 반길 것 같다. 늦은 밤에도 불을 밝혔다 해서 그곳이 다 사람을 반기는 곳은 아니다. 아니 응급실이 있어서 아픈 사람은 좀 나을지도 모르겠다. 그곳이 없으면 날이 밝기를 기다렸다 병원에 가야 할 테니. 몸이 아주 안 좋은 사람은 날이 새기도 전에 세상을 떠날 거다. 응급실에 간다고 해서 모두 사는 건 아니다. 응급실 의사는 아픈 사람을 보고 먼저 목숨을 이은 다음 검사를 한 다음 전문의사를 부른다.
사람이 벼락을 맞는 일은 아주 일어나기 힘든 일이다. 언젠가 어떤 사람은 벼락을 맞고도 살았다는 말을 들었는데, 어쩌면 그건 벼락이 아니고 전기가 몸을 뚫고 나간 건지도(그것도 살아나기 힘든 일이구나). 일어나기 힘든 일이 일어난 건 그 사람이 잘못해서는 아닐까 싶기도 하다. 날씨가 안 좋은 날 바깥에 있어서 그런 일이 생긴 건 아닌지. 산꼭대기에서 벼락 맞은 사람을 소방대원이 데리고 왔다. 날씨가 아주 좋지 않아 헬기는 뜨지 못하고 소방대원 세 사람이 산꼭대기에서 벼락 맞은 사람을 데리고 내려왔다. 그냥 온 것도 아니고 산을 내려오면서 죽 심폐소생술을 했다고 한다. 사람이 죽었다는 걸 알아도 소방대원은 심폐소생술을 해야 할까. 심장이 멈췄지만 심폐소생술을 하면 살지도 모른다고 여긴 걸까. 병원에 가니 의사가 보고는 벼락 맞은 사람은 죽었다고 했다. 소방대원 세 사람은 멍 하고 힘이 빠졌겠다. 옮기는 게 힘들었다 해도 그 사람이 살았다면 좋았을 텐데.
어릴 때는 소방대원이 불만 끈다고 생각했다. 언제부터 소방대원은 사람을 구하는 일까지 하게 됐을까. 처음부터 그랬을 것 같다. 지금 소방대원은 불끄는 일보다 사람 구하는 일을 더 많이 한다고 한다. 소방서에 장난전화 하는 사람 정말 많을까. 그런 건 하지 않았으면 한다. 집에 벌이 한마리 들어왔다고 전화를 하고, 강아지가 아프다고 응급차를 보내달라는 사람도 있단다. 어디선가는 응급차를 택시로 이용하는 사람도 있다는 말을 했는데, 한국에도 그런 사람 있구나. 지금 아주 급한 것도 아닌데 지방에서 서울 병원에 가야겠다면서 응급차를 보내달라는 사람도 있었다. 잘 모르고 한 일이다 여기고 그냥 웃어야 할까. 그러면 안 되겠지. 지금은 소방대원도 그리 많지 않을 거다. 일하다 죽을 수도 있고 사람을 구해도 외상후스트레스장애에 시달리기도 한단다. 누군가를 구하고 싶어서 그 일을 하다 무척 힘들다는 걸 알고 그만두는 사람도 많을 것 같다. 장난이나 별거 아닌 일로 119에 전화하지 않으면 좋겠다.
응급실 풍경을 실제 본 적은 없다. 본 적은 없지만 그곳이 싸움터와 다르지 않을 것 같다는 상상이 간다. 다쳐서 왔다가 나중에 나아서 돌아가는 사람도 있지만, 병원에 가고도 죽는 사람도 있다. 사고가 나도 누구는 죽고 누구는 살기도 하다. 그건 뭐라 해야 할까, 운이 좋고 나쁘다 해야 할까. 응급실 의사는 사람을 살리면 마음이 조금 뿌듯하지 않을까. 응급실에서 난동을 부리는 사람도 있겠지. 칼에 찔린 조직폭력배 같은 사람과 여러 사람이 몰려와서는 배를 그냥 꿰매달라고 했다. 시간이 조금 지나고 칼에 찔린 사람은 다른 데서 피가 엄청나게 나왔다. 남궁인이 치료를 하려고 하자 다른 사람이 그걸 방해하고 때리기도 했다. 그런 거 보니 의사가 안됐다는 생각이 들었다. 밤에는 술을 마신 사람도 많이 만나고 이런저런 욕도 많이 듣겠지. 응급실 의사도 가끔 심리치료를 받아야 하지 않을까 싶다. 어쩐지 한국에서는 스스로 이겨내라고 할 것 같다.
지난번에 나온 《만약은 없다》를 볼 때도 죽은 사람을 여럿 보았는데 이번에도 다르지 않았다. 병원에 있으면 세상에는 아픈 사람만 있는 것 같다. 세상에 나온 지 두달밖에 되지 않은 아기를 때린 사람도 있었다. 아무리 자기 아이가 아니라 해도 그렇지 어떻게 아기한테 그럴 수 있는지 그 아기는 제대로 자랄 수 있을까. 응급실에 가서 제대로 치료받는 사람도 있지만, 의사가 제대로 못 볼 때도 있다. 그럴 때는 의사는 신이 아니다 생각해야 할까, 의사가 얼마 없을 때 아픈 사람이 밀려와서 일어난 일이다 여겨야 할까. 남궁인은 자신이 잘못한 것도 여기에 적었다. 책으로 보고 여러 가지 병을 아는 것과 실제 보는 건 다를 거다. 의사가 조금 더 마음을 써서 아픈 사람을 봤으면 좋겠다. 언젠가 의사는 아픈 사람 얼굴이 아닌 아픈 곳만 본다고 하는 말을 들었는데, 의사가 아픈 사람이 어떻게 생겼는지 얼굴을 봤으면 한다.
지금은 응급의학과 의사뿐 아니라 외과의사도 많이 줄었다고 한다. 힘들어서 그렇겠지. 의사라는 일을 자부심을 가지고 하면 좋을 텐데, 그것보다 돈을 더 벌려고 하는 것 같다. 그런 사람 그렇게 많지 않겠지. 뜻을 가지고 의사가 되려는 사람이 많다고 믿고 싶다. 아픈 사람이 마음 편하게 마주할 수 있는 의사가 많아지기를 바란다.
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