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몇해 전에 본 드라마 <BORDER 경시청 수사1과 살인범 수사 제4계>를 다시 보았다. 아직 끝까지 못 봤다. 모두 9환데 4화까지 봤다. 만화영화는 여러 번 보기도 하지만 드라마는 한번만 볼 때가 더 많다. 요새는 예전에 본 거 다시 보고 싶기도 하다.
이 드라마를 다시 본 건 다음 편이 나와서다. 다음 편 그렇게 길지 않지만. 어떤 이야기였는지 잘 생각나지 않았는데 보다보니 한번 봤다는 느낌이 들었다. 그 느낌이 조금 신기했다. 이걸 책으로 본 적 없는데 소설을 본 것 같은 느낌이었다. <보더> 원작은 따로 없어서 소설을 볼 수 없는데 왜 그런 느낌이 들었는지 모르겠다. 찾아보니 소설과 만화로도 나왔다.
형사 이시카와 안고(오구리 슌)는 어느 날 사건 현장을 돌아보다 범인과 맞닥뜨리고 범인이 쏜 총에 맞는다. 총알은 머릿속에 박혔다. 그것을 빼는 수술을 하려면 심장을 멈춰야 했다. 그 말을 들은 이시카와는 심장이 한번 멈춘 것을 기억하고 한번 더 죽고 싶지 않다고 한다. 수술을 하지 않고 이시카와는 머릿속에 총알이 박힌 채로 다시 형사로 돌아간다. 현실에서는 일어나기 힘든 일이겠지.
머릿속에 총알이 있으면 걱정스러울 것 같은데. 그 일로 이시카와는 별난 힘을 갖게 된다. 그건 죽은 사람이 보이고 말도 할 수 있는 거였다. 이시카와가 죽은 사람을 깨우는가 보다. 죽은 사람이 나타나서 말하면 무서울까. 이시카와가 형사여서 잘된 게 아닌가 싶다. 그 사람을 죽인 사람을 잡을 수 있으니 말이다. 하지만 이시카와는 하면 안 되는 것도 조금 한다. 그렇게 하지 않고도 증거를 찾아내면 좋을 텐데. 다른 사람한테 죽은 사람이 가르쳐준 걸 쉽게 말할 수 없겠다.
보더border는 경계라는 뜻이다. 죽은 사람과 산 사람 사이에 있는 이시카와를 나타내는 거겠지. 이 드라마를 언제 봤는지 잘 모르겠다. 2014년에 했던 건데. 그때 봤는지 나중에 봤는지. 죽은 사람이 말을 하면 조금 웃길 것 같은 느낌도 드는데 웃기지 않다. 반대로 어둡다. 죽임 당한 사람이 말을 해서 그런가(다른 사람을 죽이고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람도 나왔는데). 이시카와는 자신이 범인을 잡는 걸로 죽임 당한 사람의 억울함이 조금이라도 풀리기를 바란다. 누군가한테 죽임 당한 사람은 자신을 죽인 사람이 경찰한테 잡히고 벌을 받으면 마음이 조금 나을까. 정말 그렇다면 좋겠다.
*더하는 말
이시카와가 산 사람과 죽은 사람 사이에 있다 했는데, 그것도 있지만 선과 악 사이에 있는 것도 나타내는 듯하다. 이시카와는 죽은 사람과 이야기해서 정의를 지켜야 한다 생각한다. 하지만 세상은 늘 정의가 이기지 않는다. 9화에서 이시카와는 선을 넘고 만다. 마지막이 그랬다니. 오래전에 봐서 잊어버렸다. 다음은 어떨지.
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