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가 질 때면 하루가 가는구나 하는 생각에 조금 아쉽다. 하루를 잘 보내지 못해설까. 그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겠지. 그저 해가 질 무렵이 쓸쓸한 건지도. 어린왕자가 생각난다. 해 지는 모습을 여러 번이나 바라봤다는.

 

 얼마전 밤에 라디오 방송을 들었다. 꼭 해야 하는 건 아니지만 나 나름대로 해야 하는 게 있었는데 그걸 쉬고 라디오를 귀 기울여 들었다. 《참 좋은 사람을 만났습니다》를 쓴 작가 송정림이 나와서였다. 난 그 책 한권밖에 만나지 못했다. 벌써 다섯번째가 나왔나 보다. 송정림은 밤 열신가 열한시에 자고 아침 다섯시에 일어난다고 한다.

 

 사람은 어두울 때 자고 날이 밝으면 일어나는 게 가장 좋다고 하지만, 지금은 원시시대가 아니니 그것만이 옳은 건 아니겠지. 전기가 생기고 사람 삶은 바뀌었다(아니 불을 쓰고부털까). 송정림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하는 건 글쓰기다. 날마다 쓸 게 생각날까. 송정림만 그렇게 꾸준히 글을 쓰는 건 아니겠다. 작가는 다 날마다 어느 정도는 쓸 거다. 난 겨우 백일 정해 놓고 하면서 힘들다 여기는데. 날마다 쓸 게 바로 떠오르지도 않고. 며칠 전부터는 ‘오늘 하루 쉴까’ 하는 생각을 했다. 생각만 하고 그러지 않아서 다행이다.

 

 예전에 송정림이 작가가 된 이야기를 들으니 난 그렇게 못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송정림은 학교에서 학생을 가르치다가 글을 쓰게 됐다. 글을 쓴 건 언니 때문이었다. 언니가 한다면 자신도 할 수 있다 여겼다. 라디오 방송 작가였던 언니가 다른 곳에 가게 됐을 때 송정림은 라디오 드라마 한달치를 써서 언니한테 그 방송 PD한테 전해달라고 부탁했다. 그렇게 해서 송정림은 학생 가르치는 일과 라디오 방송 작가를 여덟해나 했다.

 

 두 가지 일을 한 것보다 글을 쓰고 작가가 된 게 대단하게 보였다. 무엇이든 애써야 할 수 있지 설렁설렁 하면 안 되겠지. 송정림은 자신이 할 수 있다 믿었다. 그런 마음도 중요하다. 난 지금 하는 걸 할 수 있다 믿고 해야겠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