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호모 데우스 - 미래의 역사 ㅣ 인류 3부작 시리즈
유발 하라리 지음, 김명주 옮김 / 김영사 / 2017년 5월
평점 :
며칠 동안 책을 보았는데 내가 대체 무엇을 본 건지 잘 모르겠어. 이 책은 지금이 아니고 나중에 보는 게 나았을까. 다 알아듣지도 못하면서 끝까지 본 것만으로도 신기하지만. 예전에 나도 우연히 《사피엔스》를 보고 새로운 걸 알기도 했는데. 그때까지 사피엔스가 어떤 길을 걸어왔는지 제대로 몰랐어. 아니 아주 조금 알았을 테지만 자세한 건 몰랐던 것 같아. 인류라는 게 한 종이 아니고 여러 종이 있었는데 지금 남은 건 사피엔스뿐이라는 거. 살아남았다고 해서 대단하다고 할 수 있을까. 조금 그렇게 생각할 수 있지만 어쩐지 의심스럽기도 해. 사피엔스는 살아남으려고 무슨 짓을 했는지 알 수 없잖아. 내가 이런 생각을 하는 건 《사피엔스》를 만나서군. 어쩐지 사람만 사람을 죽이는 것 같기도 해. 동물이나 식물도 살아남으려고 다른 것과 싸우겠지만.
이 책 재미있게 본 사람도 있을 텐데 난 어쩐지 이상하기도 했어. 뭔가 삐걱거리는 느낌이 들고, 유발 하라리가 하는 말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 없더라구. 그러면서 내가 이상한가 하는 생각을 하기도 했는데, 왜 그랬는지 책을 거의 다 볼 때쯤에야 깨달았어. 여기 실린 글은 벌써 일어난 일도 있지만 아직 일어나지 않은 일도 있어. 유발 하라리가 앞으로 일어날 일을 생각하고 쓴 거야. ‘호모데우스’ 말고도 ‘앞날 역사’ 라는 말이 있는데, 내가 그걸 깊게 생각하지 않았어. 앞에서 그걸 생각하고 책을 봤다면 좋았을걸. 거의 다 봤을 때쯤에야 알다니. 여기에 쓰인 일이 다 실제로 일어나지는 않겠지. 그렇다고 아주 일어나지 않는다고 할 수도 없을 것 같아. 가장 마음에 걸리는 건, 자신을 알려고 잠시 쉬고 생각하기보다 전자편지를 구글이 볼 수 있게 한다는 거야. 그것뿐 아니라 많은 정보도. 아직은 전자편지을 구글이 볼 수 없지만, 그건 감시 받는 느낌 들지 않을까. 그런 일 아주 없는 건 아니군. 지금 많은 사람은 인터넷으로 여러 가지를 사잖아. 그것 또한 자신의 정보잖아. 안젤리나 졸리는 아직 암에 걸리지 않았는데 수술받았다고 하더군요. 유전자가 있다고 해서 꼭 그 병에 걸리는 건 아닐지도 모를 텐데.
언젠가 소설을 보면서 왕이라고 하는 사람한테 머리를 숙이고 무서워하다니 하는 생각을 했어. 그 답은 《사피엔스》에 있었어. 그걸 이제야 알다니. 사람, 그러니까 인류는 신화를 만들고 약속을 만들었어. 사회에서 만든 약속이 있어서 사람은 사람을 쉽게 죽이지 않고 남의 것을 훔치지 않지. 그게 없었다면 지금처럼 인류가 살아남지 못했을지도 모르겠어. 보이지 않는 것을 지키는 사람 신기하기도 해. 하지만 사람 중심으로 생각하는 건 안 좋은 듯해. 지구에 사는 건 무엇이든 소중한데 인류는 많은 걸 사라지게 만들었어. 인류가 살아가는 데 있어야 하는 것도. 지구온난화 때문에 이런저런 약속을 해도, 지구가 좋아지지 않는 건 경제가 성장해서라는군. 인류는 경제에 많이 매달려 있어. 한국도 경제가 가라앉았다 하면서 다시 살려야 한다 하잖아. 그게 지구에는 좋은 게 아니었어. 그건 조금만 생각하면 알 수 있는 거였군. 평소에 별로 생각한 적 없어. 그저 지구는 갈수록 나빠지는구나 했어. 인류가 경제만 생각하지 않았으면 좋겠어.
예전에는 기아, 전염병, 전쟁으로 목숨을 잃은 사람이 많았어. 지금이라고 그런 일이 아주 없는 건 아니지만, 많은 나라가 평화로워. 21세기에는 죽지 않는 걸 생각한다고도 했어. 오래 살아서 이것저것 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어떤 부자는 그저 오래 살고 싶다고 했대. 끝이 있기에 사람은 거기에 가기까지 잘 살려고 할 텐데. 삶에 꼭 뜻이 있는 건 아니지만, 조금은 그걸 생각하면 좀 낫겠지. 그건 정말 스스로 생각하는 걸까. 사람한테 자유 뜻은 없다고도 하니. 우리가 하는 건 그저 전기신호일 뿐이다고도 하잖아. 아니 그런 말이 있다 해도 난 마음은 있다고 생각해. 뇌가 여러 가지를 익히고 몸이 움직이는 것일지도 모르겠지만. 인류가 신이나 만들어낸 것을 믿는다고 해도 그렇게 나쁜 건 아닌 것 같아. 앞으로는 데이터교가 나타난다고 하던데. 아니 이건 벌써 나타났어. 데이터가 도움이 되기도 하겠지만 가끔은 그것을 뛰어넘는 것도 괜찮겠지. 인류가 아주 대단하다 말하고 싶지 않지만, 인류기에 할 수 있는 것도 많을 거야. 안 좋은 쪽으로 흘러가지 않으면 좋을 텐데.
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