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글이든 편지와 다르지 않다. -희선
우표를 뭐라고 하는지 아세요. ‘작은 네모 속 커다란 세상’이라고 합니다.
제가 편지를 썼을 때부터 우표에 관심을 가진 건 아니예요. 처음에는 문구점에서 보통우표를 사서 편지에 붙였어요. 언젠지 확실하게 기억하지 못하는데, 시내 우체국을 지나다 거기에서 우표를 샀어요. 그때 산 건 우체국에서 팔다 남은 기념우표였어요. 그 우표가 기념우표라는 것도 모르고 그냥 우체국에는 예쁜 우표가 있는가 보다 생각했어요. 나중에 기념우표라는 게 있다는 거 알았습니다.
기념우표는 한해 동안 스무번쯤 나옵니다. 한해 동안 나오는 우표 계획표는 그 해가 시작할 때 나와요. 제가 그걸 본 건 거의 첫번째 우표가 나온 날입니다. 계획표가 있다 해도 바뀔 수 있고 계획에 없던 우표를 만들기도 합니다. 그런 건 어쩌다 한두 번입니다. 우표를 오래 샀더니 이런 걸 아는군요. 예전에는 동네에 있는 작은 우체국에서도 기념우표 살 수 있었는데, 지금은 살 수 없어요. 우표를 예전보다 적게 만들어서겠지요.
우표에는 그 나라 역사와 문화가 담기기도 합니다(한국 우표밖에 모르지만 다른 나라도 비슷하지 않을지). 누군가는 우표로 세상을 배웠다고도 하더군요. 많은 사람한테 알리려는 문화재나 보물 그리고 역사에 남은 사람을 우표로 만듭니다. 가 볼만 한 곳을 알려주기도 합니다. 기념우표를 보면 공부가 됩니다. 예전에 우표에서 본 게 퀴즈로 나온 적 있어요. 그때 참 신기했습니다.
우정사업본부에서는 해마다 우표 디자인 공모를 하고 거기에 뽑힌 건 그다음해에 우표로 만들어요. 다 만드는지 그건 잘 모르겠습니다. 대상 우수상만 만들었던 것 같기도 해요. 자신이 디자인한 게 우표로 나오면 무척 기쁘겠습니다. 자신이 디자인한 게 뽑히지 않아도 자신이 우표 만들 수 있어요. 그건 ‘나만의 우표’로 인터넷이나 우체국에 가서 신청하면 됩니다. 돈은 좀 들겠지요. 자신이 기억하고 싶은 것이나 알리고 싶은 걸 우표로 만들면 멋지겠습니다.
앞으로는 자신이 받은 편지에 붙은 우표 잘 살펴보세요. 요즘은 우체국에서 편지를 보내면 우표대신 하얀 스티커를 붙여주지요. 그것도 잘 보면 우표라는 거 알 수 있어요. 여러 가지 우표 보는 것도 재미있습니다.
희선

고창담양고속도로 당진영덕고속도로
익산포항고속도로 흑산일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