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수전 미야베 월드 2막
미야베 미유키 지음, 이규원 옮김 / 북스피어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번에 만난 미야베 미유키 소설 《괴수전》은 지금까지 만난 에도시대 소설과 조금 다르다는 생각을 했는데 그렇지도 않은가봐. 읽었지만 잊은 것도 있어서 그런 생각을 한 듯해. 배경이 에도시대기는 해도 판타지라는 말을 들어서일지도 모르겠어. 미야베 미유키 판타지도 쓰지. 이것을 잊고 있었네. 판타지일지라도 사회문제와 함께 썼지. 에도시대 소설에도 그런 게 있었어. 사람이 만든 신이나 귀신(도깨비), 요괴가 나오기도 하지. 에도시대기에 그것을 더 편하게 쓴 건 아닐까 싶어. 거기 나오는 사람은 서민일 때가 많았지. 하급무사도 나오기는 하지만. 하급무사는 서민 편에 서서 일을 했군. 내가 《괴수전》은 다른 에도시대 소설과 다르다고 느낀 건 왜일까. 다 읽고 보니 아주 다르지 않다는 걸 느꼈거든. 사람을 잡아먹는 괴물 때문에 그런 생각을 한 건지도 모르겠어. 정체를 알 수 없는 괴물이 나타난 이야기가 아주 없지 않았어. ‘마구루’라고 하더군. 《피리술사》 읽었는데 그 이름은 잊어버리고, 사람들 원한으로 이루어진 괴물을 물리치는 이야기는 잊지 않았어. 그게 바로 ‘마구루’였어.

 

이것을 보다보니 이런저런 생각이 들었는데, 확실하게 떠오르지 않아서 말은 안 할게. 교고쿠 나쓰히코 소설이 생각났다고만 할게. 미야베 미유키가 쓴 에도시대 소설에서 두번째인가 본 게 《외딴집》이었던 것 같아. 왜 이런 말을 하느냐구. 그 소설 앞부분 배경 설명이 복잡해서. 이것도 앞부분 어쩐지 복잡해 보여. 쉽게 말하면 한 번이었던 곳이 둘로 나뉘고 사이가 좋지 않다야. 고야마와 나가쓰노라는 곳이야. 나가쓰노 주군을 섬기던 집안 사람이 고야마를 다스리게 되어서. 내가 이렇게 말해도 알기 어렵겠군. 이건 에도시대 정치라고 할까 나라를 다스리는 장치를 알아야 하는 거군. 나도 자세하게 몰라서 복잡하다고 느끼는 건지도. 번은 우리나라로 치면 시쯤 될까(도는 그것보다 넓으니 아닌 것 같기도 하지만 도일 수도 있겠군). 나도 잘 모르니 이건 그만 하고. 번경에서 가까운 곳에서 산을 개척하고 사는 고야마 한 마을 사람이 하룻밤 만에 모두 사라져. 거기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났길래. 그곳에 괴물이 나타나서 많은 사람이 괴물한테 잡아 먹히고 죽었어. 고야먀에서 이 일을 알게 되는 사람이 있고, 번경에서 가까운 나가쓰노 한 마을 나카무라에서 사는 몇 사람도 그 일을 알게 돼. 사이 안 좋은 두 번 사람들이 힘을 모아 괴물을 물리칠까 하는 생각이 들었는데. 그런 마음을 가진 사람도 있지만, 괴물을 이용해야겠다 생각한 사람도 있어. 다행하게도 그건 이루지 못했어.

 

괴물 모습 참 무서워. 글로만 나와서 뚜렷하게 그리기 어렵지만. 몸은 두꺼비, 다리는 도마뱀, 꼬리는 뱀이고 눈은 없어. 머리가 좋고 둘레 색에 따라 몸 색깔이 바뀌어. 이 세상에 있을 수 없는 생물이지. 사람을 많이 잡아먹고 배가 부르면 다시 뱉어내. 이건 보통 뱀이 차라리 낫지. 뱀은 먹이를 먹고 배가 부르면 다른 먹이가 나타나도 공격하지 않잖아(그렇다고 어디선가 들은 것 같아). 사람 욕심은 끝이 없지. 그렇군, 괴물은 사람이 가진 끝없는 욕심을 가진 거군. 이렇게 말하면 그 괴물이 어떻게 말들어졌는지 좀 알겠지. 사람은 자신이 감당할 수 없다는 걸 생각하지 않고 무서운 일을 하지. 그게 도움이 된다 말하면서. 괴물, 원자력 발전소인가. 갑자기 이런 생각이. 편집후기에 그 이야기가 나와서. 누군가는 그런 걸 만든 데 죄책감을 느끼고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을 하려고 오랫동안 기다리고, 누군가는 괴물이 나타나면 물리칠 수 있는 주문을 오랫동안 지켰어. 세상에는 잘못 생각하고 잘못을 저지르는 사람도 있지만, 거기에 책임을 느끼고 바로잡으려는 사람도 있지. 잘못을 바로잡으려는 사람이 아주 없지 않아서 다행이야. 그런 사람이 있어서 세상은 아직 돌아가는 거겠지.

 

사람이 가진 무기로 쓰러뜨릴 수 없는 괴물을 어떻게 쓰러뜨릴까 했어. 앞에서 괴물을 물리치는 주문을 오랫동안 지킨 사람이 있다고 했잖아. 그 주문을 쓸 수 있는 사람은 어느 집안 사람이고, 산제물이 되어야 했어. 이건 조금 아쉬워. 사람이 주술로 만들었으니, 그것을 물리치는 주문이 있을지도 모르겠어. 그러고 보니 그것을 만들 때 사람도 희생되었군. 오래전에 그런 일이 있었다고 해서 지금 다시 누군가 희생해야 했을까. 어렸을 때 저지른 잘못 때문에. 그때는 어떤 분위기에 휩쓸린 건지도 모르겠어. 자신이 숨어서 살아야 하는 것을 원망하고 복수하려고 한 사람도 있군. 여러 사람이 나오는데 이름은 거의 적지 않았군. 누군가 한두 사람만 말하기 어렵고 모두 중요한 사람으로 보여서.

 

사람을 잡아먹는 괴물은 없앴지만, 모든 게 다 좋아진 건 아니야. 겉으로 드러나지 않은 일도 있어. 세상이 그렇기는 하지. 나쁜 건 뿌리뽑을 수 없는 거니까. 여기에서는 번이나 식구를 위해 안 좋은 일을 하기도 한다는데, 자신의 둘레뿐 아니고 더 넓게 보고 생각해야지. 지금은 자신이 사는 나라만 생각하지 않고 세계(지구)를 생각해야 한다고도 하더군. 맞는 말이야. 좀 멀리 간 건가. 괴물이 나타나고 사람을 잡아먹는 모습은 무섭기도 한데 재미있는 면도 있어. 미야베 미유키가 사람을 바라보는 따스함도 담겼어.

 

 

 

희선

 

 

 

 

☆―

 

“나는 산에서 죽지 않고 내려왔어. 아무 보탬도 되지 못한 내가 살아남은 것은.”

 

누군가는 반드시 이 일을 기억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인간이 가진 근성을, 인간이 지은 업을. 죄는 잊혀도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을.

 

“우리는 더 나은 내일을 바라고 하루하루 살아가. 그런 선한 바람 때문에 죄악을 되풀이하는 일이 없도록, 소심한 내가 확실히 기억해야 해.”  (656~65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