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도시대의 어둠

 

  범죄자의 탄생   無宿人別帳 (1958)

  마쓰모토 세이초   이규원 옮김

  북스피어  2015년 11월 16일

 

 

 

 

 

 

 

 

 

 

 

 

 

조금 다르지만 이 책 미야베 미유키가 쓴 에도시대 소설이 생각나게 한다. 책 내용이 아닌 만듦새가. 이 책이 미야베 미유키 에도시대 소설을 많이 낸 북스피어에서 나와서겠다. 미야베 미유키는 자신을 마쓰모토 세이초 첫째딸이라고 말하기도 하는데, 한국 사람인 나는 마쓰모토 세이초 소설을 보고 미야베 미유키 소설을 떠올렸다. 마쓰모토 세이초보다 미야베 미유키를 먼저 알고 책도 더 많이 보았다. 이 책 나왔다는 것을 알았을 때 책소개 자세하게 안 봤다. 책을 보고 이게 에도시대 이야기라는 것을 알았다. 마쓰모토 세이초도 에도시대 소설 썼구나 했다. 역사소설도 썼다고 하는데. 마쓰모토 세이초 소설 지금까지 많이 못 보았다. 마쓰모토 세이초는 전쟁이 끝나고 얼마 안 된 일본을 많이 썼다고 생각한 것 같기도 하다(그건 요코미조 세이시인가). 마쓰모토 세이초가 소설 쓰기 시작한 게 그때가 조금 지난 뒤부턴가보다. 1951년 마흔하나에 역사소설 《사이고사쓰》를 쓰고 소설가가 되었다. 맨 처음 쓴 게 역사소설이라니. 이 말 처음 보는 거 아닐 텐데 잊어버렸나보다. 마쓰모토 세이초는 꽤 오랫동안 글을 썼다. 늦게 시작해서 오래 쓴 건가 싶기도 하다.

 

에도시대 소설은 미야베 미유키가 쓴 걸 많이 보고, 교고쿠 나쓰히코가 쓴 것하고 이름 잊어버린 사람이 쓴 《한시치 체포록》을 보았다. 미야베 미유키가 그리는 에도시대는 따듯하다. 욕심을 내는 사람이 아주 없는 건 아니지만, 서로 의지하고 사는 사람 이야기가 많다. 마쓰모토 세이초는 조금 다르다. 아니 미야베 미유키가 말하지 않은 것을 말한다. 미야베 미유키는 서민을 이야기하고, 마쓰모토 세이초는 서민보다 더 밑에 사람을 이야기한다. 호적이 없는 무숙자다. 미야베 미유키는 마쓰모토 세이초 소설을 보았기에 따듯한 이야기를 썼겠다. 마쓰모토 세이초 이야기에는 환상이 없다. 현실뿐이다. 에도시대에는 자신이 살던 곳을 마음대로 떠날 수 없었다. 떠난다 해도 사찰에서 증명서를 받아야 무숙자가 되지 않았다. 자신이 나고 자란 곳을 떠나야 할 때는 언제일까. 잘못을 저지르거나 농사가 잘 안 돼서 그곳을 떠나야 했을지도. 그런 사람은 에도로 갔다. 에도에 간다고 해도 일자리가 없을지도 모를 텐데. 옛날이나 지금이나 도시에 가면 돈을 벌 수 있다고 생각하는 건 그대로구나.

 

잘못을 저지르고 한번 형무소에 갔다 온 사람은 다시 시작하기 어렵기도 하다. 잘못을 뉘우치고 살아가려는 사람도 있지만, 아무 뉘우침 없는 사람도 있다. 에도시대 무숙자하고는 좀 다를까. 무숙자는 살 곳이나 일자리를 제대로 구하기 어려웠다. 나라에서 무숙자만을 잡아다 금광에 보내기도 하고 잘못을 저지르면 섬으로 보냈다. 운이 좋으면 그곳에서 풀려날 수 있지만, 금광에는 한번 가면 죽을 때까지 일해야 했다. 섬으로 가는 사람은 먹을거리도 자신이 구해야 했다. 다 그런 건 아니지만. 어떤 곳에서는 일을 하면 밥을 주고 돈을 모아주었다. 돈 정말 모으고 있을까 하는 생각을 잠깐 했는데. 그 생활에 만족하는 사람도 있었지만, 자유가 없어서 그곳에서 달아나려는 사람도 있었다. 달아났지만 자신이 생각한 것과 달랐다. 그건 또 왜 그랬을까. 감방에는 아주 많은 사람을 가두었다. 감방 안에서도 힘있는 사람과 힘없는 사람으로 나뉘었다. 힘있는 사람은 사람이 많아서 좁아진 감방을 넓힌다면서 자기 밑에 사람한테 죽일 사람을 고르게 했다. 오캇피키가 무숙자와 사귀는 여자를 손에 넣기 위해 없는 죄를 만들어서 섬으로 유배 보내기도 했다. 그 무숙자가 섬에서 돌아오자, 그때는 무숙자가 일하는 곳마다 찾아다녀서 일을 못하게 만들었다. 그렇게 해도 여자는 오캇피키한테 오지 않았다. 사람 마음은 억지로 얻을 수 없는데.

 

처지가 비슷하면 서로 사정을 잘 아니 돕고 살아야 할 텐데 여기 나오는 무숙자는 그러지 않았다. 섬에서 달아나기로 하고 사람을 모으고는 자신한테 도움이 되는 사람하고만 달아나려고 했다. 나쁜 짓을 한 사람은 무숙자한테 그 죄를 뒤집어 씌웠다. 억울한 건 알겠지만 그렇다고 다른 사람 잘못을 말하고 감방에서 나오다니. 감옥 서기가 잘못해서 섬에 오랫동안 있어야 하는 사람도 있었다. 촌장은 나라에서 하는 일에 잘못이 있을 수 없다 말했다. 나라든 높은 사람이든 다 잘못할 수 있다. 에도시대에는 무숙자를 차별했다. 제대로 조사도 안 하고 누군가 저 사람이 범인이다 하면 감방에 가두고 섬으로 유배 보냈다. 다시 돌아와서 제대로 살려고 해도 무숙자는 일자리를 구하기 어려웠다. 그 사람들은 다시 범죄에 손을 물들였다. 마쓰모토 세이초는 나라가 죄인을 만들었다 말한다.

 

옛날에 있었던 일이지만 이와 비슷한 일은 지금도 일어난다. 한번 잘못한 사람은 다시 잘못을 저지르기도 한다. 그 사람이 잘못을 뉘우치지 않아서일 수도 있지만, 사람들이 그렇게 만들기도 한다. 같은 처지 사람들이 서로를 끌어내리려는 것도. 이 세상에 그런 사람만 있는 건 아니어서 다행이지만. 비슷한 처지에서는 서로 돕고 사는 게 훨씬 좋을 텐데.

 

 

 

 

☆―

 

“긴스케, 너는 무숙자야. 무숙자 놈들이 하는 짓은 가택 침입 강도질, 날치기, 불지르기, 아녀자 희롱 따위로 정해져 있지. 확실한 증인이 있는데도 버티는 거냐.”  (178쪽)

 

 

 

 

 

 

 

처음인데 마지막

 

  시노부 선생님 안녕

  しのぶセンセにサヨナラ 浪花少年探偵団・独立篇 (1996)

  히가시노 게이고   김난주 옮김

  재인  2015년 08월 07일

 

 

 

 

 

 

 

 

 

 

 

 

책을 다 읽고 생각한 건 나도 잘 쓰고 싶다예요. 소설이 끝나고 작가가 하는 말이 있고 다음에는 해설입니다. 해설 보고 그런 생각했습니다. 히가시도 게이고가 예전에는 짧게 글 썼네요. 지금은 소설만 쓰고 다른 건 안 쓰잖아요. 이 책 삼분의 이쯤 보고 난 다음날 새벽 인터넷에서 히가시노 게이고 책 한번 찾아봤습니다. 히가시노 게이고가 쓴 책 찾으려고 한 건 아니고 이 책 제목을 확실히 알기 위해서였어요. ‘시노부 선생님, 안녕!’ 다음 말이 ‘나니와 소년 탐정단 독립편’이 맞는지(해설 보니 쓰여 있더군요. 해설은 나중에 봤지요). 소설가여도 가끔 산문 쓰기도 하잖아요. 아니 쓰는 사람도 있고 안 쓰는 사람도 있겠네요. 히가시노 게이고가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쓴 것 같은 산문이 있더군요(다른 것도 있을지도). 《아마 마지막 인사 たぶん最後の御挨拶》예요. 2007년에 나왔더군요. 한번 보고 싶다는 생각 조금 들었는데, 이런 마음이 든 건 히가시노 게이고 책을 많이 만났기 때문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어쩌다 보니 그렇게 됐네요. ‘나니와 소년 탐정단’도 인터넷에서 본 적 있는데 2015년에 두권 다 나왔네요. 나니와 소년 탐정단인데 중심은 초등학교 선생님인 다케우치 시노부군요. 《오사카(나니와) 소년 탐정단》을 먼저 만나고 이 책을 만났다면 더 나았을 것 같지만, 이렇게 된 거 어쩔 수 없지요.

 

다케우치 시노부는 초등학교 선생님인데 지금은 가르치는 일 쉬고 대학에 다니더군요. 첫째권 마지막에 더 좋은 선생님이 되기 위해 대학에 공부하러 가겠다고 했을 것 같네요. 학교 아니면 교육청 같은 데서 보내주는 거였을지도. 이 책이 나온 건 1990년대예요(첫번째는 1980년대 말일까 했는데 1991년에 나왔네요). 오래전에 나왔다고 말하고 싶어서. 오래전에 나왔지만 읽는 데 문제없습니다. 맨 처음 이야기에서는 지금과 다른 시대구나 하는 걸 느낄 수 있겠네요. 회사에서 하는 일을 컴퓨터로 바꾸기 시작할 때 거든요. 우리나라에도 컴퓨터 배우기 어려운 사람 많았을 것 같네요. 일을 그만두어야 할까 생각한 사람 많았겠지요. 가벼운 듯 보여도 사회문제도 건드렸네요. 히가시노 게이고는 공장에서 일하다 죽은 사람 이야기도 했군요(기계를 이용해 사람을 죽인 거였지만). 시노부는 여성이 사회에 나간 것을 보여주는 게 아닌가 싶네요. 결혼과 일을 생각하는 모습도 보여주고. 시노부를 좋아하는 사람이 둘이나 있다니. 시노부 마음은 경찰인 신도 쪽에 기운 것 같아요. 바로는 아닐지라도 언젠가 좋은 대답을 하겠습니다.

 

나니와 소년 탐정단 아이는 몇이었을까 싶군요. 이번에 나온 건 뎃페이와 이쿠오예요. 둘이 친한가 봅니다. 둘은 초등학교를 마치고 중학생이 되었는데도 시노부를 만납니다. 시노부가 지금 아이들을 가르치지 않아도 선생님이라고 합니다(한번 선생님은 언제까지고 선생님이군요). 이쿠오 엄마는 시노부와 운전면허증을 따려고 운전 연습하다 사건에 휘말리기도 합니다. 범인은 자기 꾀에 자기가 넘어간 꼴이 됐습니다. 욕심을 내면 안 되겠지요. 그걸 알았다면 처음부터 남의 것을 훔치지 않았겠습니다.

 

이 책 배경은 오사카예요. 한번은 시노부가 뎃페이, 이쿠오와 함께 도쿄에 갑니다. 오사카에서 초등학교 다니다 도쿄에 간 아이도 만나기 위해. 시노부는 유타가 쓴 편지를 보고 조금 걱정했는데. 셋이 도쿄에 간 날 유타 동생이 유괴 당했다는 걸 알게 됩니다. 유타 동생이 나쁜 사람한테 끌려간 건 아니고 유타와 유타 누나 그리고 뎃페이와 이쿠오가 꾸민 일이었습니다. 오사카와 도쿄 둘 다 도시겠지만 도쿄가 더 살기 어렵겠지요. 유타 부모는 도쿄로 이사하고는 사이가 나빠지고 헤어지자는 이야기도 했다고 합니다. 아이는 그런 부모 모습 보면 마음이 편하지 않겠지요. 위조 지폐 소동이 일어나고 모르는 사람을 죽였다는 사람도 있습니다. 조금만 보면 알기 어렵지만, 자세히 보면 누군가와 관계가 있기도 하더군요(이건 제가 책을 봤기에 말할 수 있는 거네요). 사람은 다 누군가와 관계를 맺고 사는군요. 그게 늘 좋지만은 않다는 게 아쉽네요. 좋기만 하면 누군가를 미워하지 않을지도 모를 텐데. 마지막에서 시노부는 다시 초등학교 선생님으로 돌아갑니다. 다시 아이들과 잘 지낼 수 있을까 걱정도 하는데 잘 할 것 같습니다.

 

초등학교에 시노부 같은 선생님 있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선생님이지만 친구 같기도 하네요. 중학생이 되고도 뎃페이와 이쿠오는 시노부를 만났잖아요. 나니와 소년 탐정단 독립이면 이제 시노부 만나지 않을까요. 아이는 자라니 무슨 일이 생기면 그때는 스스로 해결할지도. 모든 사람이 홀로서기를 잘 하는 건 아니군요. 시노부가 가진 좋은 점 생각했는데 잊어버렸습니다. 아이 마음을 잘 알려고 애쓰는 거였을지도. 마지막에 그런 모습 잘 보입니다.

 

(오사카 소년 탐정단이라 하지 않고 나니와 소년 탐정단이라고 했네요. 그걸 먼저 봤다면 나니와라 하지 않았을지도. 나니와 아주 틀린 말은 아닙니다. 본래 나니와 소년 탐정단이고 오사카 옛이름이 나니와예요.)

 

 

 

희선

 

 

 

 

☆―

 

“사무직만 그런 건 아니예요. 공장 사람들도 기계에 쫓기느라 즐거움이라고는 거의 못 느끼는 얼굴이었어요. 그렇다는 것도 모르면서 뭐가 합리화인가요? 이러다간 정말로 스트레스 때문에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람이 나올 거예요.”  (77쪽)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6-02-26 15:3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2-27 02:00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