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는 말할 것도 없고
코니 윌리스 지음, 최용준 옮김 / 열린책들 / 2001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언젠가 SF 소설에 나온 것은 현실에서도 할 수 있다고 한 말을 들은 적이 있다.(바로는 아닐 것이다) 하지만 아직 시간 여행을 할 수 있는 기계는 없다. 어딘가에는 이것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는 사람도 있지 않을까 싶다. 기계가 아닌 시간과 공간의 비틀림으로 어느 날 갑자기 자신이 살던 곳과는 아주 다른 먼 옛날로 가는 사람이 나오는 소설도 있다. 그곳에서 어느 정도 지내고 다시 자신이 살던 곳으로 돌아온다. 이것은 사람이 상상한 것이지만 실제로 있을 수 있는 일 아닐까. 그런 일을 경험한 사람은 입을 다물고 있겠지만. 얼마전에 같은 작가가 쓴 《둠즈데이 북》을 읽고, 이 책도 읽어보기로 했다. 《둠즈데이 북》 뒤에는 이 작가 코니 윌리스가 수다쟁이라는 말이 쓰여 있었다. 사실 그때는 그것을 잘 느끼지 못했다. 아마 사람들이 죽어가는 모습을 봤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그런데 이 책 《개는 말할 것도 없고》는 정말 수다스러워서 조금 정신이 없었다. 이 책이 우리나라에 먼저 나왔는데, 이게 더 나중에 쓰인 것이다. 그러니까 《둠즈데이 북》을 먼저 보고 이 책을 보는 게 낫다.

 

언젠가 SF 소설에 나온 것은 현실에서도 할 수 있다고 한 말을 들은 적이 있다.(바로는 아닐 것이다) 하지만 아직 시간 여행을 할 수 있는 기계는 없다. 어딘가에는 이것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는 사람도 있지 않을까 싶다. 기계가 아닌 시간과 공간의 비틀림으로 어느 날 갑자기 자신이 살던 곳과는 아주 다른 먼 옛날로 가는 사람이 나오는 소설도 있다. 그곳에서 어느 정도 지내고 다시 자신이 살던 곳으로 돌아온다. 이것은 사람이 상상한 것이지만 실제로 있을 수 있는 일 아닐까. 그런 일을 경험한 사람은 입을 다물고 있겠지만. 얼마전에 같은 작가가 쓴 《둠즈데이 북》을 읽고, 이 책도 읽어보기로 했다. 《둠즈데이 북》 뒤에는 이 작가 코니 윌리스가 수다쟁이라는 말이 쓰여 있었다. 사실 그때는 그것을 잘 느끼지 못했다. 아마 사람들이 죽어가는 모습을 봤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그런데 이 책 《개는 말할 것도 없고》는 정말 수다스러워서 조금 정신이 없었다. 이 책이 우리나라에 먼저 나왔는데, 이게 더 나중에 쓰인 것이다. 그러니까 《둠즈데이 북》을 먼저 보고 이 책을 보는 게 낫다.

 

시간 여행을 할 수 있는 2057년 영국 옥스퍼드가 지금이다. 어떻게 보면 2013년에서 그리 멀지 않은 때다. 책이 나온 게 1998년이니 이때는 먼 앞날이라 여겼을 것이다. 여기에서 시간 여행은 아무나 할 수 있는 게 아니고 역사학자만이 할 수 있다. 역사학자와 관계있는 사람도 하기는 했다. 누구나 시간 여행을 할 수 있게 되면 역사가 어떻게 될지 알 수 없어서 이런 조건을 만들어 둔 것은 아닐까 싶다. 제2차 세계대전 때 폭격으로 무너진 코번트리 성당을 다시 지으려는 슈라프넬 여사는 역사학자들한테 주교의 새 그루터기라는 것을 찾게 했다. 역사학자 안에 네드 헨리가 있었다. 시간 여행을 많이 하면 시차 증후군이 생기는데, 이 네드가 시차 증후군에 걸려서 더는 시간 여행을 하면 안 되게 되었다. 이때 던워디 교수는 네드한테 19세기 빅토리아 시대에 가서 어떤 일을 한 다음에는 푹 쉬라고 했다. 네드는 슈라프넬 여사를 피해서 1888년으로 간다. 네드가 그곳에 가서 어떤 사람들이 만나지 못하게 되었다. 그 일은 제2차 세계대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게 된다. 먼저 1888년에 갔던 베리티(킨들)는 그곳에서 고양이를 잠깐 2057년에 가지고 갔다. 베리티가 고양이을 2057년에 가지고 간 일 때문에 인과 모순이 일어나지 않을까 해서 네드한테 고양이를 다시 돌려놓게 하려고 했는데 일은 자꾸 꼬여간다.

 

네드와 베리티는 인과 모순을 바로 잡으려고 애쓴다. 슈라프넬 여사의 증증증조 할머니인 토시가 C 아무개 씨를 만나고 결혼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C 아무개 씨가 누군인가 찾으려고 했다. 등잔밑이 어둡다고 C 아무개 씨는 아주 가까운 곳에 있었다. 나는 그 사람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했는데. 추리소설에 대한 이야기도 나오고, 그 안에 있는 말이 답과 같기도 했다. 이런 말도 있다. 시공 연속체는 모순이 생기면 그것을 스스로 고치려고 한다는. 앞날 사람이 역사에 어떤 간섭을 해서 역사가 바뀌려고 할 때 시공 연속체가 그것을 그대로 두지 않는다는 것이다. 시간이 걸린다 해도 본래대로 돌아간다. 일어날 일은 일어나고 만나야 할 사람은 만난다고 할 수 있다. 어떻게 보면 다행스러운 일이지만, 어떻게 보면 정해진대로 된다는 느낌이 들어서 조금 안 좋기도 하다. 이런 말도 있지 않은가. 우리는 어떤 큰 힘이 쓴 시나리오대로 살아가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는. 네드도 베리티와 한 일들이 그런 것은 아니었나 생각하게 된다. 왜냐하면 인과 모순이 일어난 때는 2678년이기 때문이다. 2057년보다 앞날 사람이 어떤 일을 해서 시공 연속체는 그것을 바로잡으려고 한 것이다는.

 

지난번에 <진(仁)>에서는 의사여서 사람들을 살렸다는 말을 썼는데, 여기에도 그런 게 나왔다. 진과 상관없이 그때 살 사람은 살고, 죽을 사람은 죽는다는. 그래서 진은 자신이 왜 그곳에 가게 된 것인가 했다. 진은 역사를 바꾸지는 못했다. 하지만 다른 사람이 이런 말을 했다. 그 시대 사람의 힘으로는 바꿀 수 있지 않느냐는. 그래서 아주 큰 틀은 바뀌지 않았지만 조금 바뀌기도 했다. 어떻게 보면 <진>과 코니 윌리스가 쓴 시간 여행에 대한 생각은 비슷하다. 그렇다 해도 사람은 살아가야 한다. 우리가 어떤 힘에 따라 살아가는 것인지 모른다 해도 말이다. 이렇게 생각하면 그렇게 기분은 좋지 않지만, 지금이 바로 자신한테도 지금이라 여기고 잘 살아가면 좋지 않을까. 이렇게 쓰기만 하고 나는 그러지 않는구나. 그래도 삶은 자신이 만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어떤 큰 힘이 있다 해도 거기에서 벗어나려 하면 벗어날 수 있지 않을까. 그게 아주 조금이라 할지라도.

 

책을 읽는 동안은 그렇게 무겁게 생각하지 않았는데. 시간 여행을 해서 옛날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나를 볼 수 있다면 재미있을 것 같지만 역사가 바뀌는 것은 좀 생각해봐야 할 일이다. 잘못하면 자신이 사라질 수도 있으니까 말이다. 하지만 정말 책 속에 나온 것처럼 시공 연속체가 잘못된 일을 바로잡으려고 할지도 모르겠다.

 

 

 

어느 밤 꿈속에서 당신을 보았습니다

아, 바로 이 사람이구나 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너무 멀리 떨어져있습니다

당신과 내 앞에 놓여있는 오랜 시간

그래도 반가워요

언젠가 다른 세상에서 만날 때까지

잘 자요

 

 

 

희선

 

 

 

 

☆―

 

우리는 그런 훌륭한 탐정팀의 반도 따라가지 못했다. 우리는 사건을 풀지 못했다. 사건은 우리와 상관없이 해결되었다. 더 심각한 점은, 우리는 방해물이었으며 역사가 스스로를 바로잡는 과정을 오히려 가로막는 노릇을 했다는 사실이다. 우주는 이런 식으로. 무너져 버리는 대신 애인 둘이 도망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지었다.  (64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