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둘라 - 용기와 공감을 가르쳐 준 코끼리
윌리엄 그릴 지음, 이정희 옮김, 심아정 해설 / 찰리북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래전 육천오백만년 전이던가, 이제 백년 더해서 육천육백만년 전이던가. 그때 공룡은 사라졌다. 지구를 지배했던 공룡이구나. 공룡은 커다란 몸집이니 작은 동물이 당해내기 어려웠겠다. 그때 작은 동물 있었던가. 아주 없지는 않았겠지. 지금 지구에서 가장 커다란 동물은 코끼리겠다. 더 오래전엔 코끼리와 비슷하지만 더 큰 맘모스가 있었다는 말이 있기도 하다. 이젠 하나도 없구나. 코끼리는 백년 전만 해도 1000만 마리가 있었는데 지금은 50만 마리가 남았다. 거기에서 아시아코끼리는 아프리카코끼리보다 더 적단다. 백년 사이에 엄청나게 죽어들다니. 그건 다 사람 때문이겠다. 나무를 베어서 코끼리가 살 곳이 없을 테니 말이다. 코끼리만 사라진 게 아니고 다른 동물이나 곤충도 많이 사라졌겠다.


 이 책 《반둘라》는 미얀마 정글에서 일하던 코끼리 이야기다. 미얀마에는 135개 민족이 함께 살고 1824년부터 1948년까지 영국 지배를 받았다. 영국은 여러 나라를 식민지로 삼았구나. 그런 곳에서 사람뿐 아니라 이런저런 자원을 팔고 많은 돈을 벌었다. 미얀마에서도 그랬다. 석유 천연가스 옥 루비 주석 그리고 나무. 영국은 미얀마에서 밤색 하드우드티크를 아주아주 많이 베고 다른 나라에 수출했다. 커다란 나무는 누가 옮겼을까. 그건 코끼리가 했다. 사람은 동물한테 일을 시켰다. 코끼리는 1000년 전부터 일을 하게 했단다. 지금 생각하니 이런 거 잘 몰랐다. 어느 나라에선가는 코끼리를 타고 다니는데. 그리고 서커스단에서도 코끼리한테 일을 시켰구나.


 동물도 사람처럼 감정이 있다. 코끼리는 더 그런 듯하다. 코끼리와 우정을 나누는 이야기도 있지 않나. 예전에 그런 이야기 봤는데. 그 코끼리는 서커스단에 있었다. 반둘라는 미얀마에서 티크 목재 사업을 하는 봄베이 무역 회사에서 일했다. 하고 싶지 않아도 해야 했구나. 사람은 어린 코끼리를 잡아다 우리에 가두고 오래 굶긴 다음에 사람 말을 듣게 한단다. 이제는 그런 걸 못하게 한다는데 아주 사라지지 않았다. 반둘라는 코끼리를 훈련시키는 일을 하는 우지 포 토케와 어릴 때 만나고 친하게 지냈다. 봄베이 무역 회사에서 티크 나무를 베고 나르는 감독으로 코끼리도 관리하는 제임스 하워드 윌리엄스는 반둘라를 보고 코끼리를 생각했다. 윌리엄은 포 토케와 코끼리를 훈련하는 학교와 코끼리 병원을 만들었다.


 전쟁이 또 일어났다. 제2차 세계전쟁이다. 전쟁 때 윌리엄은 코끼리 부대를 만들고 영국군을 돕는다. 일본군이 미얀마에 쳐들어오자 영국군은 그곳을 떠나야 했다. 윌리엄은 자신들이 떠나면 함께 있던 사람과 코끼리가 위험해진다는 걸 알고 함께 떠나기로 한다. 그 길은 쉽지 않았지만, 반둘라가 맨 앞에서 코끼리들을 이끌었다. 윌리엄과 코끼리 그리고 사람들은 3주 뒤에 목적지에 닿았다. 윌리엄은 코끼리가 자유롭게 살기를 바랐는데, 코끼리는 다시 전쟁에 나가게 된다. 전쟁 때 코끼리는 물자를 옮기거나 다리를 짓는 일을 했다. 사람 싸움에 코끼리가 그런 일을 했다니. 코끼리뿐 아니라 다른 동물도 전쟁 때 힘들었겠다. 말이나 소도 농사일을 했구나.


 반둘라는 엄니가 커다란 수컷 인도코끼리다. 윌리엄이 말라리아에 걸렸을 때 반둘라는 윌리엄을 살리려고 먼 길을 가기도 했다. 그런 반둘라는 밀렵꾼한테 죽임 당했다. 그동안 일한 것도 힘들었을 텐데 그렇게 죽다니. 지금도 코끼리를 잡는 사람이 있다고 한다. 그건 오래전에 없어졌을 것 같은데. 코끼리가 사라진 건 상아 때문이기도 하다. 코끼리를 살리려고 플라스틱을 만들었다고도 하는데. 플라스틱은 지구를 죽이는 게 됐구나. 미얀마 정글은 많이 사라졌단다. 어디 거기뿐이겠나. 아프리카 아마존 여기저기 숲이 많이 사라졌다. 사람은 언제쯤 멈출까. 숲과 다른 생물이 사라지면 사람도 살기 어렵다. 그걸 모르는 건 아니겠지. 지구에 사는 생물은 다 중요하다. 함께 살아야 한다.




희선





☆―


 언젠가 윌리엄은 미얀마에서 보낸 시간을 되돌아보며 말했어요. “저는 사람이 만물의 영장이 아닌 걸 알아요. 사람은 그저 다른 생명체와 조화를 이루며 살아야 하는 자연의 한 부분입니다. 그걸 깨달으면서 저는 행복해졌습니다. 모든 동물과 식물에는 사랑이 깃들어 있습니다. 단지 사람이 그걸 알려고 애쓰지 않는 것뿐이죠.”  (71쪽)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시우행 2023-10-25 05:0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맞아요. 본디 지구의 주인은 먼저 시작한 생명체일텐데, 포악한 인간은 나중에 태어났음에도 자신들이 마치 주인인 양 다른 생물체(동식물 모두)를 가벼이 여기고 쉽게 죽이지요. 함께 살아가는 고귀한 생명임을 하루빨리 자각해야 합니다. 희선님의 감정을 느낄 수 있었어요.

희선 2023-10-26 02:32   좋아요 0 | URL
다른 생명체가 있어서 인류도 나타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사람만 대단하다 여기면 안 될 텐데, 사람은 지구 주인이 자신이다 여기는군요 모든 생명체가 함께 살아야 하는 지구죠 식물 동물 마음대로 죽이다니... 죽이는 것뿐 아니라 살 곳을 빼앗기도 하네요


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