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직 한 사람의 차지
김금희 지음 / 문학동네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새 책으로는 세번째로 만납니다. 김금희는 제가 안 것보다 일찍 소설가가 됐는데 저는 ‘2016년 제6회 젊은작가상 작품집’으로 알았습니다. 그때는 우수상이고 다음 제7회에는 대상을 받고 그 뒤에 바로 단편소설집이 나와서 더 기억에 남았습니다. 아는 것과 소설을 읽는 건 다릅니다. 두번째 만난 장편소설 《경애의 마음》은 그런대로 만났는데, 첫번째로 만난 소설집은 조금 힘들었습니다. 그런데도 이번에 또 만났습니다. 책 두권 만났으니 이제는 좀 괜찮을까 했지요. 한사람 소설을 여러 권 본다고 잘 아는 건 아니군요. 이번에도 힘들었습니다. 왜 저는 김금희 소설이 힘들까요, 뭐가 저를 힘들게 하는 걸까요. 모르겠어요. 김금희는 말을 잘할까요. 갑자기 이런 말을. 그러고 보니 예전에 라디오 방송에 나왔을 때 들었군요. 이번 책 나왔을 때는 나오지 않았습니다. 라디오 방송 겨우 두번 듣고 그 사람이 말을 잘하는지 어떻게 알 수 있겠어요. 그래도 저보다는 잘하겠습니다. 사람을 만나고 라디오 방송에 나오기도 했으니.

 

 여기 실린 소설을 보다보니 김금희가 말을 잘할 것 같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글과 말하는 게 같지는 않겠지만. 요즘은 말 잘하는 사람이 글도 잘 쓴다고 하니. 이런 말을 하다니. 제목과 소설 어떤 상관이 있을까 생각하면서 한편 한편 봤는데 이것도 잘 모르겠더군요. 제목이 꼭 이야기를 다 나타내지 않기도 하겠지요. 저도 제목과 글이 따로 놀 때 있습니다. 저랑 소설 쓰는 사람은 다르지만. 첫번째 소설 <체스의 모든 것>은 현대문학상 받기도 했군요. 영지와 노아 선배 그리고 국화. 영지 이름은 몇번 안 나왔지만, 거의 영지가 노아 선배와 국화를 바라보는 거예요. 여기에서 체스는 뭘까요. 노아 선배와 국화 두 사람이 체스를 하고 영지는 보기만 해요. 그때 자신은 두 사람과 떨어진 듯 느껴요. 영지는 노아 선배를 조금 좋아하고 노아 선배는 국화를 좋아하는 건가. 겨우 그 정도만 느꼈습니다. 좋아한다 해도 무슨 일이 일어나지는 않아요.

 

 두번째 소설 <사장은 모자를 쓰고 온다>도 누군가를 좋아하는 거네요. 카페 사장이 카페에서 일하는 은수를 좋아하는 걸 알게 된 ‘나’는 가끔 사장한테 은수 이야기를 해요. ‘나’가 은수 이야기를 하면 사장은 ‘나’한테 다음날 늦게 나와도 된다고 합니다. 누군가를 다른 사람한테 말하다 보면 자신도 관심 갖기도 하겠지요. ‘나’도 사장한테 은수 이야기를 하다 은수한테 마음이 조금 기울었을지도. 그렇다고 어떻게 할 마음은 없는. 누군가를 생각하는 이야기가 이어졌군요. 이렇게 읽어도 될지. 아닐지도 모를 텐데. <오직 한 사람의 차지>는 이 소설집 제목이기도 하네요. 1인 출판사를 하다가 접은 ‘나’는 스웨덴에서 왔다는 낸내라는 사람이 자기 출판사에서 낸 책을 바꿔달라는 전자편지를 받고 만나요. 낸내는 정말 스웨덴에서 온 교환학생이 아니었던 걸까요. 저는 그런 거짓말 못할 것 같아서. 낸내가 그렇게 했다고 해서 피해를 입은 사람은 없었어요. 왜 그런 말을 했을까 싶어서. ‘나’는 출판사가 잘 안 돼서 그만두고 아내도 교수가 되려 했는데 안 됐어요. 아내 기는 ‘나’가 자기 아버지한테 빌린 돈을 닭갈비로 계산했어요. 아버지가 닭갈비를 팔아서. 이런 모습 보니 어딘가에 있을 것 같은 생각이 들기도 했어요. 한국 소설이니 이런 생각할 수 있겠지요. 지금 한국 사람은 거의 힘들게 살겠습니다.

 

 소설 쓰는 사람은 자기 얘기뿐 아니라 소설로 쓸 만한 걸 늘 생각하겠지요. <레이디>에는 중학교 3학년 아이 정아와 유나가 나오는데, 지금 중학교 3학년이 아니고 김금희가 중학교 3학년이었을 때인 듯해요. 정아는 유나와 친하게 지내고 바닷가로 놀러갔을 때는 더 가까워지려 했는데, 정아가 어른들한테 유나는 노래를 잘한다고 말해서 두 사람 사이는 멀어져요. 그전에 정아는 공부 잘한다는 말을 들었어요. 큰일은 아닌 걸로 멀어졌네요. 정아와 유나는 바로 옆집에 살았는데 그 여름이 지나고는 한번도 만나지 않았어요. 그럴 수도 있군요. <문상>은 ‘2018년 제8회 젊은작가상 작품집’에서 먼저 만났습니다. 송은 희극배우 아버지 장례식에 가서 자기 할머니 장례식을 떠올렸어요. 할머니를 누구 집에서 맡을지 아버지 형제가 얘기한 날 할머니는 스스로 목숨을 끊었습니다. 송 아버지와 살기로 했던가. 희극배우 아버지는 형들이 치매 판정을 받고 나라에서 보조금을 받으려 했다고 합니다. 이런 이야기만 나오지 않지만 조금 슬프네요. 자식이 부모를 짐처럼 여기다니. 이런 거 보면 전 부모는 부모고 자식은 자식이다는 생각밖에 들지 않습니다. 희극배우는 송이 사귄 양 이야기도 했군요. 양은 농담으로 다른 나라에 이민가고 싶다고 했는데 그걸 그대로 믿다니. 그래도 송이 한해 만에 양과 전화하고는 마음이 조금 나아진 듯 했어요.

 

 다음 소설 <새 보러 간다>는 좀 더 빨리 만날 수 있었는데 이제야 만났네요. 출판사 편집자 김수정과 블로그에 미술 이야기를 쓰는 윤. 실제 윤 같은 사람 있을 것 같아요. 블로그에 글을 쓰다 책 내는 사람. 그런 사람은 잘된 사람이지만 윤은 소설에 나와선지 몰라도 그렇게 잘되는 것 같지는 않았습니다. 우리가 알게 되는 사람은 잘된 사람뿐이겠습니다. 책을 내려다 못 낸 사람은 아예 모르겠지요. <모리와 무라>는 잠깐 나오는 개 이름이에요(모리森는 숲이고 무라村는 마을). ‘나’는 온천 여관에서 숙부가 잠꼬대 하는 걸 듣고 어딘가로 머리를 조아린 모습을 보았어요. 숙부는 호텔에서 일해서 단정했던 것 같아요. 숙부는 오래전에 일하던 잡화점에서 사촌이 시계를 훔쳤을 때 시계 훔친 일을 적은 팻말을 목에 걸고 사흘 동안 일하게 했어요. 그 사촌은 스스로 목숨을 끊었어요. 그 일은 숙부가 죄책감을 갖게 했겠습니다. 그래도 숙부는 오래 살았대요. 무언가를 참아내고. 많은 사람이 그러겠습니다.

 

 마지막 소설 <쇼퍼, 미스터리, 픽션>도 어쩌면 어떻게든 사는 이야길지도 모르겠습니다. 살면서 겪는 힘든 일이나 싫은 일 부끄러운 일을 견디고 자신으로. <체스의 모든 것>에서도 그랬던 듯해요. 국화는 부끄러움을 이기는 사람이 되고 싶다고 했어요. 그렇게 어둡지 않으면서도 그늘진 소설이네요. 그런 게 저를 힘들게 했을까요. 그래도 살아갑니다.

 

 

 

희선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20-07-25 18:0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가끔 그런 책이 있긴하죠.
남들은 좋다는데 나는 좀 모르겠는...
그럴 땐 전 나와 인연이 없으려니 합니다.
그래도 희선님은 작품 하나 하나에 대한 리뷰를 꼼꼼히 했네요.
대단합니다. 그런데 그런 책도 몇년 뒤에 읽으면 새로운 느낌으로
다가 오기도 해요. 그래서 책은 생명력이 있다고 하는가 봅니다.
이 책도 몇년 뒤 희선님께 새로운 의미로 다가 올지도 몰라요.
아니면 말구.ㅋㅋ

희선 2020-07-26 01:00   좋아요 1 | URL
책을 보고 꼭 써야 하는 건 아니지만, 여전히 보면 써야 한다는 마음이 있어서 보면서 이건 대체 어떻게 쓰지 할 때가 많아요 거기에서 가장 어려운 게 김금희 소설 같기도 합니다 다른 사람은 잘 보는 듯한데, 저는 잘 못 보는군요 저는 그런 일 많아요 시간이 지나고 보면 다른 게 보이기도 하겠지요 그런 일이 아주 없지 않기는 하더군요 어떤 건 처음 볼 때는 아무것도 모르고 봐서 따라가기 바쁜데 다시 보니 다른 것도 생각하더군요 쓰는 거 생각하기보다 먼저 잘 보려고 해야 할 텐데...


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