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Berlin
한 나라의 수도는 그 나라를 대변한다.
그런데 베를린은 특이하다.
독일의 수도이지만, 독일의 여느 도시와 다르다.
동서독이 분단된 냉전 시절의 아픔을 치유하면서
베를린만의 특별한 컬러를 입혔다.
예술가들의 예술혼으로 다시 태어난 이 도시는
단연 독일 동부 여행의 중심이다. - P224

뤼베크Lübeck
중세 독일의 부유한 도시들은 연합을 맺고
황제도 부럽지 않은 권력을 가졌다.
한자동맹으로 맺어진 이 강력한 연합체는
수백 년간 유럽의 해상권을 쥐락펴락했다.
그 중심에 뤼베크가 있다. - P236

한자동맹의 여왕,
레전드가 되다!
중세 국가의 권력자는 황제 또는 왕이었다. 신성로마제국에서도 황제가 있었고, 지방마다 실질적인 권력을 가진 영주 또는 제후가 있었다. 봉건주의 사회에서 이러한 권력은 선택받은 가문에서 폐쇄적으로 대물림되고 민중의 자유를 제한하는 것이 일반적인 특징이다. 그런데 봉건사회인중세 독일에서 나타났던 특이한 별종 집단이 있었으니, 그것이 바로 14세기경부터 크게 융성한 한자 리그Hanseatic League, 즉 한자동맹이다. - P237

브레멘Bremen
브레멘은 동화 같은 풍경을 가진 도시다.
<브레멘 음악대> 동화의 배경이 된 이곳은
지금도 동화 같은 분위기를 유지한 채
번영하던 중세의 모습을 한껏 자랑한다.
시민들의 지혜로 수호성자를 지켜낸 - P242

수호성자를 지켜낸 역설의 미학
브레멘 도심 곳곳에는 그림 형제의 동화 <브레멘 음악대Dic BremerStadtmusikanten>의 네 주인공이 가득하다. 주인에게 버림받은 늙은 당나귀,
개, 고양이, 닭이 유랑 악단을 만들어 브레멘을 향해 가다 도둑이 사는 집을 발견하고는 네 마리의 동물이 올라타고 소리를 질러 도둑을 퇴치하고는 그 집에서 행복하게 잘 살았다는 이야기이다.

그런데 잠깐! 이야기를 자세히 뜯어보자. <브레멘 음악대>의 네 주인공은 브레멘을 향해 길을 떠나다가 도중에 자신들이 살 곳을 구해 행복하게 살았다고 마무리된다. 즉, 그들은 브레멘에 도착하지 않은 것이다. - P243

그렇다면 생각해 보자. 주인공들이 브레멘에 도착할 것도 아니었으면서 왜 <브레멘 음악대>라고 했을까? 어차피 부자 도시로 가는 도중 어딘가에서 행복하게 사는 것으로 마무리할 예정이었다면 <베를린 음악대> <함부르크 음악대> <뮌헨 음악대>도 가능한 것 아닌가. 그림 형제를 붙들고 물어보지는 못했으니 이것은 어디까지나 내 추측이지만, 그 당시 브레멘이워낙 부유하고 발전된 도시였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가난한 이들의 이상향으로 설정된 것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 P244

슈베린Schwerin
독일이라는 국가가 탄생하기 직전
1800년대 초중반은 독일이 가장 뜨거운 시기였다.
앞선 시대의 성취에서 영감을 얻은 새로운 성취가
독일 전역에 퍼졌다. 이것을 역사주의라 부른다.
독일이 작정하고 멋을 부려 만든 슈베린은
독일 역사주의의 메카다. - P250

볼프스부르크Wolfsburg
자동차를 향한 독일인의 애정은 상상을 초월한다.
판매자와 구매자 모두 자동차에 진심이다.
비록 나치의 주도로 ‘국민차‘가 시작되었지만,
나치를 청산하자 진짜 ‘국민차‘가 찾아왔다
독일 자동차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마나는
이곳은 자동차의 도시‘다. - P256

첼레Celle
독일의 동화 같은 마을을 완성하는 것은아기자기한 목조 주택이 어울려 만든 골목 풍경이다.
지어진 시기에 따라 색도 모양도 제각각인 건물들이
한데 어울려 동화 속 마을 같은 풍경이 된다.
나무로 만든 하프팀버 주택이 골목을 가득 채운 첼레.
이곳은 지금도 현지인들의 삶의 터전인
실재하는 동화 속 마을이다. - P264

독일은 ‘동화 같은 풍경을 보러 가기에 좋다. 이 분야에 있어서는 세계에서 따라올 경쟁자가 없다고 생각한다. ‘숲의 민족‘이라 불린 게르만족은쉽게 나무를 구해 뚝딱 건물을 만들어냈고 건물 하나하나가 모여 골목이되고, 동네가 되고, 도시가 되었다. 나무로 건물의 골격을 만들고 나머지는 흙 등으로 채우는 이러한 건축양식을 반목조 건축, 하프팀버Half-Timber라고 부른다. - P265

고슬라르Goslar
독일의 정체성을 말하는 도시는 어디일까?
베를린이나 뮌헨 같은 대도시를 떠올릴 수 있겠지만,
오랜 역사 속 진짜 독일은 다른 곳에 있다.
‘북방의 로마‘로 불리는 고슬라르!
화려했던 과거의 추억을 고스란히 간직한 이 도시가
우리가 만나고 싶은 진짜 독일 마을이다. - P272

힐데스하임Hildesheim
두 차례의 세계대전으로 폐허가 된 독일,
슬픔을 딛고 다시 일어난 도시는 많지만,
힐데스하임의 재건 스토리는 아주 특별하다.
시민들은 잿더미 속에 꽃핀 장미의 위로를 받으며
천년 전 영화로운 도시의 모습으로 재건했다.
‘장미 루트‘ 따라가며 만나는 도시의 풍경은
이처럼 특별한 스토리가 더해져 감동을 준다. - P280

괴팅엔Göttingen
괴팅엔은 ‘키스의 자유‘가 있는 도시다.
학생들은 거위 소녀 리젤과 키스하며
젊음의 에너지를 분출하고 추억을 만든다.
한때 괴테도 거닐던 대학의 교정과
그림 형제의 동화 속 배경이 된 도시에는젊음의 낭만과 열정이 유쾌한 기운을 선사한다. - P288

그림 형제가 독일에 남긴 족적은 실로 어마어마하다. 그들은 단순히동화집을 펴낸 작가가 아니다. 그림 형제는 독일에 전래하는 민담을 토대로 지역의 방언을 연구하고 언어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언어학자였다. 현대 독일어의 문법을 정리한 사람이 마르틴 루터라면, 현대 독일어의 체계를 확립한 이들은 그림 형제다! - P289

그래서 그림 형제와 연고가 있는 독일의 도시는 크고 작은 기념물을세워 오늘날까지 그들을 기리고 있다. 동화 <브레멘 음악대>의 배경이 된도시 브레멘이 대표적인 케이스다. 그리고 그림 형제가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머물렀던 도시 괴팅엔도 그중 하나다. - P289

함부르크Hamburg
북부 독일 특유의 멋이 극대화된
독일 제2의 도시 함부르크.
중세부터 번영을 누렸던 이 도시에는
하늘을 찌르는 첨탑이 도열해 있다.
항구를 오가던 뱃사람들의 이정표였던 첨탑은
지금도 함부르크 여행자들의 길잡이다. - P296

지금도 이정표가 되어주는
그 옛날의 첨탑
함부르크는 브레멘과 함께 독일에 둘뿐인 자유도시다. 수도 베를린에이어 두 번째로 큰 도시이기도 하다. 일찍이 무역항이 발달하여 수많은 상인과 뱃사람들이 모여들었으며, 막대한 부를 통해 일군 번영은 전쟁을 거친 뒤에도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오늘날에도 상공업과 무역의 성행으로사람과 자본이 몰리는 대도시지만, 독일의 도시 대부분이 그러하듯 중세부터 이어져 온 구시가지가 남아 있다. - P29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