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만은 무슨 짓을 저지를지 모르는 ‘또라이’라는 인상을 줌으로써(이승만의 입장에서는 잘 계산된 미친 짓이었다) 미군이 작전지휘권을 한국에 돌려주고 떠날 수 없도록 했다.
이승만이 정전협정에 서명하지 않고 작전지휘권을 환수하지 않은 것은 개인의 정권 유지에는 유리한 것이었는지 몰라도 남북 관계와 한미 관계에는 두고두고 큰 부담으로 작용했다. 특히 남북 관계에서 이북은 "어른들 얘기하는 데 애들은 끼어들지 말라"는 투로 대미 직접 교섭을 추구했다.
채명신 장군은 생전에 필자에게 월남전은 승리할 수 없는 전쟁이었기에 파병 자체를 반대했지만 박정희가 자신을 굳이 사령관에 임명했고, 일단 파병되자 미군에 예속되어 함께 진흙탕에 빠질 수는 없었기에 한국군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작전지휘권만은 독자적으로 행사하기로 마음먹고 이를 관철시켰다고 말했다.
여기가 네버랜드인가. 어른이 되기를 거부하는 자들이 어떻게 전 국민의 생명과 재산에 대한 보호를 책임진단 말인가. 한국 안보가 불안하다면 그 진짜 이유는 무책임하고 무능력한 자들이 자기들만이 안보를 책임질 수 있다고 믿으며 이를 독점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재인은 개인의 인격적 고매함으로 많은 부분을 메울 수 있지만, 이른바 친노 그룹의 다른 정치인들은 그런 자산을 갖고 있지 않다. 지금 그들에게 노무현 대통령이 서거했을 당시 "우리는 폐족"이라던 절절함이 얼마나 남아 있는가? 사실 노무현 대통령이 그렇게 스스로 정치적 존엄사를 택하지 않았다면, 지금 친노 정치인 중 금배지 달고 있을 사람이 누가 있었겠는가?
야당성 회복은 민주주의 계승의 역사성, 민주주의를 위해 절실하게 싸우는 실천성, 그리고 일하는 사람들의 꿈을 담아내는 진보성의 강화에서 찾아야 한다.
《삼국지》에서 유비가 조조에게 패하여 먼 친척인 유표에게 얹혀 지낼 때의 일이다. 융숭한 대접을 받으며 놀고먹던 유비가 어느 날 뒷간에 가서 보니 허벅지에 몰라보게 살이 쪘다. 늘 전쟁터에서 말을 타고 다니느라 허벅지에 살이 붙을 겨를이 없었는데 편안하게 세월만 죽이다 보니 살이 오른 것이다. 유비의 탄식을 비육지탄(髀肉之嘆)이라 한다. 싸움의 근육을 잃어버린 것에 대한 탄식이다
유비가 천리마를 얻은 곳이 하필이면 신야(新野)다. 지금 우리 입장에서는 새로운 야당이라고 해석할 수도 있겠다. 민주주의 시대에 정치인들에게 천리마는 시민이다. 지금 자기 등에 말안장 얹어주길 바라는 시민, 제대로 된 정치인에게 기꺼이 자기 등을 허락할 시민은 한국 역사상 그 어느 때보다도 많다.
역사의 기회는 생각보다 자주 온다. 싸움의 의지를 다지고 싸움의 근육을 회복할지어다. 신야를 달리는 천리마의 울음소리가 듣고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