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저는 이 안티바이러스에 〈과학은 신보다 위대하다〉라는 이름을 붙였어요. 전 세계 인터넷을 교란한 〈신은 과학보다 위대하다〉 바이러스를 무력화시키겠다는 의도를 담았죠.」

성공했어요! 〈신은 과학보다 위대하다〉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안티바이러스가 인터넷에 성공적으로 깔렸어요.

「한마디로 통신이 가능해진 대신 우리의 기억은 모두 소실됐다는 거죠?」
「죄송해요.」 제시카 넬슨이 겸연쩍은 미소를 짓는다. 「하지만 인터넷 복구를 위해 치러야 하는 대가였어요.」

옛날에 먼저 이 대륙에 살았던 원주민들에게도 특별한 방식의 회합이 있었지. 파우와우라고 불렸어. 모두 모여 앉아서 각자의 의견을 개진한 다음 투표를 했지. 다수의 의견이 집단 전체의 생각을 대변한다고 여긴 거야.

제 친구들을 지켜 주소서 적들은 제가 맡을 테니

〈지금이 최악이라 생각하겠지만, 아직 최악은 오지 않은 것일 수도 있어.〉

〈남들보다 앞서 바른 판단을 내리는 게 꼭 좋은 건 아니란다. 그릇된 판단만 못할 때도 있어. 사람들이 네가 관습을 벗어났다고 비난부터 하거든. 그러다가 나중에는 왜 자신들을 설득하지 않았냐고 또다시 너를 비난하지.〉

〈살면서 난관에 맞닥뜨렸을 때 취할 수 있는 태도는 세 가지란다. 첫째, 맞서 싸우거나, 둘째, 아무것도 하지 않거나, 셋째, 도망치거나.〉

「이 위험한 임무에 자원할 고양이 있어요?」 「저요.」

실수를 깨닫는 순간 사람들은 흔히 속도를 줄이거나 브레이크를 밟거나 아예 유턴을 하는 선택을 한다. 그것이 악수(惡手)인지도 모르는 채 말이다. 실수를 저질렀을 때는 끝까지 가봐야 그것이 진짜 실수였음을 통렬히 깨달을 수 있다.

〈실수하는 것은 인간적이지만 실수를 고집하는 것은 악마적이다Errare humanum est, perseverare autem diabolicum〉라는 라틴어 격언이 있다.

〈누군가에게 쫓길 때 중요한 건 추격자보다 빨리 뛰는 게 아니야. 추격자가 너 대신 집중할 수 있는 다른 도망자보다 빨리 뛰는 게 중요한 거지.〉

〈상황이 너한테 유리하게 돌아가지 않으면 일부러 그렇게 만든 것처럼, 그것이 너의 어떤 비밀스러운 계획의 일환인 것처럼 상대가 믿게 만들어야 해.〉

첫째, 최대한 많은 유대인을 기독교로 개종시킨다. 둘째, (할례를 행하지 않은) 비유대인들 또한 개종시킨다. 셋째, 기독교식 예배를 드릴 수 있는 교회를 세운다.

〈네가 가진 걸 남에게 줄 수 있어야 그게 진짜 네 것이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