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평도 리콜이 되나요? - 우리가 영화를 애정하는 방법들
김도훈 외 지음 / 푸른숲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를 좋아하는가? 아마 가장 편리하게, 쉽게 빠질 수 있는 취미가 독서와 영화 감상일 것 같다. 그래서 취미를 적어야 할 때면 가장 흔히 등장하는 것이 독서와 영화 감상이다. 가성비가 좋고, 그래도 있어보이는(?) 취미 아닐까. 나 역시 전에는 영화 감상과 독서를 취미로 들었는데 이제는 음악 감상과 독서를 취미로 이야기해야 할 것 같다. 물론, '그나마'라는 전제 조건이 붙어야 하긴 하지만.

나는 전에 다른 글에서 언급했다시피 애(매모)호가로 평생 살아 왔기 때문에, 누군가가 무언가에 푹 빠져 허우적대다시피 좋아하는 모습을 보면 신기하고 관심이 간다. 아마 이 책을 주저 없이 집어들게 된 것도 그러한 호기심에서 기인했으리라. 영화를 너무 좋아해서 그것을 실컷 보는 직업을 가지다니. 물론 나도 글을 쓰고 그 대가를 받지만, 글을 진심으로 사랑하는지는 확신하기 어렵다. 사랑보다는 두려움의 대상에 더 가까운 것 같기도 하고?


내가 영화를 즐기지 않게 된 데에는 아무래도 정신적인 피로도 무시할 수 없는 일부분인 것 같다. 올해 신문을 읽다가-사실상 신문 읽기도 취미로 보기 어렵다. 굉장히 간헐적이기 때문에- 영화 <69세>를 소개하는 기사를 보고서야 왜 내가 어떠한 영화를 볼 때 정신적인 피로감을 느꼈는지 깨달을 수 있었다. 피해자들의 피해를 굳이, 길고 지난하게, 속이 불편할 정도로, 겪어본 적 없는 나까지 괴롭도록, 전시했기 때문이었다. 위 사진에서처럼, 19금 제한을 걸어두었다고 모든 것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건 아니다.

특히 범죄를 소재로 삼을 때는 반드시 피해자를 보호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지나치게 자극적으로 다루지 않도록. 그런 면에서 나는 무의식중에 한국 범죄 영화를 기피해왔던 것 같다. 여성 혐오 범죄가 만연한 사회에서, 남성 감독의 시선으로 그려지는 피해자들의 모습은 너무 자극적이고 남 같지가 않았다. 내 친구 같고, 내 언니 같고, 내 동생 같아서 보기가 괴로웠다. 완전히 창작된 것이 아니고 실화 기반일 경우 마땅히 괴로울 수밖에 없다는 불멸의 전제는 차치하고서라도, 조금 더 나은 방향은 찾아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런 생각으로 읽어 내려가면서도 이 글은 정말 영화를 사랑하니까 할 수 있는 쓴소리구나, 생각했다. 영화를 좋아하며 글을 쓰던 사람들이라 그런지 요 근래 읽은 에세이 중 가장 재밌게 읽었다. 역시, 누군가의 세계관을 들여다보는 일은 대체로 즐겁다.

본 포스팅은 리뷰어스 클럽을 통해 출판사로부터 도서만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에세이 #영화에세이 #영화평도리콜이되나요 #푸른숲 #김도훈 #김미연 #배순탁 #이화정 #주성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화평도 리콜이 되나요? - 우리가 영화를 애정하는 방법들
김도훈 외 지음 / 푸른숲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 근래 읽은 에세이 중 가장 재밌게 읽었다. 역시, 누군가의 세계관을 들여다보는 일은 대체로 즐겁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화 속 뉴욕 산책 - 뉴욕을 배경으로 한 46편의 명화, 그 영화 속 명소를 걷다
정윤주 지음 / hummingbird(허밍버드)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뉴욕, 한 번도 가본 적 없지만 왠지 로망이 가득한 도시다. 이름을 듣는 것만으로도 시크한 뉴요커들이 바쁘게 지나가는, 번화하고 예쁜 길거리에 서 있는 느낌이랄까. 예전에 아주 잠깐 시나리오 작가를 거쳐 영화 감독의 꿈을 꾸었을 때에 뉴욕 필름아카데미에 가고 싶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는데, 그래서인지 나에게 뉴욕이라는 도시는 더 아름답고 반짝이는 꿈의 도시가 되었다.

이 책에서는 총 46편의 영화 이야기를 하고 있고, 그 영화에서 배경으로 활용된(?) 뉴욕 곳곳을 소개하고 있다. 5년 간 유학생활을 한 저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영화를 곁들인 여행 안내서라고 보면 쉬울 것 같다.



그냥 예쁘네, 하고 말았던 영화의 장소들이 누군가에게는 매일같이 스치는 풍경이었다니! 어릴 때 재밌게 보았던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가 나와서 무척 반가웠다. <프린세스 다이어리> 등으로 어릴 적 내 워너비 스타였던 앤 헤서웨이 배우는 지금도 무척 그대로다. 그러나 어른이 돼서 다시 앤디(안드레아)를 보니 무척이나 딱하고 굉장히 멋있었다. 사실, 앤디는 징징댄 게 아니라 미란다가 악독한 상사였다고 생각하게 됐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자신이 할 수 있는 것을 찾아 이 악물고 해낸 앤디, 뭘 해도 성공할 사람이다!

저자의 취향인지 로맨스 영화가 무척 많았는데, 이토록 아름다운 도시에 함께 있다보면 자연히 사랑에 빠질 법도 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해외여행 생각은 딱히 해본 적이 없었던 것 같은데 이 책을 읽고 나니 문득 이 영화들을 보고 뉴욕의 거리를 거닐며 '여긴 이런 곳이었지!'하고 아는 척을 해보고 싶은(?) 마음이 샘솟는다.

본 포스팅은 리뷰어스 클럽을 통해 출판사로부터 도서만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여행에세이 #해외여행 #영화속뉴욕산책 #정윤주 #허밍버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화 속 뉴욕 산책 - 뉴욕을 배경으로 한 46편의 명화, 그 영화 속 명소를 걷다
정윤주 지음 / hummingbird(허밍버드)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뉴욕과 사랑, 어쩌면 동의어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각사각 스토리블랙 3
김정신 지음, 홍세인 그림 / 웅진주니어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고등학교 때 새 집으로 이사했지만, 그 전에 살던 시골집에는 쥐가 있었다. 있다는 것을 어떻게 알았느냐 하면, 자려고 누웠을 때 천장 위에서 다다닥 뛰어가는 조그마한 발소리를 들었기 때문이다. 집의 역사와 해당 동물의 특성을 고려했을 때 여러 마리일 거라는 생각이 들었고, 가끔은 쥐 떼가 천장과 지붕 사이를 빽빽하게 뒤덮는 상상을 하다가 악몽을 꾸기도 했다. 또 아~주 가끔, 방까지 쥐가 방문할 때도 있어서 집 곳곳에 쥐덫이 있었고(끈끈이 트랩) 쥐가 잡히면 비위가 약해 순대국밥, 선지국밥도 즐기지 않는 아빠가 그 사체를 치웠다.

그런 기억들 때문인지 나는 여전히 손톱과 발톱을 함부로 버리지 않는다. 공연히 쥐를 불러올 것 같은 마음이랄까? 쥐가 나로 변신했을 때, 본체인 내가 져서 하루 종일 일만 하고 그 쥐가 놀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너무 분하다.(설화에서도 처음에는 본체가 지잖아...) 그래서 쥐를 소재로 하는 소설이라기에 관심이 갔다. 거기다 웅진주니어? 어릴 때 무척 즐겨 읽은 시리즈를 낸 출판사다.



거기다 기묘하고 엉뚱한 이야기를 표현하기에 딱인 그림체의 일러스트까지 실려 있어 무척 마음에 들었다. 읽는 내내 애니메이션 <코렐라인>이 떠올랐는데, 비슷하게 발칙하고 조금은 공포스러운 상상력에 자기 전 누운 채로 펼쳤다가 단숨에 다 읽고야 말았다.

주인공 영재가 스스로를 엑스라고 칭하는 것을 보면서는 마음이 아팠다. 나도 이제는 영재의 보호자들과 비슷한 나이가 되어가서인가? 전에는 엑스에게 감정이입을 하며 별로 좋은 양육자로 보이지는 않지만 그래도 부모님을 구해 같이 살아야지, 하며 감탄했을 것 같은데 이제는 그냥 엑스네 부모는 애를 잘 뒀네... 애가 알아서 컸네... 했다. 실로 현실적이고 와 닿는 지점의 고민들을, 독특한 일러스트와 전개로 풀어나가서 오랜만에 읽는 아동 문학이었지만 성인인 나도 집중해서 읽을 수 있었다.

나는 아이도, 결혼도, 연애도 원하지 않는 사람이지만 정말이지 출산만큼은 스스로도 돌볼 줄 아는 사람들이 마음먹는 일이었으면 좋겠다. 영재의 이야기가 많은 아이들에게 용기를 심어주겠지만, 적어도 영재같은 아이들이 없기를 바라며.

본 포스팅은 리뷰어스 클럽을 통해 출판사로부터 도서만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어린이 #어린이도서 #웅진주니어 #사각사각 #김정신 #홍세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