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에 읽는 쇼펜하우어 - 마음의 위기를 다스리는 철학 수업 마흔에 읽는 서양 고전
강용수 지음 / 유노북스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점을 기웃거리면 가장 흔한 것이 서른 시리즈다. 스물은 “나도 이젠 어른이다”라고 말하는 나이지만 아직 사회에 진입하지 않아 법적으로 어른이지만 사회적으로는 대부분이 학생인 시절이다. 서른이라는 의미는 법적으로든 사회적으로든 이제 어른이라는 의미를 갖게 된다. 어른이 된다는 두려움에 그 시절을 다룬 책이 제법 많다. 그럼 마흔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 수확하는 계절이라는 뜻을 갖는다고 하는데 사실 이건 좀 바뀌지 않았을까 생각해 본다.

수십 년 전에는 20대 중반에 결혼하는 일이 흔했다. 그럼 40대가 되면 자녀들은 중학생 또는 고등학생이 된다. 더 일찍 결혼한 사람이라면 40대 초반부터 자녀가 어른이 되는 일이 있었다. 지금은 어떨까? 대부분 늦게 결혼한다. 30대 중반쯤? 예전의 30대에 일어날 일이 지금의 40대에 일어나고 있다. 수확은커녕 열심히 밭 갈고 땅 파는 시기가 40대가 된 것이다.

그러기에 수확하는 시기라기보다는 시기가 바뀐다는 의미가 더 강해진 것 같다. 사회적으로 어른이라 말해주던 30대에서 사회의 중간 정도되는 위치에 있는 40대 이게 딱 맞는 말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어느 정도 자리도 잡고 안정적인 때 그런 시기가 40대고 노년에 대한 준비를 시작해야 하는 나이가 아닐까 생각한다. 30대까지 몸을 막 굴렸다면 이제부터 건강도 생각하고 꾸준히 자신을 가꿔야 하는 때가 아닐까.

이 책은 쇼펜하우어의 사상을 토대로 사십에 대한 글을 쓴 책이다. 진리, 자신, 행복, 관계 마지막으로 인생이라는 챕터를 통해 사십이 되었을 때 해야 하는 생각들을 적었다. 고개가 절로 끄덕여지는 부분도 있었고 갸웃 거리는 부분도 있었다. 염세주의지만 죽음을 찬미하지 않았다는 그. 어찌 보면 사십이라는 주제에 맞는 인물이 아닐까 생각한다. 염세적이라는 것은 조심성이 많단 뜻이고 사십이라는 나이는 모든 것에 다 조심해야 하는 시기가 아닐까 생각해 본다. 경제, 건강, 사회, 자녀 등 모든 것에 조심하고 걱정해야 그 이후의 삶이 잘 펼쳐질 수 있다는.

‘어떻게 해야 그 사람의 마음에 들까 고민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자신이 원래 갖고 자산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다. 명예, 지위, 명성은 예를 들면 나의 목숨이나 건강보다 결코 중요하지 않다. 건강과 바꿀 수 있는 것은 없다. 가장 어리석은 일이 명성과 명예를 위해 목숨을 기꺼이 바치는 일이다. "명예가목숨보다 더 중요하다"라는 격언은 타인의 견해를 자신의 것보다 더 중요하게 여기는 망상에 불과하다. - P2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흔에 읽는 쇼펜하우어 - 마음의 위기를 다스리는 철학 수업 마흔에 읽는 서양 고전
강용수 지음 / 유노북스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점을 기웃거리면 가장 흔한 것이 서른 시리즈다. 스물은 “나도 이젠 어른이다”라고 말하는 나이지만 아직 사회에 진입하지 않아 법적으로 어른이지만 사회적으로는 대부분이 학생인 시절이다. 서른이라는 의미는 법적으로든 사회적으로든 이제 어른이라는 의미를 갖게 된다. 어른이 된다는 두려움에 그 시절을 다룬 책이 제법 많다. 그럼 마흔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 수확하는 계절이라는 뜻을 갖는다고 하는데 사실 이건 좀 바뀌지 않았을까 생각해 본다.

수십 년 전에는 20대 중반에 결혼하는 일이 흔했다. 그럼 40대가 되면 자녀들은 중학생 또는 고등학생이 된다. 더 일찍 결혼한 사람이라면 40대 초반부터 자녀가 어른이 되는 일이 있었다. 지금은 어떨까? 대부분 늦게 결혼한다. 30대 중반쯤? 예전의 30대에 일어날 일이 지금의 40대에 일어나고 있다. 수확은커녕 열심히 밭 갈고 땅 파는 시기가 40대가 된 것이다.

그러기에 수확하는 시기라기보다는 시기가 바뀐다는 의미가 더 강해진 것 같다. 사회적으로 어른이라 말해주던 30대에서 사회의 중간 정도되는 위치에 있는 40대 이게 딱 맞는 말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어느 정도 자리도 잡고 안정적인 때 그런 시기가 40대고 노년에 대한 준비를 시작해야 하는 나이가 아닐까 생각한다. 30대까지 몸을 막 굴렸다면 이제부터 건강도 생각하고 꾸준히 자신을 가꿔야 하는 때가 아닐까.

이 책은 쇼펜하우어의 사상을 토대로 사십에 대한 글을 쓴 책이다. 진리, 자신, 행복, 관계 마지막으로 인생이라는 챕터를 통해 사십이 되었을 때 해야 하는 생각들을 적었다. 고개가 절로 끄덕여지는 부분도 있었고 갸웃 거리는 부분도 있었다. 염세주의지만 죽음을 찬미하지 않았다는 그. 어찌 보면 사십이라는 주제에 맞는 인물이 아닐까 생각한다. 염세적이라는 것은 조심성이 많단 뜻이고 사십이라는 나이는 모든 것에 다 조심해야 하는 시기가 아닐까 생각해 본다. 경제, 건강, 사회, 자녀 등 모든 것에 조심하고 걱정해야 그 이후의 삶이 잘 펼쳐질 수 있다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컬처, 문화로 쓴 세계사 - 하버드대 마틴 푸크너의 인류 문화 오디세이
마틴 푸크너 지음, 허진 옮김 / 어크로스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사의 많은 사건 중 저자가 생각하는 15가지의 주제로 세계사 이야기를 썼다. 사실 이 책을 보면서 느낀 점은 저자가 무슨 기준으로 15가지의 주제를 뽑았는지 잘 모르겠다. 문화로 쓴 세계사라고 하는데 어디 문화에 대한 설명이 있는 건지도 잘 모르겠고. 무엇보다도 저자가 무엇을 말하고 싶어 하는지도 모르겠다. 나의 지식이 짧아서 그런 것일까? 절반 정도 읽은 후부터는 훅훅 읽어가기 시작했다.

결론적으로 그렇게 썩 재미있게 읽진 않았다.

우리는 문화를 평가할 때 독창성을, 언제 어디서 처음 발명되었는지를 지나치게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원조라는 주장은 종종 우월성과 소유라는 미심쩍은 주장을 뒷받침할 때 사용된다. 그런 주장은 편리하게도 모든 것이 어딘가에서 왔음을, 발굴되고 차용되고 옮겨지고 구매되고 도난당하고 기록되고 복사되고 종종 오해받는다는 사실을 잊는다. 무언가가 본래 어디서 나왔는지보다 훨씬 더 중요한 것은 우리가 그것을 가지고 무엇을 하느냐이다. 문화는 거대한 재활용프로젝트이며, 우리는 다음에 사용될 때를 기다리며 그 유적을 보존하는 매개자에 불과하다. 문화에 소유자는 없다. 우리는 다만 다음세대에 문화를 물려줄 뿐이다. - P16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별에서의 살인
모모노 자파 지음, 김영주 옮김 / 모모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주에서 벌어지는 살인사건을 다룬 이야기다. 나름 SF 소설이라고 할 수 있겠는데. 굉장히 재미있다고는 하지 못하겠지만 그렇다고 재미없는 이야기는 아니었다. 결론적으로 그냥저냥 볼만한 책이라 할 수 있을 것 같다.

그 순간, 얼핏 공중에 떠다니는 화물에 섞여 사람 모습을한 뭔가가 헤엄치듯 흔들리는 것이 보였다.
그게 무엇인지 인식하기까지 몇 초의 시간이 필요했다.
공중에 떠 있는 것은 바로 이토였다.
흐트러진 짐을 정리하는 것도 아니고, 마치 모든 걸 내던지고 우주 유영을 즐기기라도 하는 듯 떠다니고 있다. 그때 몸이 빙그르르 돌아 이쪽을 향했다.
혼탁한 눈동자는 아무것도 응시하지 않는다. 앞으로 쑥내민 두 팔은 어중간하게 벌어진 채 힘이 빠져 있다. - P4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만 모르는 진실 특서 청소년문학 29
김하연 지음 / 특별한서재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제나 청소년 문학에서 빠질 수 없는 주제는 자살이다. 우리나라의 청소년 자살이 문제라서 그런가 하고 생각해 보다가 외국 문학도 여전히 그 주제의 책이 많은 것을 보고 그건 아니구나 싶었다. 청소년 시기에 삶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주제로 고만들을 많이 해서 그러겠지. 그래서 저렇게 자살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하지 않을까?

결론은 모두의 관심이 있어야 막을 수 있다는 이야기로 마감이 된다. 청소년 문학의 특성답게 자살에 대한 이야기지만 그렇게 무겁지 않게 끝나는 그런 이야기다.

현진이 동호의 어깨에 손을 얹었다. 그리고 다리를 절뚝이며 천천히 커피숍을 나갔다.
나현진 선생님은 이제 만족할까. 드디어 진실을 알게 되었다며 후련한 마음으로 돌아갈까.
현진은 모를 것이다.
자신이 무엇을 놓쳤는지를.
현진은 끝까지 묻지 않았다. 동호가 왜 11월 16일을 골랐는지. 왜 오늘까지 학교 게시판에 공고를 올리라고 했는지. - P17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