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은 그렇게 끝나지 않는다
줄리언 반스.팻 캐바나 지음, 최세희 옮김 / 다산책방 / 2014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제목이 왜  <사랑은 그렇게 끝나지 않는다>인지 영 감을 못 잡겠더니, 책을 읽어보니 단박에 알겠다. 사랑은 죽음으로도 끝나지 않는다는 말을 하고 싶었던 것이로구나 라는...줄리언 반스. 그가 아내를 잃고 처음 쓴 소설이라는 말에 과연 무슨 말을 하시려나 했었는데, 다행이라고 해야 하나? 과거 그가 쓴 책들을 되짚어보면 도대체 나는 그가 무슨 말을 하실지 짐작할 수 없어서 말이다. 사랑에 냉소적이고 --아니 인간에 냉소적인 것이던가, 아니면 통찰력이 넘친다고 해야 하나?-- 하여간 삐딱하게 보실라치면 한도 끝도 없는 분이라는걸 알기에 어쩌면 저의기 곤혹스러울 수 있을 지 모른다고 지레 짐작을 했었다. 과연 아내의 죽음을 슬퍼하시려나? 아니면 평소의 그답게 냉소적으로 죽음을 고찰하시려나? 관계의 허망함에 대해 누구보다 날카롭게 성토하시던 분이란걸 생각하면 과연 그의 사생활은 어땠을지 궁금했다. 그는 자신 앞에 떨어진 사랑하는 이의 죽음이라는 명제 앞에 과연 얼마나 초연할 수 있을까? 혹여 초연을 넘어 냉소로 넘어가면 어쩔까나 싶은...과연 내가 보고 싶어하는건 무엇일까 라는 의문과 함께, 그가 어떤 말을 할지가 한없이 궁금해졌다. 그는 내가 공감할 수 있는 말을 이 책 안에 써 놓을 것인가 라는...



결론은 그랬다. 는 것이다. 앞의 두 장, < 비상의 죄>와 <평지에서 >는 두서없이 횡설 수설 하시는 것 같길래--다른 말로 하면 어쩌구 저쩌구--그냥 대충 휙휙 넘겨 버리고, 내가 집중해서 본 장은 마지막 <깊이의 상실>이었다. 왜냐면 그 장이야말로 그가 신의 이야기를 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상상에 의해 만들어진 이야기가 아니라 올곧이 자신의 이야기. 믿을 수 있었다. 문학이니 예술이니 뭐, 그딴 것을 위한 헛소리가 아니라, 그가 아는 이야기를 털어놓을 수 밖엔 없기에 쓴 것이라는 것이 분명했기에.


애도에 관한 심정 역시 그는 군더더기 없이 자신의 스타일대로 글을 쓰고 있더라. 아내를 그렇게 허망하게 보낸 뒤 자신이 느꼈던 심정들 그대로를...난 바로 알 수 있었다. 왜냐면 나도 그런 경험이 있었으니까. 그가 쓴 글에 한 치의 거짓도 없다는 것을 . 그리고 그가 그런 글을 쓸 수 있게 되기까지 몇 년의 시간이 필요했을 것이라는 것 역시. 자신의 감정과 거리를 두게 되기까지 얼마나 많은 비통의 시간을 겪어냈어야 했을지 안 봐도 뻔했다. 그렇다고 이 글을 씀으로써 거기서 벗어났다는 뜻은 아니고.


사별의 고통은 바로 그게 문제다. 언제 그 고통에서 벗어나게 될지 기약이 없다. 내가 죽지 않고서는 이 고통에서 벗어나지 못하겠구나 라는 깨달음조차 별 위로가 되지 못하니 거의 어떤 것에서도 위로를 기대할 수 없다고 보면 된다. 그가 어쩜 그리도 나와 비슷한 방식으로 사별의 고통에 대처하던지 실소하고 말았다. 그러니까, 그때 내가 알던 거의 대부분의 사람과 절연을 한 것은 유난한게 아니라니까. 아마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인생 어느 지점에선가 그렇게 유난을 떨게 되는 시기를 맞게 되는 것인가 보다. 비이성적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비이성적으로 굴어야 속이 시원할 때가...



이 책을 보면서 난 그의 애도에 공감하는 것과는 다른 감흥에 잠겼었다. 이젠 내가 꽤나 사별의 고통에서 멀어졌구나라는 생각 말이다. 이 책을 읽어 내려 가면서 어찌나 초연하던지(맞아, 그땐 그렇지 정도.), 감정적으로 이제는 거기서 졸업했구나 했다. 하긴 20년 넘게 끙끙 앓았으면 이젠 졸업할때도 됐지.  줄리언 반스는 이 책에서, 과연 그런 날이 올까, 라고 의문을 품으시는 것 같던데, 내진 절대 그런 날을 오지 않을 거라 단정하시는 것 같던데,  조심스럽지만 그런 날이 온다고 말씀드리고 싶었다. 물론, 그것이 그에게 먹힐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만약 그때 내게 누군가가 그렇게 말해줬다 해도 내 귀에는 들어오지 않았을테니 말이다. 네가 뭘 아느냐고 , 절대 이런 느낌이 가라앉을리도, 나아질 리도 없을 거라고, 그것이야말로 나의 절망의 근원이라고 오히려 화를 냈겠지. 지나고보니 원래 그런 법이란걸 알겠다. 그래서 위로가 쉽지 않다는 것도.



그런데 그런 날이 온다. 평온해지는 날이. 여전히 아무것도 해결되지도 이해되지도 않은 채 남아 있는데도, 공허마저 너무 익숙해져서 아무런 고통을 주지 않는듯한 느낌을 받고도 한참이 지난 뒤...그렇게 오래도록 살아남으면, 알게 된다. 더이상 죽음이 나를 그렇게 할퀴지 않는다는 사실을. 그리고 이 세상엔 죽음보다 더 끔찍한 일들이 많다는 것 역시 알게 된다. 그 사랑마저 객관적으로 보게 되는 날이 오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 어떤 사랑은 죽음으로 끝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사랑은 죽음이 오기전에 끝나기도 한다. 가끔은 궁금해진다. 과연 어떤 것이 나을까? 하는.


그나마 죽음으로도 끝나지 못하는 사랑을 해봤다는 것이 인간인 우리로썬 더 나은게 아닐까? 아마도 내가 줄리언 반스의 책을 냉정하게 볼 수 있었던 것도 그런 생각 때문이었을 것이다. 사랑하는 이의 죽음보다 더 한 고통이 없다는 것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그럼에도 이렇게 짧은 인생을 살다가는 인간이다보니, 우리가 사랑했다는 것보다 더 귀한 축복은 없다는 생각이 들어서 말이다. 그러니 사랑했다는 기억만으로도 우리는 다행이라고 여겨야 하는게 아닐까 싶은. 그 시간이 더이상 지속되지 않는다고 오랫동안 비명을 지르다 보면, 어느 순간 그 시간이라도 있어 얼마나 다행인가 그런 날이 온다고 말이다.


결국에는 사랑만이 우리에게 남는 것일 것이므로...줄리언 반스의 앞 날에 더 많은 사랑이 깃드시길 기도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