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바라기가 피지 않는 여름
미치오 슈스케 지음, 김윤수 옮김 / 들녘 / 200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반전이 꽤나 먹먹하다고 해서 고른 책, 결론적으론 먹먹하다기보단 정신 사납다고 하는게 맞지 싶었던 스릴러 소설이다. 특히나 작가가 정신분열 증세가 있는 사람이 아닐까 싶을 정도로, 복잡하게 독자를 이리 저리 끌고 다니는게 별로 맘에 들지 않았다. 뜻밖의 전개로 인한 참신한 반전이기 보다는, 너 이래도 놀라지 않을래 식의 막가파 반전이라고나 할까. 반전도 정도껏 해야지 말이야. 하도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다보니 나중엔 그래, 뭐. 니 맘대로 하셔요, 라는 말이 흘러 나오더라, 너무 반전 위주로 몰아가다 보니 종래 흥미를 잃어다는 뜻이다. 

내용은 뭐, 초등학교 4학년인 나는 종업식날 학교를 빼먹은 친구집에 선생님 심부름을 가게 된다.좋은 일 하려는 마음에 손을 든 것인데, 괜히 손들었다 반성을 하면서 친구 집에 간 나는 친구가 목을 매 숨져 있는걸 발견한다. 간신히 학교로 가 친구의 자살 소식을 알린 나는 경찰과 담임으로부터 친구의 시체가 사라졌다는 말을 듣게 된다. 정말로 게가 목을 맨게 확실하니? 라는 말에 어안이 벙벙한 것은 오히려 나...도무지 내 말을 믿어 주지 않는 어른들 때문에 나는 미치고 팔짝 뛰고 싶은 심정이다. 

그런데 그 친구가 거미로 환생을 해서 다시 살아나 나를 찾아왔다. 그는 자신은 살해되었다면서 자신의 시체를 찾아달라고 내게 부탁을 한다. 더군다나 살인범으로 유력한 것이 담임이라는 말에 나는 절대 친구의 원한을 풀어주겠노라고 다짐을 한다. 담임을 감시하다가 마주치게된 할아버지는 친구와 아는 사이였다면서, 혹시 친구의 자살에 대해 아는 것이 있는지 묻는다. 과연 그 할아버지의 정체는 무엇일까? 거미로 변신한 친구의 시체는 과연 어디에? 그리고 그 친구가 나를 찾아오게 된 계기는? 

구역질이 나는 소설이었다. 아이가 자살한다는 설정도 그렇지만, 그 아이를 자살하게 한 것이 또래 아이라는 설정 역시 구역질 나기는 마찬가지. 시체의 다리를 부러뜨리는게 쾌감을 느끼는 사람이 나오질 않나, 죽은 다음 곤충으로 태어나 찾아온다는 것도 환상 소설다운 설정이라기 보다는 작가의 정신에 무척 문제가 있는게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들게 했다. 전문가가 아니라서 확신은 못하겠지만, 아마도 이 작가는 정신분열적인 정신과적 문제가 있는 사람이 아닐까 한다. 이 작가의 다른 단편을 얼마전 읽었는데, 그건 참 정돈되고 완성된 작품이었구나 싶다. 그에 비해 이 책은 조잡하고 어지러운 복선으로 충격요법이 아니라면 내가 어떻게 너희들의 주목을 받겠니 하는 노골적인 작가의 노력이 돋보이던 책이었다. 

말도 안 되는 이야기가 줄줄이 반전이라는 타이틀에 기대 이어지더니만, 끝내 말도 안 되는 결말로 끝을 맺는것을 보곤 실소했다. 자신의 아이를 학대하던 엄마가 갑자기 천사표가 된다는 결말은 도무지 이해되질 않는다. 왜 갑자기 해피모드로 결말을 맺게 된 것일까? 아니면 내가 모르는 사이 다들 죽어서 다른 곤충으로 태어나 행복해졌다는 설정을 놓친 것인가는 모르겠는데, 어쨋꺼나 아들을 학대하던 엄마가 갑자기 개과천선하는 결말을 미심쩍기만 했다. 아마도 작가가 장편을 쓰다보니 결말을 마지막까지 모두를 불행하게 하고 끝을 맺는 것에 대해 죄책감을 느낀게 아닐까 싶지만서도. 

하여간 이 작가, 이 책으로 돈을 좀 버셨다면 꼭 정신과 상담을 받아볼 것을 권하고 싶다. 이 정도의 심난함이라면 한번 정도는 치료를 받는 것도 괜찮지 싶다. 정신이 좀 나가는 한이 있어도 좋은 작품을 쓸래?라는 생각으로 버티고 계신다면...한마디 하겠다. 이런 작품 안 써도 괜찮으니까, 말짱한 정신으로 사는 걸 생각해 보시라고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