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솔길 끝 바다
닐 게이먼 지음, 송경아 옮김 / 시공사 / 2014년 6월
평점 :
품절


원래 닐 게이먼의 팬이 아니었다. 그가 쓴 책 들 중에서 유일하게 내가 맘에 든 것은 <멋진 징조들>이라는 테리 프래쳇과 공동으로 쓴 책 뿐인데, 나중에 유추해보니 그 책에서도 내가 마음에 들어한 부분들은 테리가 쓴 것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니까, 단 한번도 게이먼의 책을 좋아해본 적이 없었다는 것이다. 닐 게이먼의 명성을 생각하면 이례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 왠만하면 남들이 좋다고 하는 작가들은 나도 좋아하는 편이니 말이다. 역시 이래서 사람들이 좋아하는 거였군 하면서... 그런데 난 그가 별로였다. 그래서 이 책을 들었을때 내가 가장 바란 것은 이번에는, 단 한번이라도, 그의 책이 내 마음에 들었음 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여기 저기서 흘려 들어오는 긍정적인 소식들은 나로 하여금 희망을 가지게 했다. 그래, 어쩌면 이번에는 성공할지 모르겠어. 그의 진가를 드디어 나는 알게 되는 것이야, 라면서 말이다. 


이런, 이런....이게 어른들을 위한 동화라고? 도대체 어디가? 어떤 부분을 그렇게 생각해야 하는데...라는 아연실색이 이 책을 읽는 동안 내내 지속됐다. 아니면 어리둥절이 맞으려나? 두서 없는 악몽을 보는 듯한 이야기를 왜 재밌다고들 하는지, 그것에 어떤 대단한 의미가 있다고 말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아서다. 가장 허망한 부분은 주인공 남자 아이가 오솔길 끝 농장에 사는 레티네 가족들과 나누는 대화 대부분이 연결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아이가 묻고, 레티네 가족 누군가가 대답은 하는데, 그 대답들이 다 모호하다. 태고적부터 존재해 왔다는 레티네 가족들 입장에선 우리 한낱 100년도 살지 못하는 인간들에게 삶의 신비 기타등등을 설명한다는 것이 어렵긴 하겠지만서도, 솔직히 어려워서라기 보단 작가가 어떻게 대답을 해야 할지 몰라서 말을 흐린다는 인상이 짙었다. 왜냐면 내내 그들은 그렇게 헛소리만 작렬하고, 그것을 주어 들은 꼬마는 마치 점쟁이의 두리뭉실한 예언을 자기 식대로 해석하는 나약한 인간들처럼 그렇게 자신만의 방식으로 해석하고 있었으니 말이다. 


결과적으로 이 책은 악몽의 모든 것을 재현해내고 있었다. 악몽같은 상황에, 어떤 것을 해도 해결되지 않는 답답함과 갑갑함을 유발한다는 것과 책 전반에 흐르고 있는 다크한 분위기도 말이다. 단지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강하게 든 생각은, 도대체 닐 게이먼의 어린 시절에 어떤 일이 있었기에 그는 이런 책을 써내야만 하는 것인지였다. 행복하거나 정상적인 어린 시절은 아니었을 것 같고...선량해 보이는 그의 얼굴 뒤로 어떤 추악한 과거가 숨어 있기에 그는 주로 이런 다크한 환상 소설만 써대는 것일까. 무엇이 그의 발목을 잡고 그의 상상력을 부추기는 것인지, 그것이 참 궁금했다. 그 전의 소설을 읽을때만 해도 기괴하고 어두운 그의 작품들을 그의 특이한 개성인갑다 했을 뿐,  어느면에서는 그가 경험한 것들을 반영한 것이라고는 생각지 못했는데, 이 책을 보니, 오히려 그의 경험이 강하게 반영된 것이었구나 라는걸 깨닫게 됐다. 그러니까, 그는 앞으로도 왠만하면 이런 류의 책을 쓸 것이고, 그것에서 벗어날 수 없을 거라는 것이다.


 하지만 내가 이 책을 좋아하지 않는 것은 단지 작가의 어두운 유년 시절의 파편이 들어가 있어서 그런 것만은 아니다. 재미가 없다. 줄곧 뜬금없이 시작되고 결국 뜬금없이 종결되는 이야기는 주인공들이 주고받는 대사처럼 흐리멍덩하다. 이 책에서 가장 설득력 있는 사람은 동료들의 돈을 도박에 탕진하고는 자살한 오팔 광부 하나 뿐인데, 그외에 나머지 사람들은 다들 공감이 가지 않는다. 심지어는 책을 좋아한다는 일곱살 아이 주인공까지도 말이다. 왠만하면 책을 좋아한다는 사람에겐 호감을 갖기 마련인데, 애는 어떻게 내가 봐도 밉상이야...그가 사람들에게 왕따를 당하는 것은 분명 책을 많이 읽는 것과는 상관이 없어 보였다. 그저 성격이 이상해 왕따를 당하는데 그걸 책으로 메꾸는 아이라는게 맞지 않을까 싶었다.


결론적으로, 역시나 난 닐 게이먼하고는 맞지 않았다. 그리고 이참에 아예 그에 대한 미련을 완전히 버리기로 했다. 그가 심혈을 기울인 책이고, 최고작이라는 말도 듣는데다, 무슨 상도 받았다는데 내가 아무런 감동을 받지 못했다면, 앞으로도 그럴 가능성이 농후하니 말이다. 거기에 이 책은 영화화까지 된다는데 솔직히 놀랐다. 내가 제작자라면 이런 책을 가지고 영화를 만들 생각은 못할 것 같은데, 역시나 영화 제작가들 안목은 나완 다른가보다. 그럼에도 어쩌면 아마도 영화는 이 책보다는 재밌을지 모른다는 기대는 있다. 요즘은 원작을 말아먹는 영화도 있지만, 그 반대로 원작을 살려주는 영화도 꽤 되니 말이다. 이런 저런 터치를 가하고 멋진 배우들이 나와서 분위기를 잡아준다면 어쩜 현저하게 달라 보일지도...그럼에도 이 책의 표지와 제목이 인상적이었다는 것만큼은 인정해야 겠다. 어쩌면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그 둘인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