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고양이를 데리고 노는 것일까, 고양이가 나를 데리고 노는 것일까? - 내가 나를 쓴 최초의 철학자 몽테뉴의 12가지 고민들
솔 프램튼 지음, 김유신 옮김 / 책읽는수요일 / 2012년 12월
평점 :
절판


<에세이>의 저자 몽테뉴, 이름은 알지만 실제 그가 어떤 사람인지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그의 일생과 작품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던 책이다. 그가 얼마나 시대를 앞서 나간 사랑스런 사람이었는가에 대해....몽테뉴 전문가인 저자가 평생 그에 대해 연구하고 느낀 점들을 읽기 편하고 이해하기 쉽게 늘어놓은 것인데, 무엇보다 제목을 잘 지었지 싶다. 알고보니 몽테뉴를 설명하는데 이보다 더 적절한 문장은 없는 것 같으니 말이다. 제목만 보고 흥미를 느끼신 분들이라면 아마 이 책 역시 흥미진진하게 읽으시지 않을까 하는데, 제목만큼의 호기심과 재미는 보장한다고 보심 된다. 왜냐고? 왜냐면 저 말을 한 사람이 바로 몽테뉴이고, 그가 이런 말을 한 것은 그저 어쩌다 나온 말이 아니라, 그의 인간성과 인품, 그리고 사상이 함축되어 있는 말이었으니 말이다. 


올해는 몽테뉴 해인가보다. 여기 저기 몽테뉴 서적들이 눈에 뜨인다. 유행이다. 이유는 알길이 없지만서도...그 덕분에 그간 다소 관심 밖이던 그에 대해 알고 싶지 않아도 저절로 알게 된다는 사태를 맞이하고 있는데, 이거, 알면 알수록 괜찮은--굉장히 겸손한 의미에서--사람이었지 싶다. 매력적인 구석이 많아도 너무 많은 사람이여서 말이다. 현대적이라는 요즘 사람들도 혀를 내두를만큼 통찰력과 근대성이 철철 넘치는 분이었다고나 할까.  아니 오히려 우리가 그에게 여전히 배워야 할만큼 관습이라는 것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생각을 지닌 사람이었다. 주어지거나 만들어진 생각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사람이 아닌, 자신만의 생각을 지니고 사고하는 사람을 만나는 것은 언제나 특별하게 기분 좋은 일인데, 바로 그가 그런 사람이었다. 요즘 와서 나의 섹시의 기준이 조금 변화했는데, 정말로 나는 이런 사람들에게 섹시함을 느낀다. 바른 말을 별스럽지 않게 해대는 사람들을 보면 말이다. 


하여간 200년 전 사람이라니 뭐 대단한게 있겠어 싶었는데, 그렇지 않아 놀랬고. 다른 한편으로는 평생을 걸려 연구를 한 사람들조차 그를 잘 파악하지 못하는 것을 보곤 또 놀랐다. 그를 이해하는 것이 그만큼 어렵다는 뜻일까? 아니면 몽테뉴를 연구하는 사람들은 대체로 통찰력이나 글발이 몽테뉴에 미치지 못하는 것일까? 아니면 그가 다소 횡설수설하는 면이 있는 탓에 일목요연하게 정리하는게 어려운 것일까? 뭐, 셋 중 하나겠지 싶다. 얼마전 읽은 <어떻게 살 것인가? >보다는 그래도 이 책이 나았지만서도, --훨씬!--그래도 읽으면서 아쉬움이 있긴 했다. 이것보다 훨씬 더 재밌게 쓸 수 있었지 않았을까라는 미련이... 왜냐면 몽테뉴라는 사람이 워낙 흥미로운 인간이고,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각광을 받을 여지가 많은 사람 같아 보여서 말이다. 언젠가는 몽테뉴 계의 빌 브라이슨이 나타나서 그를 투명하고 재치있으며 명료하게 조명해줄만한 사람이 나타나지 않겠나 기대해 보면서... 아마 그렇게 된다면 우리 같은 평범한 독자들은 그저 기뻐해야 하지 않을런지. 하지만 아마 그런 사람이 나오기 전까진 몽테뉴에 대한 이런 저런 책이 이어져 나오지 않을까 한다. 그만큼 이야기할 거리가 많은 사람 이란 뜻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를 완벽하게 파악하고 있는 사람이 나타나기는 힘들지 않을까 싶은 생각에... 재밌지 않나? 본인이 직접 나는 이런 사람이야 라고 <에세이>를 통해 풀어놓았음에도 그걸 다 읽고 연구를 함에도 그에 대해 여전히 아리송한 느낌이 든다는 것은 말이다. 그가 만일 현대에 살았더라면 어떤 개성을 뽐내면서 살았을지 궁금해지는 순간이다. 하여간 몽테뉴에 대해 알아본 기념으로 귀찮지만 보너스로 가장 마음에 들었던 구절을 적어 보기로 한다. 아래와 같다.


====이처럼 몽테뉴는 도덕성의 핵심이 '친밀한 관계'라고 생각했다. "방어벽을 뚫고 들어가는 일, 사절단을 이끄는 일, 한 나라의백성을 다스리는 일, 이런 일들은 널리 찬양받는다. 또한 독실한 신앙인인 것처럼 행동하기는 아주 쉽다. 그런 일은 추상적인 것이라 본질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 일은 형식적인 것이라서, 누구나 쉽게 꾸밀 수 있다. " 그러나" 자기 자신이나 가족과 유쾌하고 합리적으로 대화를 나누고, 자신을 제멋대로 내버려두지 않고, 자기를 거짓으로 대하지 않은 일은 성공한 사례가 극히 드물 정도로 매우 어려운 일이다. 자기 집안에서 존경받는 사람은 거의 없다.


친밀한 관계야말로 행복의 근원이다. "우리의 부모, 우리의 자녀, 그리고 우리의 친구들로부터 인정 받는 것", 그ㅜ것이 바로 행복의 근원인 것이다. 몽테뉴는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면서, 그렇게 사회적 공간을 공유함으로써 우리 사회가 더욱 나아진다고 생각했다. 그는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에 연극이 맡았던 역활을 상기하면서이렇게 말했다. " 훌륭한 정부는 국민의 헌신적인 의무 수행이 필요할 때마다 국민을 끌어모으지 않는다. 진정으로 훌륭한 정부는운동 경기와 여흥 같은 즐거움을 제공하기 위해서도 국민을 끌어모은다. 그렇게 해야 국민들 사이에 사회성과 우의가 깊어진다."--337


즉 다른 말로 하면 국민을 위한 정부가 되어야 사랑받는 정부가 된 다는 것. 어디서나 근본은 똑같은 것이 아닐까 싶다. 위선을 행하긴 쉽지만 가족들을 속일 수는 없는 것이며, 가장 좋은 사회는 모두가 행복한 사회라는 것 말이겠지. 아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